페이지 번호 | 복귀
제 170 편Paper 170
하늘의 왕국 The Kingdom of Heaven
170:0.1
(1858-2)
3월 11일 토요일 오후, 예수펠라에서 그의 마지막 설교를 했다. 이 설교는 그의 대중 사명활동의 주목할 만한 연설들 가운데에서, 하늘의 왕국에 대한 충분하고도 완벽한 논의를 포옹하고 있다. 그는 자신의 증여 임무에 대하여 상호-교환할 수 있는 용어의 정의로 자신이 사용했던 “하느님의 왕국”이라는 용어와 그리고 “하늘의 왕국”이라는 용어들의 의미와 중요한-의의에 관하여 그의 사도들과 제자들의 마음 안에 존재하고 있는 혼동을 알아차리고 있었다. 하늘의 왕국이라는 그 용어가 바로 땅에서의 왕국들과 현세적인 정부들과 가지는 모든 연결들로부터 그 의미의 분리가 충분하게 되었어야 했지만, 그렇지 못했다. 현세적인 왕의 관념이 유대인들의 마음 안에 너무나도 깊이-뿌리를 내리고 있었기 때문에 한 세대 안에서 그것을 그렇게 몰아낼 수 없었다. 그러므로 예수는 오랫동안-지녀왔던 이 왕국의 개념을 처음에는 공개적으로 반대하지 않았다.SATURDAY afternoon, March 11, Jesus preached his last sermon at Pella. This was among the notable addresses of his public ministry, embracing a full and complete discussion of the kingdom of heaven. He was aware of the confusion which existed in the minds of his apostles and disciples regarding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he terms “kingdom of heaven” and “kingdom of God,” which he used as interchangeable designations of his bestowal mission. Although the very term kingdom of heaven should have been enough to separate what it stood for from all connection with earthly kingdoms and temporal governments, it was not. The idea of a temporal king was too deep-rooted in the Jewish mind thus to be dislodged in a single generation. Therefore Jesus did not at first openly oppose this long-nourished concept of the kingdom.
170:0.2
(1858-2)
이 안식일 오후에 주(主)는 하늘의 왕국에 관한 가르침을 명백하게 하기 위하여 애를 썼다; 그는 그 주제를 모든 관점에서 논의했고 또한 그 용어가 사용되어 왔던 곳에서의 서로 다른 감각들을 명백하게 만들기 위하여 노고를 기울였다. 우리는 이 이야기 안에서 이전의 여러 가지 경우에 예수에 의하여 제시되었던 수많은 진술들을 덧붙임으로써, 또한 바로 이날 저녁에 토론 시간 동안에 사도들에게만 해 주었던 견해들을 포함시킴으로써 그 연설을 더욱 증폭시킬 것이다. 또한 우리는 훗날의 그리스도교 교회와 관계되어 전개되는 그러한 뒤이어 일어나는 왕국 관념의 외적-작업을 다루면서 어떤 특정한 논평을 하려고 한다.This Sabbath afternoon the Master sought to clarify the teaching about the kingdom of heaven; he discussed the subject from every viewpoint and endeavored to make clear the many different senses in which the term had been used. In this narrative we will amplify the address by adding numerous statements made by Jesus on previous occasions and by including some remarks made only to the apostles during the evening discussions of this same day. We will also make certain comments dealing with the subsequent outworking of the kingdom idea as it is related to the later Christian church.
1. 하늘의 왕국의 개념들1. Concepts of the Kingdom of Heaven
170:1.1
(1858-3)
예수의 설교의 상술과 연결하여, 히브리 경전에 두루 걸쳐서 하늘의 왕국에 대한 이원적(二元的)인 개념이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만 한다. 선지자들은 하느님의 왕국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In connection with the recital of Jesus’ sermon it should be noted that throughout the Hebrew scriptures there was a dual concept of the kingdom of heaven. The prophets presented the kingdom of God as:
170:1.2
(1858-4)
1. 하나의 현재 실체이다; 그리고 그것은 그러하다.1. A present reality; and as
170:1.3
(1858-5)
2. 하나의 미래 희망이다─메시아가 출현하고 나서 충만함의-달성으로 실현될 때 이루어지는 왕국. 이것은 세례자 요한이 가르쳤던 왕국 개념이다.2. A future hope ─ when the kingdom would be realized in fullness upon the appearance of the Messiah. This is the kingdom concept which John the Baptist taught.
170:1.4
(1858-6)
아주 처음부터 예수와 사도들은 이들 두 가지 개념의 둘 모두를 가르쳤다. 마음에 간직되어야 할 왕국에 대한 또 다른 두 가지의 관념들이 있다:From the very first Jesus and the apostles taught both of these concepts. There were two other ideas of the kingdom which should be borne in mind:
170:1.5
(1858-7)
3. 초자연적 기원을 가지고 그리고 기적적으로 개시되는 범-세계적이고도 또한 초월적인 왕국으로서 훗날의 유대인이 가진 개념.3. The later Jewish concept of a world-wide and transcendental kingdom of supernatural origin and miraculous inauguration.
170:1.6
(1858-8)
4. 세상이 끝날 때 악에 대한 선의 승리의 성취로서 이루어지는 하나의 신성한 왕국의 확립을 묘사하고 있는 페르시아인의 가르침들.4. The Persian teachings portraying the establishment of a divine kingdom as the achievement of the triumph of good over evil at the end of the world.
170:1.7
(1858-9)
예수가 땅에 오기 바로 전에, 유대인들은 왕국에 대한 이 관념들을, 유대인의 승리의 시기를 확립하기 위한 메시아의 도래에서의 그들의 종말론적 개념, 땅에서의 하느님의 최극 통치의 영원한 시대, 새로운 세상, 모든 인류가 야훼를 경배하게 되는 시대라는 관념 속으로 병합하고 혼동하였다. 예수는 하늘의 왕국의 이 개념들을 활용하기로 선택하는 데에 있어서, 유대인과 그리고 페르시아인 종교 두 가지의 가장 생생하고 절정에 도달한 유산을 적당하게 가져다 쓰기로 작정했다.Just before the advent of Jesus on earth, the Jews combined and confused all of these ideas of the kingdom into their apocalyptic concept of the Messiah’s coming to establish the age of the Jewish triumph, the eternal age of God’s supreme rule on earth, the new world, the era in which all mankind would worship Yahweh. In choosing to utilize this concept of the kingdom of heaven, Jesus elected to appropriate the most vital and culminating heritage of both the Jewish and Persian religions.
170:1.8
(1859-1)
그리스도교인 시대의 여러 세기들을 두루 통하여, 납득되기도 하고 잘못-납득되기도 했었던 그러한 것으로서의 하늘의 왕국은, 뚜렷하게 서로 다른 관념의 네 집단을 포옹했다:
1. 유대인들의 개념.
2. 페르시아인들의 개념
3. 예수의 개인적-체험 개념─“너희 안에 있는 하늘의 왕국”
4. 그리스도교 창시자들과 선포자들이 세상에게 감명을 주기 위하여 찾아 나섰던, 합성되고 혼동된 개념들.
The kingdom of heaven, as it has been understood and misunderstood down through the centuries of the Christian era, embraced four distinct groups of ideas:
1. The concept of the Jews.
2. The concept of the Persians.
3. The personal-experience concept of Jesus ─ “the kingdom of heaven within you.”
4. The composite and confused concepts which the founders and promulgators of Christianity have sought to impress upon the world.
170:1.9
(1859-6)
예수가 대중을 가르칠 때에, 서로 다른 때에서 그리고 다양하게 변하고 있는 상황안에서, “왕국”에 대한 수많은 개념들을 제시해 왔던것으로 나타나지만, 그의 사도들에게는 항상, 왕국은 하늘에 계신 아버지에 대한 그리고 땅에 있는 그의 동료들에 대한 관계에서의 사람의 개인적 체험을 포옹하는것으로 가르쳤다. 왕국과 연관하면서 말했던, 그의 마지막 말은 언제나 이것이었다, “왕국은 너희 안에 있다."At different times and in varying circumstances it appears that Jesus may have presented numerous concepts of the “kingdom” in his public teachings, but to his apostles he always taught the kingdom as embracing man’s personal experience in relation to his fellows on earth and to the Father in heaven. Concerning the kingdom, his last word always was, “The kingdom is within you.”
170:1.10
(1859-7)
“하늘의 왕국”이라는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여러 세기에 걸쳐 왔었던 혼동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요인들로 인해 기인되어왔다;
1. “왕국”의 관념을 예수와 그의 사도들에 의하여 다시 전개되는 다양한 진보적 위상을 두루거치며 지나온 것으로서 그것을 관찰함으로써 발생된 혼동.
2. 초기 그리스도교유대인의 토양으로부터 이방인의 토양으로 이식되는 과정과 관계적-연합을 이루면서 불가피하게 일어난 혼동.
3. 그리스도교예수의 개인에 관해 그 중심적 관념을 두면서 조직화된 하나의 종교가 되었다는 사실 안에 선천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혼동; 왕국 복음이 점점 더 그에 관한 종교가 되었다.
Centuries of confusion regarding the meaning of the term “kingdom of heaven” have been due to three factors:
1. The confusion occasioned by observing the idea of the “kingdom” as it passed through the various progressive phases of its recasting by Jesus and his apostles.
2. The confusion which was inevitably associated with the transplantation of early Christianity from a Jewish to a gentile soil.
3. The confusion which was inherent in the fact that Christianity became a religion which was organized about the central idea of Jesus’ person; the gospel of the kingdom became more and more a religion about him.
2. 왕국에 대한 예수의 개념2. Jesus’ Concept of the Kingdom
170:2.1
(1859-11)
주(主)는 하늘의 왕국이, 하느님의 아버지신분의 진리 그리고 상관관계가-되어있는 사람의 형제신분의 사실에서의 이원적(二元的) 개념으로, 그 안에 중심을 두면서, 시작되어야만 한다는 것을 분명하게 밝혔다. 예수는 그러한 가르침의 찬성과 받아들임은, 오랫-세월 속박되었던 동물적인 공포의 굴레로부터 사람을 해방할 것이고, 또한 그와 동시에 다음과 같은 영적 자유의 새로운 생명의 자질-부여를 받아 갖추면서 그로서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하리라고 선언했다:The Master made it clear that the kingdom of heaven must begin with, and be centered in, the dual concept of the truth of the fatherhood of God and the correlated fact of the brotherhood of man. The acceptance of such a teaching, Jesus declared, would liberate man from the age-long bondage of animal fear and at the same time enrich human living with the following endowments of the new life of spiritual liberty:
170:2.2
(1859-12)
1. 새로운 용기와 증강된 영적 힘을 소유하는 것. 왕국 복음은 사람을 자유롭게 세워 놓았고, 그가 감히 영원한 생명에 대한 희망을 가지도록 영감을 주었다.1. The possession of new courage and augmented spiritual power. The gospel of the kingdom was to set man free and inspire him to dare to hope for eternal life.
170:2.3
(1859-13)
2. 복음은 모든 사람들을 위하여, 마찬가지로 심지어 가난한 자를 위하여 새로운 확신과 참된 위안의 메시지를 담아 전했다.2. The gospel carried a message of new confidence and true consolation for all men, even for the poor.
170:2.4
(1859-14)
3. 복음은 그 자체로서 도덕적 가치의 하나의 새로운 표준이었고, 인간 행위를 재는 하나의 새로운 윤리적 잣대였다. 그것은 인간 사회에서의 결과적으로 생기는 하나의 새로운 질서의 이상을 묘사했다.3. It was in itself a new standard of moral values, a new ethical yardstick wherewith to measure human conduct. It portrayed the ideal of a resultant new order of human society.
170:2.5
(1859-15)
4. 그것은 물질적인 것과 비교되는 영적인 것의 선재적-탁월성을 가르쳤다; 그것은 영적 실체들을 영화롭게 하고 또한 초인간적 이상들을 드높였다.4. It taught the pre-eminence of the spiritual compared with the material; it glorified spiritual realities and exalted superhuman ideals.
170:2.6
(1860-1)
5. 이 새로운 복음은 영적 달성을 삶의 참된 목표로 높이 들어 올렸다. 인간의 일생은 도덕적 가치와 신성한 존엄성의 하나의 새로운 자질-부여를 받았다.5. This new gospel held up spiritual attainment as the true goal of living. Human life received a new endowment of moral value and divine dignity.
170:2.7
(1860-2)
6. 예수는 영원한 실체는 정의로운 땅에서의 분투의 결과(보상)라고 가르쳤다. 땅에서 사람의 필사자로서의 체류가, 하나의 고귀한 운명을 인지하는 바탕 위에서, 그 귀결에 뒤따라오는, 새로운 의미들을 획득했다.6. Jesus taught that eternal realities were the result (reward) of righteous earthly striving. Man’s mortal sojourn on earth acquired new meanings consequent upon the recognition of a noble destiny.
170:2.8
(1860-3)
7. 새로운 복음은, 인간의 구원이 하느님의 구원받은 아들들의 끝없는 봉사의 미래 운명 안에서 충만되고 또한 실현되어야 하는, 그러한 하나의 멀리-다다르는 신성한 목적의 계시라고 확언했다.7. The new gospel affirmed that human salvation is the revelation of a far-reaching divine purpose to be fulfilled and realized in the future destiny of the endless service of the salvaged sons of God.
170:2.9
(1860-4)
이들 가르침은 예수에 의하여 가르쳐졌던 그러한 왕국에서의 확대된 관념을 망라한다. 이 위대한 개념은 세례자 요한의 초보적이고 또한 혼동된 왕국 가르침들 안에는 거의 포옹되지 않았다.These teachings cover the expanded idea of the kingdom which was taught by Jesus. This great concept was hardly embraced in the elementary and confused kingdom teachings of John the Baptist.
170:2.10
(1860-5)
사도들은 왕국에 관한 주(主)의 발언들들의 실제 의미를 파악할 수가 없었다. 예수의 가르침에서의 뒤이어 따라오게 된 왜곡들은, 그들이 신약 성서에 기록된 바와 같이, 그 복음의 기록자들의 개념이, 예수가 그 당시에 이 세상에 단지 짧은 시간 동안 자리를 비웠다는 믿음에 의하여 채색되었기 때문이었다; 또한 그가 힘과 영광 안에서 왕국을 건설하기 위하여 곧 돌아오리라는 믿음─그가 육신으로 있었던 동안 그들이 지녔던 바로 그러한 관념─에 의해 채색되었다. 그러나 예수는 자신이 이 세상에 돌아온다는 관념을 왕국의 확립과 연결시키지 않았다. “새 시대”의 출현에서의 그 어떤 신호도 없이 여러 세기들이 지났다는 것은 결코 예수의 가르침과의 조화로움에서 벗어났다는 것이 아니다.The apostles were unable to grasp the real meaning of the Master’s utterances regarding the kingdom. The subsequent distortion of Jesus’ teachings, as they are recorded in the New Testament, is because the concept of the gospel writers was colored by the belief that Jesus was then absent from the world for only a short time; that he would soon return to establish the kingdom in power and glory ─ just such an idea as they held while he was with them in the flesh. But Jesus did not connect the establishment of the kingdom with the idea of his return to this world. That centuries have passed with no signs of the appearance of the “New Age” is in no way out of harmony with Jesus’ teaching.
170:2.11
(1860-6)
이 설교 안에 체현된 위대한 노력은, 하늘의 왕국에 대한 개념을, 하느님의 뜻을 행하는 관념에서의 이상으로 전환하려는 시도였다. 주(主)는 오랫동안 그의 추종자들에게 이렇게 기도하라고 가르쳤다; “당신의 왕국이 임하소서; 당신의 뜻이 이루어지소서;" 그리고 이때에 그는 그들에게 더욱 실천적인 동의어인, 하느님의 뜻이라는 말을 사용하기 위하여, 하느님의 왕국이라는 용어를 그들이 포기하여 내던져버리도록 유인하려고 진지하게 애를 썼다. 그러나 그는 성공하지 못했다.The great effort embodied in this sermon was the attempt to translate the concept of the kingdom of heaven into the ideal of the idea of doing the will of God. Long had the Master taught his followers to pray: “Your kingdom come; your will be done”; and at this time he earnestly sought to induce them to abandon the use of the term kingdom of God in favor of the more practical equivalent, the will of God. But he did not succeed.
170:2.12
(1860-7)
예수는 왕국, 왕, 그리고 주체인 백성들에 대한 관념을 대신하여, 하늘 가족, 하늘에 계신 아버지, 그리고 자신들의 동료 사람들을 위해 기쁘고 자발적인 봉사와 아버지 하느님에의 숭고하고 지능적인 경배에 종사된, 그러한 해방된 하느님의 아들들의 개념으로 대체하기를 갈망했다.Jesus desired to substitute for the idea of the kingdom, king, and subjects, the concept of the heavenly family, the heavenly Father, and the liberated sons of God engaged in joyful and voluntary service for their fellow men and in the sublime and intelligent worship of God the Father.
170:2.13
(1860-8)
사도들은 이때까지도 왕국에서의 중복된 관점을 획득하고 있었다; 그들은 그것을 다음과 같이 여겼다:
1. 개인적 체험의 일이고 그런 다음에 참된 신자의 가슴 안에서 현존하는 그러한 어떤 하나의 일, 그리고
2. 종족적인 혹은 세계적인 현상에서의 어떤 문제; 왕국이 미래에 있다는 것, 기대할 만한 어떤 무언가라는 것.
Up to this time the apostles had acquired a double viewpoint of the kingdom; they regarded it as:
1. A matter of personal experience then present in the hearts of true believers, and
2. A question of racial or world phenomena; that the kingdom was in the future, something to look forward to.
170:2.14
(1860-11)
그들은 사람들의 가슴 안에서 왕국이 다가오는 것을, 마치 밀가루 반죽 속의 누룩처럼 혹은 겨자씨가 커다랗게 자라나는 것처럼, 그러한 점진적인 발전으로 보았다. 그들은 왕국이 다가오는 것은 종족적인 감각에서나 혹은 세계적인 감각으로나 갑작스럽고도 동시에 극적인 장관이 될 것으로 믿었다. 예수는 하늘의 왕국이 더욱 높은 영적 삶의 본질특성을 실현하는, 그들의 개인적 체험이라는 것을 그들에게 말해 주면서 결코 지친 적이 없었다; 그는 또한 영적으로 체험하는 이들 실체들은, 신성한 확실성과 영원한 장엄의 새롭고도 더욱 높은 차원들로, 진보적으로 전환된다는 것을 말하면서 결코 지친 적이 없었다.They looked upon the coming of the kingdom in the hearts of men as a gradual development, like the leaven in the dough or like the growing of the mustard seed. They believed that the coming of the kingdom in the racial or world sense would be both sudden and spectacular. Jesus never tired of telling them that the kingdom of heaven was their personal experience of realizing the higher qualities of spiritual living; that these realities of the spirit experience are progressively translated to new and higher levels of divine certainty and eternal grandeur.
170:2.15
(1860-12)
이날 오후에 주(主)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위상을 묘사하는 것으로, 왕국의 이중적 자연본성의 새로운 개념을 뚜렷하게 구분되도록 가르쳤다:On this afternoon the Master distinctly taught a new concept of the double nature of the kingdom in that he portrayed the following two phases:
170:2.16
(1860-13)
“첫째, 이 세상 안에서 하느님의 왕국은, 하느님의 뜻을 행하고자 하는 최극의 갈망, 진보된 윤리적 그리고 도덕적 행위에서의 선한 열매를 맺는 사람의 사심-없는 사랑이다.“First. The kingdom of God in this world, the supreme desire to do the will of God, the unselfish love of man which yields the good fruits of improved ethical and moral conduct.
170:2.17
(1861-1)
“둘째, 하늘 안에서 하느님의 왕국은, 필사자 신자들의 목표이며, 하느님을 향한 사랑이 완전하게 되는 곳, 하느님의 뜻이 더욱 신성하게 이루어지는 그러한 본거지이다.”“Second. The kingdom of God in heaven, the goal of mortal believers, the estate wherein the love for God is perfected, and wherein the will of God is done more divinely.”
170:2.18
(1861-2)
예수는 신자가, 신앙에 의하여, 왕국에 지금 들어간다고 가르쳤다. 그는 다양한 강론에서 왕국 속으로 들어가는 신앙-입구에 이르기 위해 다음의 두 가지가 필수적이라고 가르쳤다:
1. 신앙, 성실성. 어린아이처럼 오는 것, 아들관계의 증여를 하나의 선물로 받아들이는 것; 질문이 없이 그리고 아버지의 지혜에 대한 충만한 자신감과 진정한 신뢰의-충만함 안에서, 아버지의 뜻을 행하기로 복종하는 것; 편견과 선입견에서 벗어난 자유로움으로 왕국 속으로 들어오는 것; 때 묻지 않은 어린이처럼 열린-마음으로 그리고 가르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
2. 진리에 굶주림. 정의에 목이 마름, 마음의 변화, 하느님처럼 되고자 하는 그리고 하느님을 발견하고자 하는 동기의 획득.
Jesus taught that, by faith, the believer enters the kingdom now. In the various discourses he taught that two things are essential to faith-entrance into the kingdom:
1. Faith, sincerity. To come as a little child, to receive the bestowal of sonship as a gift; to submit to the doing of the Father’s will without questioning and in the full confidence and genuine trustfulness of the Father’s wisdom; to come into the kingdom free from prejudice and preconception; to be open-minded and teachable like an unspoiled child.
2. Truth hunger. The thirst for righteousness, a change of mind, the acquirement of the motive to be like God and to find God.
170:2.19
(1861-5)
예수는 죄가 어떤 결함이 있는 자연 본성의 탄생인 아이가 아니라, 오히려 순종적이지-않는 의지에 의해 지배된 어떤 알고 있는 마음의 자손이라고 가르쳤다. 예수는 죄에 관하여, 하느님이 용서했다는 것을 가르쳤다; 우리는 그러한 용서함을, 우리가 우리 동료들을 용서하는 행동으로써 개인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으로 만들고 있음을 가르쳤다. 너희가 육신으로 있는 너희 형제를 용서할 때 그것으로써 너희는, 너희 자신이 저지른 나쁜 짓에 대한 하느님의 용서함의 그 실체를 받아들이는 수용능력을 너희 자신의 혼 안에 창조한다.Jesus taught that sin is not the child of a defective nature but rather the offspring of a knowing mind dominated by an unsubmissive will. Regarding sin, he taught that God has forgiven; that we make such forgiveness personally available by the act of forgiving our fellows. When you forgive your brother in the flesh, you thereby create the capacity in your own soul for the reception of the reality of God’s forgiveness of your own misdeeds.
170:2.20
(1861-6)
사도 요한예수의 일생과 가르침들에 관한 이야기를 쓰기 시작할 무렵까지, 초기 그리스도교인들은 그들이 박해의 하나의 원인이었던 하느님-의-왕국 관념에 너무도 많은 곤경을 겪었으므로 그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거의 내던져 버렸었다. 사도 요한은 “영원한 생명”에 관하여 많이 이야기했다. 예수는 그것을 “생명의 왕국”으로 자주 말했다. 그는 또한 “너희 안에 있는 하느님의 왕국”에 대하여서도 자주 언급했다. 그는 한때 그러한 체험을 “아버지 하느님과의 가족 동료관계”라고 말했다. 예수는 왕국이라는 말 대신에 다른 많은 용어로 대체하려고 찾아 나섰지만, 언제나 실패했다. 다른 여러 가운데에서 그는 다음과 같은 용어를 사용했다; 하느님의 가족, 아버지의 뜻, 하느님의 친구들, 신자들의 동료관계, 사람의 형제신분, 아버지의 양 떼, 하느님의 자녀들, 신실한 자의 동료관계, 아버지의 봉사, 그리고 해방된 하느님의 아들들이었다.By the time the Apostle John began to write the story of Jesus’ life and teachings, the early Christians had experienced so much trouble with the kingdom-of-God idea as a breeder of persecution that they had largely abandoned the use of the term. John talks much about the “eternal life.” Jesus often spoke of it as the “kingdom of life.” He also frequently referred to “the kingdom of God within you.” He once spoke of such an experience as “family fellowship with God the Father.” Jesus sought to substitute many terms for the kingdom but always without success. Among others, he used: the family of God, the Father’s will, the friends of God, the fellowship of believers, the brotherhood of man, the Father’s fold, the children of God, the fellowship of the faithful, the Father’s service, and the liberated sons of God.
170:2.21
(1861-7)
그러나 그는 왕국 관념의 사용을 회피할 수가 없었다. 50년이 넘게 지난 후에, 로마 군대에 의해서 예루살렘이 파괴되고 나서야, 왕국에 대한 이 개념은, 그 자체에 대한 사회적 그리고 제도적인 측면들이 급속도로 확장되고 또 결정화되어가는 그리스도교 교회에 의해서 점령됨으로써, 영원한 생명의 예배종파 속으로 변화되기 시작했다.But he could not escape the use of the kingdom idea. It was more than fifty years later, not until after the destruction of Jerusalem by the Roman armies, that this concept of the kingdom began to change into the cult of eternal life as its social and institutional aspects were taken over by the rapidly expanding and crystallizing Christian church.
3. 정의(正義)에 대한 관계3. In Relation to Righteousness
170:3.1
(1861-8)
예수는 사도들과 제자들에게, 그들이 일부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이 세상이 보는 앞에서 그토록 허세부리면서 과시하는 그런 노예-같은 일의 정의를 능가하는 그러한 하나의 정의를, 신앙으로써, 획득해야만 한다는 인상을 심어주려고 항상 노력했다.Jesus was always trying to impress upon his apostles and disciples that they must acquire, by faith, a righteousness which would exceed the righteousness of slavish works which some of the scribes and Pharisees paraded so vaingloriously before the world.
170:3.2
(1861-9)
예수는 신앙, 어린아이와 같은 단순한 믿음이 왕국의 문에 들어가는 열쇠라고 가르쳤을 뿐만 아니라, 그는 문으로 들어가면, 모든 믿고 있는 어린이는 하느님의 강건한 아들의 충만한 모습까지 성장하기 위하여, 상승해야만 하는 정의(正義)의 진보적인 계단들이 있다는 것도 또한 가르쳤다.Though Jesus taught that faith, simple childlike belief, is the key to the door of the kingdom, he also taught that, having entered the door, there are the progressive steps of righteousness which every believing child must ascend in order to grow up to the full stature of the robust sons of God.
170:3.3
(1861-10)
왕국의 정의의 달성이 계시되는 것은 하느님의 용서를 받고 있는 기법에 대한 숙고 안에 있다. 신앙은 하느님의 가족 속으로 들어가는 입장을 위해서 너희가 지불하는 값이다; 그러나 용서는 너희의 신앙을 입장하는 값으로 찬성하여 받아들인 하느님의 행동이다. 그리고 어느 한 왕국 신자에 의해서 하느님의 용서를 받아들이는 접수는 명확하고도 실재적인 체험을 포함하며, 다음과 같은 네 단계, 곧 내적 정의(正義)의 왕국 단계들로 구성된다:It is in the consideration of the technique of receiving God’s forgiveness that the attainment of the righteousness of the kingdom is revealed. Faith is the price you pay for entrance into the family of God; but forgiveness is the act of God which accepts your faith as the price of admission. And the reception of the forgiveness of God by a kingdom believer involves a definite and actual experience and consists in the following four steps, the kingdom steps of inner righteousness:
170:3.4
(1862-1)
1. 하느님의 용서는 사람에 의해서 그가 그의 동료들을 용서하는 바로 그만큼만 실재적으로 사용-가능하고 또한 개인적으로 체험되는 것이다.1. God’s forgiveness is made actually available and is personally experienced by man just in so far as he forgives his fellows.
170:3.5
(1862-2)
2. 사람은 그가 자기 동료들을 자신처럼 사랑하지 않는 한, 진실로 그의 동료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이다.2. Man will not truly forgive his fellows unless he loves them as himself.
170:3.6
(1862-3)
3. 네 이웃을 너 자신처럼 사랑하는 그러한 사랑이 최고의 윤리이다..3. To thus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is the highest ethics.
170:3.7
(1862-4)
4. 그러면 도덕적 행위, 참된 정의는 그러한 사랑의 자연적인 결과가 된다.4. Moral conduct, true righteousness, becomes, then, the natural result of such love.
170:3.8
(1862-5)
그러므로 왕국에의 참된 그리고 내적인 종교는 틀림없이 그리고 점점 더, 사회적인 봉사에서의 실천적인 큰길에서 그 스스로를 현시하려는 경향이 있음이 분명하다. 예수는 신자들이 사랑넘치는 봉사에 행하는 것에 종사하도록 추진하여 몰아가는 살아있는 종교를 가르쳤다. 그러나 예수는 종교의 자리에 윤리를 놓지 않았다. 그는 종교를 원인으로 그리고 윤리를 결과로 가르쳤다.It therefore is evident that the true and inner religion of the kingdom unfailingly and increasingly tends to manifest itself in practical avenues of social service. Jesus taught a living religion that impelled its believers to engage in the doing of loving service. But Jesus did not put ethics in the place of religion. He taught religion as a cause and ethics as a result.
170:3.9
(1862-6)
그 어떤 행동의 정의로움도 동기로써 측정되어야만 한다; 선의 가장 높은 최고 형태는 그리하여 무의식적이다. 예수는 도덕이나 혹은 윤리 그 자체에 결코 관여하지 않았다. 그는 전적으로 아버지 하느님과의 안쪽으로 그리고 영적인 동료관계에 관여했으며, 그리하여 그것으로 사람을 위한 바깥쪽으로 그리고 서랑넘치는 봉사로 그 자체를 그렇게 너무나도 확실하게 또한 직접적으로 현시했다. 그는 왕국의 종교는, 어떤 사람도 자기 자신 안에 그것을 담아서 가두어 놓을 수가 없는 그러한 진정한 개인적 체험이라는 것을 가르쳤다; 또한 신자들로 이루어진 가족의 한 구성원이 되어간다는 의식은 불가피하게, 가족 행위의 교훈에서의 실천관행으로, 곧 형제신분을 증진시키고 확대하려는 노력 안에서 자신의 형제와 자매들에의 봉사로 인도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가르쳤다.The righteousness of any act must be measured by the motive; the highest forms of good are therefore unconscious. Jesus was never concerned with morals or ethics as such. He was wholly concerned with that inward and spiritual fellowship with God the Father which so certainly and directly manifests itself as outward and loving service for man. He taught that the religion of the kingdom is a genuine personal experience which no man can contain within himself; that the consciousness of being a member of the family of believers leads inevitably to the practice of the precepts of the family conduct, the service of one’s brothers and sisters in the effort to enhance and enlarge the brotherhood.
170:3.10
(1862-7)
왕국의 종교는 개인적이고 개별적이다; 그 열매, 그 결과는 가족적, 곧 사회적이다. 예수는 공동체에 대조되는 것으로서 개별존재의 성스러움을 드높이려는 것을 결코 게을리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는 또한 사람이 사심-없는 봉사에 의하여 그의 성격을 발전한다는 것을 인지하였다; 사람은 그의 도덕적 본성을 그의 동료와의 사랑넘치는 관계 안에서 전개한다는 것을 또한 인지했다.The religion of the kingdom is personal, individual; the fruits, the results, are familial, social. Jesus never failed to exalt the sacredness of the individual as contrasted with the community. But he also recognized that man develops his character by unselfish service; that he unfolds his moral nature in loving relations with his fellows.
170:3.11
(1862-8)
왕국이 개별존재 안에 함께 있다는 것을 가르침으로써, 개별존재를 높이 드높힘으로써, 예수는 참된 사회적 정의(正義)의 새로운 섭리시대로 인도하는 것으로서 낡은 오래된 사회에 치명적인 타격을 가했다. 세상이 이러한 새로운 사회의 질서를 거의 알지 못했던 것은 하늘의 왕국의 복음에서의 원칙들을 실천하는 것을 거절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영적 출중함의 왕국이 땅 위에 나아올 때, 그것은 단순히 향상된 사회적 그리고 물질적 조건으로 그 안에서 현시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향상된 인간 관계들과 또한 전진하는 영적 달성들로 이루어지는 그 접근하며 다가오고 있는 시기의 특징을 나타내는, 그런 증진되고 그리고 풍성한 영적 가치들의 영광으로 그 안에서 현시될 것이다.By teaching that the kingdom is within, by exalting the individual, Jesus struck the deathblow of the old society in that he ushered in the new dispensation of true social righteousness. This new order of society the world has little known because it has refused to practice the principles of the gospel of the kingdom of heaven. And when this kingdom of spiritual pre-eminence does come upon the earth, it will not be manifested in mere improved social and material conditions, but rather in the glories of those enhanced and enriched spiritual values which are characteristic of the approaching age of improved human relations and advancing spiritual attainments.
4. 왕국에 관한 예수의 가르침4. Jesus’ Teaching About the Kingdom
170:4.1
(1862-9)
예수는 왕국에 대한 어떤 정밀한 정의를 결코 준 적이 없었다. 그는 어떤 한 시점에서는 왕국에서의 하나의 위상을 강론하고, 또 다른 시점에서는 그는 사람들의 가슴 안에 있는 하느님의 치세에서의 형제신분의 어떤 다른 양상을 토론하곤 했다. 이 안식일 오후 설교의 과정에서, 예수는 왕국의 적어도 다섯 위상들, 또는 신기원-시대들을 다음과 같이 유의하며 가리켰다:
1. 개별 신자와 아버지 하느님과의 동료관계에서의 영적 삶의 개인적이고 그리고 안쪽-방향으로의 체험.
2. 복음 신자들에서의 확대되고 있는 형제신분, 개별 신자들의 가슴 안에서 하느님의 영의 치세로부터 결과적으로 생기는, 증진된 도덕과 그리고 촉진된 윤리의 사회적 양상들.
3. 땅 위에서 그리고 하늘에서 위력을-펼치는 눈에 보이지 않는 영적 존재들의 초-필사자 형제신분, 하느님의 초-인간 왕국.
4. 하느님의 뜻에서의 더욱 완전한 충족의 전망, 증진된 영적 삶과 연결된 새로운 사회적 질서의 여명─사람의 다음 시기─를 향한 전진.
5. 그 자체의 충만함으로 있는 왕국, 땅에서의 빛과 생명의 미래 영적 시기.
Jesus never gave a precise definition of the kingdom. At one time he would discourse on one phase of the kingdom, and at another time he would discuss a different aspect of the brotherhood of God’s reign in the hearts of men. In the course of this Sabbath afternoon’s sermon Jesus noted no less than five phases, or epochs, of the kingdom, and they were:
1. The personal and inward experience of the spiritual life of the fellowship of the individual believer with God the Father.
2. The enlarging brotherhood of gospel believers, the social aspects of the enhanced morals and quickened ethics resulting from the reign of God’s spirit in the hearts of individual believers.
3. The supermortal brotherhood of invisible spiritual beings which prevails on earth and in heaven, the superhuman kingdom of God.
4. The prospect of the more perfect fulfillment of the will of God, the advance toward the dawn of a new social order in connection with improved spiritual living ─ the next age of man.
5. The kingdom in its fullness, the future spiritual age of light and life on earth.
170:4.2
(1863-5)
그런 까닭에 우리는 주(主)가 하늘의 왕국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때 그가 이들 다섯 위상들에서의 어떤 것을 언급하는지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 항상 주(主)의 가르침을 검토해야만 한다. 점차적으로 바꾸는 사람의 의지의 이런 진행과정에 따라서 그리고 그런 식으로 인간의 결정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미가엘과 그의 관계적-연합-동료들은 마찬가지로 점차적으로 그러나 확실하게, 사회적인 그리고 다른 여러 것의, 인간 진화의 전체 과정을 바꾸고 있다.Wherefore must we always examine the Master’s teaching to ascertain which of these five phases he may have reference to when he makes use of the term kingdom of heaven. By this process of gradually changing man’s will and thus affecting human decisions, Michael and his associates are likewise gradually but certainly changing the entire course of human evolution, social and otherwise.
170:4.3
(1863-6)
이번 기회에 주(主)는 왕국 복음의 가장 근본적인 특색을 대표하는 다음과 같은 다섯 관점을 강조했다:
1. 개별존재에서의 출중함.
2. 사람의 체험 안에서 결정하고 있는 요소로서의 의지.
3. 아버지 하느님과의 영적 동료관계.
4. 사람에의 사랑넘치는 봉사의 최극 만족들.
5. 인간 개인성 안에서 물질적인 것을 넘어서는 영적인 것의 초월성.
The Master on this occasion placed emphasis on the following five points as representing the cardinal features of the gospel of the kingdom:
1. The pre-eminence of the individual.
2. The will as the determining factor in man’s experience.
3. Spiritual fellowship with God the Father.
4. The supreme satisfactions of the loving service of man.
5. The transcendency of the spiritual over the material in human personality.
170:4.4
(1863-12)
이 세상은 하늘의 왕국의 예수의 신조의 역동적인 관념들과 신성한 이상들을 결코 진지하게 또는 정직하게 시도해본 적이 없다. 그러나 너희는 왕국 관념이 유란시아에서 겉보기에 명백하도록 천천히 진보하는 것으로 말미암아 낙심해서는 안 된다. 진보적인 진화의 질서는 물질적인 세계와 영적인 세계의 양쪽 모두에 있어서 갑작스럽지만 또한 예상치 못했던 주기적인 변동들이 전제가 되어 있다는 것을 기억하라. 육신화한 아들로서의 예수의 증여는 세계의 영적 일생 안에서 그처럼 이상하고도 또한 예상치 못했던 하나의 발생사건이었다. 왕국의 시대적 현시활동을 찾으면서, 너희 자신의 혼 안에서 왕국 확립에 영향을 주는 데 실패하는, 그러한 치명적 실수를 저지르지 말라.This world has never seriously or sincerely or honestly tried out these dynamic ideas and divine ideals of Jesus’ doctrine of the kingdom of heaven. But you should not become discouraged by the apparently slow progress of the kingdom idea on Urantia. Remember that the order of progressive evolution is subjected to sudden and unexpected periodical changes in both the material and the spiritual worlds. The bestowal of Jesus as an incarnated Son was just such a strange and unexpected event in the spiritual life of the world. Neither make the fatal mistake, in looking for the age manifestation of the kingdom, of failing to effect its establishment within your own souls.
170:4.5
(1863-13)
예수가 비록 왕국의 한 위상을 미래적인 것으로 언급하고, 또한 많은 경우에 있어서, 그러한 사건이 어떤 세계적 위기의 한 부분으로 출현할지도 모른다고 넌지시 알렸지만; 그리고 마찬가지로 그가 아주 확실하게, 언젠가 유란시아로 돌아올 것을 여러 번 명확하게 약속했지만, 그는 이들 두 관념을 결코 긍정적으로 연결시키지 않았다는 것은 기록되어야만 할 것이다. 그는 땅에 그리고 또한 언젠가 미래의 시간에 왕국의 어떤 하나의 새로운 계시를 약속했다; 그는 또한 언젠가 이 세계에 개인으로 다시 돌아오겠다는 것도 약속했다; 그러나 그는 이들 두 사건이 같은 의미의 동의어라고 말하지 않았다. 우리가 아는 한, 이들 약속은 같은 사건으로 언급할 수도, 혹은 아닐 수도 있다.Although Jesus referred one phase of the kingdom to the future and did, on numerous occasions, intimate that such an event might appear as a part of a world crisis; and though he did likewise most certainly, on several occasions, definitely promise sometime to return to Urantia, it should be recorded that he never positively linked these two ideas together. He promised a new revelation of the kingdom on earth and at some future time; he also promised sometime to come back to this world in person; but he did not say that these two events were synonymous. From all we know these promises may, or may not, refer to the same event.
170:4.6
(1863-14)
그의 사도들과 제자들은 아주 확실하게 이들 두 가르침을 함께 연결시켰다. 왕국이 그들이 기대했었던 것처럼 실재적으로 물질화되는 데에 실패하게 되었을 때, 그들은 미래의 왕국과 연관하는 주(主)의 가르침을 상기하면서 그리고는 다시 오겠다는 그의 약속을 기억하면서, 이들 약속은 똑같은 사건을 언급하는 것이라는 결론으로 도약했다; 그리하여 그들은 권능과 영광으로 그리고 그것의 충만함 안에서 왕국을 확립하는 그의 즉각적인 두 번째 오는 재림에 대한 희망 안에서 살았다. 그리고 그렇게 계승된 믿음을 가진 세대들은, 영감을 주지만 한편 실망시키는 동일한 희망을 품으면서 땅에서 살았다.His apostles and disciples most certainly linked these two teachings together. When the kingdom failed to materialize as they had expected, recalling the Master’s teaching concerning a future kingdom and remembering his promise to come again, they jumped to the conclusion that these promises referred to an identical event; and therefore they lived in hope of his immediate second coming to establish the kingdom in its fullness and with power and glory. And so have successive believing generations lived on earth entertaining the same inspiring but disappointing hope.
5. 왕국에 대한 훗날 관념들5. Later Ideas of the Kingdom
170:5.1
(1864-1)
하늘의 왕국에 대한 예수의 가르침들을 요약하면서, 우리는 왕국의 개념에 덧붙여지는 특정한 훗날의 관념을 서술하도록 그리고 또한 그것이 다가 올 시기 안에서 진화할 수도 있는 것이므로 그에 따라 왕국의 예언적 예측 안으로 들어가 보도록 허락을 받았다.Having summarized the teachings of Jesus about the kingdom of heaven, we are permitted to narrate certain later ideas which became attached to the concept of the kingdom and to engage in a prophetic forecast of the kingdom as it may evolve in the age to come.
170:5.2
(1864-2)
그리스도교 선전과 포교의 처음 몇 세기에 두루 걸쳐서, 하늘의 왕국의 관념은 급속도로 펼쳐나가는 그리스인 이상주의의 견해, 곧 자연적인 것은 영적인 것의 그림자라는 관념─영원한 것의 시간 그림자로서의 현세적인 것─에 엄청나게 영향을 받았다.Throughout the first centuries of the Christian propaganda, the idea of the kingdom of heaven was tremendously influenced by the then rapidly spreading notions of Greek idealism, the idea of the natural as the shadow of the spiritual ─ the temporal as the time shadow of the eternal.
170:5.3
(1864-3)
그러나 예수의 가르침을 유대인 토양에서 이방인 토양으로 이식하는 것이 표시되었던 위대한 발걸음은, 왕국의 메시아가 교회, 바울과 그의 후계자들의 활동으로부터 성장하며 나아온 종교적이고 사회적인 조직체 그러면서 또한 필로의 관념들과 선과 악에 대한 페르시아 교리로써 보완시킨 예수의 가르침에 근거를 두었던, 그러한 교회에서의 대속자가 되었을 때 내딛게 되었다.But the great step which marked the transplantation of the teachings of Jesus from a Jewish to a gentile soil was taken when the Messiah of the kingdom became the Redeemer of the church, a religious and social organization growing out of the activities of Paul and his successors and based on the teachings of Jesus as they were supplemented by the ideas of Philo and the Persian doctrines of good and evil.
170:5.4
(1864-4)
왕국의 복음의 가르침 안에서 체현되었던 예수의 관념들과 이상들은, 그의 추종자들이 그의 공표들을 점진적으로 왜곡시킴으로써, 그 실현에 거의 실패했다. 왕국에의 주(主)의 개념은 다음과 같은 두 개의 커다란 경향들로 인하여 눈에 띄게 변경되었다:The ideas and ideals of Jesus, embodied in the teaching of the gospel of the kingdom, nearly failed of realization as his followers progressively distorted his pronouncements. The Master’s concept of the kingdom was notably modified by two great tendencies:
170:5.5
(1864-5)
1. 유대인 신자들이 그를 메시아로 간주하기를 끈질기게 고집했다. 그들은 예수가 범-세계적이고 또한 다소간의 물질적인 왕국을 확립하기 위하여 아주 곧 실재로 돌아올 것이라고 믿었다.1. The Jewish believers persisted in regarding him as the Messiah. They believed that Jesus would very soon return actually to establish the world-wide and more or less material kingdom.
170:5.6
(1864-6)
2. 이방인 그리스도교인들이 바울의 교리들을 매우 일찍부터 찬성하여 받아들이기 시작하였고, 그 교리들은 예수가 교회의 자녀들의 대속자, 곧 왕국의 순수하게 영적인 형제신분의 초기 개념의 새로운 그리고 제도적인 후계자들의 대속자라는 일반적인 믿음으로 점차적으로 이끌었다.2. The gentile Christians began very early to accept the doctrines of Paul, which led increasingly to the general belief that Jesus was the Redeemer of the children of the church, the new and institutional successor of the earlier concept of the purely spiritual brotherhood of the kingdom.
170:5.7
(1864-7)
왕국의 하나의 사회적 파생물로써의 교회는, 전적으로 자연적인 것이었으며 또한 오히려 바람직할 수도 있는 것이었다. 교회의 악은 교회 그 자체의 실존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이 왕국에서의 예수 개념을 거의 완벽하게 대체했다는 것이다. 바울의 제도화된 교회는 예수가 선포했었던, 하늘의 왕국을 대신하는 하나의 실질적인 대용품이 되었다.The church, as a social outgrowth of the kingdom, would have been wholly natural and even desirable. The evil of the church was not its existence, but rather that it almost completely supplanted the Jesus concept of the kingdom. Paul’s institutionalized church became a virtual substitute for the kingdom of heaven which Jesus had proclaimed.
170:5.8
(1864-8)
그러나 의심하지 말라, 주(主)가 가르쳤던 바로 이 하늘의 왕국은 신자의 가슴 안에 존재하고 있으며, 아직도 이 그리스도교 교회에게는 물론, 심지어 땅 위에 있는 다른 모든 종교들, 종족들, 국가들에게─심지어 모든 개별존재에 이르기까지─ 선포될 것이다.But doubt not, this same kingdom of heaven which the Master taught exists within the heart of the believer, will yet be proclaimed to this Christian church, even as to all other religions, races, and nations on earth ─ even to every individual.
170:5.9
(1864-9)
예수의 가르침에서의 왕국, 곧 개별적 정의로움에서의 영적 이상과 그리고 하느님과 가지는 사람의 신성한 동료관계의 개념은, 대속자-창조자로서의 그리고 하나의 사회화된 종교적 공동체의 영적 우두머리로서의 예수의 개인의 신비적 개념 속으로 점차적으로 잠기어서 가라앉게 되었다. 이런 방법으로, 하나의 형식적이고 제도화된 교회가 개별적으로 영이-인도하는 왕국의 형제신분을 대신하는, 대체자가 되었다.The kingdom of Jesus’ teaching, the spiritual ideal of individual righteousness and the concept of man’s divine fellowship with God, became gradually submerged into the mystic conception of the person of Jesus as the Redeemer-Creator and spiritual head of a socialized religious community. In this way a formal and institutional church became the substitute for the individually spirit-led brotherhood of the kingdom.
170:5.10
(1864-10)
교회는 예수의 일생과 가르침에서 생긴 필연적이며 유용한 사회적 결과물이었다; 비극은, 왕국의 가르침에 대한 이 사회적인 반응이, 예수가 가르치고 또 그것을 살았던 것으로서의 실제 왕국의 영적 개념을 그처럼 충만하게 대치해 버렸다는 사실에 들어 있었다.The church was an inevitable and useful social result of Jesus’ life and teachings; the tragedy consisted in the fact that this social reaction to the teachings of the kingdom so fully displaced the spiritual concept of the real kingdom as Jesus taught and lived it.
170:5.11
(1865-1)
유대인들에게는, 왕국이 이스라엘 종족공동체였다; 이방인들에게는 그것은 그리스도교 교회였다. 예수에게 그 왕국은, 하느님의 아버지신분을 믿는 그들의 신앙을 고백하고, 그로써 하느님의 뜻을 행하는 일에 그들의 전심을 다하는 헌신을 선언하고, 그리하여 사람의 영적 형제신분의 구성원이 되어가는 그러한 각 개별존재들의 총합이었다.The kingdom, to the Jews, was the Israelite community; to the gentiles it became the Christian church. To Jesus the kingdom was the sum of those individuals who had confessed their faith in the fatherhood of God, thereby declaring their wholehearted dedication to the doing of the will of God, thus becoming members of the spiritual brotherhood of man.
170:5.12
(1865-2)
주(主)는 왕국의 복음의 널리 펼쳐짐의 하나의 귀결로서 어떤 사회적 결과물이 세상 안에 출현하리라는 것을 충분히 깨달았다; 그러나 그가 의도했던 것은 그러한 모든 바람직한 사회적 현시활동들은, 개별적인 신자의 이러한 내적인 개인적 체험에서의, 곧 모든 그러한 신자들 안에 내주 하면서 그들을 활성화하는 신성한 영과 함께 하는, 순수하게 영적인 동료관계와 교제에서의, 그러한 무의식적이고 또한 필연적인 파생물이나 혹은 자연적인 열매들로서 출현하리라는 것이었다.The Master fully realized that certain social results would appear in the world as a consequence of the spread of the gospel of the kingdom; but he intended that all such desirable social manifestations should appear as unconscious and inevitable outgrowths, or natural fruits, of this inner personal experience of individual believers, this purely spiritual fellowship and communion with the divine spirit which indwells and activates all such believers.
170:5.13
(1865-3)
예수는 어떤 하나의 사회적 조직이나 또는 교회가 참된 영적 왕국의 진보를 뒤따르리라는 것을 미리 내다보았으며, 그렇기 때문에 사도들이 세례자 요한의 세례 예식을 실천-관행하는 것을 반대하지 않았다. 그는 진리를-사랑하는 혼, 하느님을 위하여, 정의에 굶주리고 목마른 자가 신앙에 의하여 영적 왕국에 인정되어 받아들여질 것이라고 가르쳤다; 그와 동시에 사도들은, 그렇게 한 신자는 세례에서의 외적 예식에 의해서 제자들의 사회적 조직체에 인정되어 받아들여질 것이라고 가르쳤다.Jesus foresaw that a social organization, or church, would follow the progress of the true spiritual kingdom, and that is why he never opposed the apostles’ practicing the rite of John’s baptism. He taught that the truth-loving soul, the one who hungers and thirsts for righteousness, for God, is admitted by faith to the spiritual kingdom; at the same time the apostles taught that such a believer is admitted to the social organization of disciples by the outward rite of baptism.
170:5.14
(1865-4)
예수의 즉각적인 추종자들은, 그들이 개별적인 신자의 영의 지배와 인도에 따라서 사람들의 가슴 안에서의 왕국의 확립의 주(主)의 이상을 실현하는 데에서 그들의 부분적인 실패를 인지했을 때, 그들은 왕국에서의 그의 가르침의 이상을, 눈에 보이는 사회적 조직체 곧 그리스도교 교회의 점차적인 창조로 대신하여 대체함으로써, 전적으로 잃게 되는 것으로부터 그의 가르침을 구하는 것으로 설정했다. 그리고 그들은 이러한 대체-작업의 계획을 완수했었을 때, 그들은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그리고 또한 왕국의 사실에 관련되는 주(主)의 가르침에 대한 인지를 마련하여-정하는 준비를 위하여, 그들은 왕국을 현재에서 떼어내어 미래 속에 있는 왕국으로 설정하는 일을 진행했다. 그런 일이 잘 확립되자마자, 교회는 왕국은 그리스도교인의 시기의 절정에서, 곧 그리스도의 두 번째 오는 재림 때에, 왕국이 실체 안에서 출현할 것이라고 가르치기 시작했다.When Jesus’ immediate followers recognized their partial failure to realize his ideal of the establishment of the kingdom in the hearts of men by the spirit’s domination and guidance of the individual believer, they set about to save his teaching from being wholly lost by substituting for the Master’s ideal of the kingdom the gradual creation of a visible social organization, the Christian church. And when they had accomplished this program of substitution, in order to maintain consistency and to provide for the recognition of the Master’s teaching regarding the fact of the kingdom, they proceeded to set the kingdom off into the future. The church, just as soon as it was well established, began to teach that the kingdom was in reality to appear at the culmination of the Christian age, at the second coming of Christ.
170:5.15
(1865-5)
이런 방법으로 왕국은 하나의 시기의 개념, 미래에 찾아오는 것이라는 관념, 그리고 지고자의 성자들의 최종적인 대속의 관념으로 되어갔다. 초기 그리스도교인들(그리고 훗날의 그들 가운데에서 너무도 많은 모든 이들)은 예수의 왕국의 가르침 안에 체현되어 있는 아버지-와-아들 관념을 보는 시력을 일반적으로 잃어버렸으며, 반면에 그들은 그렇게 그 대신에 교회의 잘 조직된 사회적 동료관계로 대체시켰다. 그리하여 교회는 대부분이 하나의 사회적 형제신분이 되었으며, 그것은 영적 형제신분에 대한 예수의 개념과 이상의 자리를 효과적으로 자리바꿈 하였다.In this manner the kingdom became the concept of an age, the idea of a future visitation, and the ideal of the final redemption of the saints of the Most High. The early Christians (and all too many of the later ones) generally lost sight of the Father-and-son idea embodied in Jesus’ teaching of the kingdom, while they substituted therefor the well-organized social fellowship of the church. The church thus became in the main a social brotherhood which effectively displaced Jesus’ concept and ideal of a spiritual brotherhood.
170:5.16
(1865-6)
예수의 이상적인 개념은 대체적으로 실패했다, 그러나 주(主)의 개인적 일생과 가르침은, 그리스인페르시아인의 영원한 생명의 개념들로써 보충된, 그리고 또한 영적인 것과 대비되는 현세적인 것의 필로의 교리로써 증강된, 그러한 가르침 위에서 바울유란시아에 일찍이 존재했던 가장 진보적인 인간의 사회들 중의 하나를 세우기 위해 나섰다,Jesus’ ideal concept largely failed, but upon the foundation of the Master’s personal life and teachings, supplemented by the Greek and Persian concepts of eternal life and augmented by Philo’s doctrine of the temporal contrasted with the spiritual, Paul went forth to build up one of the most progressive human societies which has ever existed on Urantia.
170:5.17
(1865-7)
예수의 개념은 세계의 전진된 종교들 안에서 여전히 살아있다. 바울그리스도교 교회는, 예수가 하늘의 왕국은 그렇게 되어야만 한다고─그리고 앞으로 아주 확실하게 그렇게 되어야 할 것으로─의도했던 것의 사회화되고 또한 인간화된 그림자이다. 바울과 그의 후계자들은 영원한 생명의 쟁점들을 개별존재로부터 교회로 부분적으로 이전시켰다. 그리하여 그리스도는 이처럼 왕국의 아버지의 가족 안에 있는 개별 신자의 맏형이 되기보다는 오히려 교회의 우두머리가 되었다. 바울과 그리고 그가 살았던 당대의 사람들은 예수가 그 자신과 개별 신자에 관하여 밀접하게 관계시켰던 모든 영적 암시를, 신자들의 하나의 집단으로 있는 교회에 적용시켰다; 그리고 이렇게 함으로써, 그들은 개별 신자의 가슴 안에 있는 신성한 왕국의 예수의 개념에 치명적인 타격을 가했다.The concept of Jesus is still alive in the advanced religions of the world. Paul’s Christian church is the socialized and humanized shadow of what Jesus intended the kingdom of heaven to be ─ and what it most certainly will yet become. Paul and his successors partly transferred the issues of eternal life from the individual to the church. Christ thus became the head of the church rather than the elder brother of each individual believer in the Father’s family of the kingdom. Paul and his contemporaries applied all of Jesus’ spiritual implications regarding himself and the individual believer to the church as a group of believers; and in doing this, they struck a deathblow to Jesus’ concept of the divine kingdom in the heart of the individual believer.
170:5.18
(1866-1)
그리고 그렇게, 여러 세기 동안, 그리스도교 교회는 커다란 곤혹스러움을 겪으면서 수고해 왔는데, 왜냐하면 그것이 왕국의 신비로운 힘들과 특권들, 곧 오로지 예수와 그의 영적 신자 형제들 사이에서만 행사되고 체험될 수 있는 그러한 힘들과 특권들에 대하여 감히 권리를 주장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이처럼 교회 안에서의 구성원관계가 왕국에서의 동료관계를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외견상 분명해지기 시작했다; 하나는 영적이고, 다른 하나는 주로 사회적이다.And so, for centuries, the Christian church has labored under great embarrassment because it dared to lay claim to those mysterious powers and privileges of the kingdom, powers and privileges which can be exercised and experienced only between Jesus and his spiritual believer brothers. And thus it becomes apparent that membership in the church does not necessarily mean fellowship in the kingdom; one is spiritual, the other mainly social.
170:5.19
(1866-2)
조만간에 또 다른 그리고 더 위대한 세례자 요한이 마땅히 “하느님의 왕국이 가까이 있다.”라고 선포하면서─이것은 왕국이 신자의 가슴 안에서 지배적이고 초월적인 하늘에 계신 그의 아버지의 뜻이라는 것을 선포했던, 예수의 높은 영적 개념으로 돌아오라는 의미의 선포이다.─일어나도록 되어있다, 또한 이것은 땅에 있는 눈에 보이는 교회나 혹은 예상되는 그리스도의 두 번째 오는 재림이나 둘 모두 어떤 식으로도 언급하지 않으면서, 이 모든 일들을 행할 것이다. 예수실재적 가르침들의 부흥은 반드시 올 것이다, 그처럼 땅 위에 미가엘의 체류의 사실성에 관하여 하나의 사회-철학적 믿음의 체계를 창조하려고 몰두했던 그의 초기 추종자들의 작업을 안 했던 것으로 돌이킬 그러한 재-진술이 있을 것이다. 짧은 시간 안에, 예수관한 이런 이야기의 가르침이 예수의 왕국의 복음의 설교를 거의 밀어내고 대신 들어앉았다. 이러한 식으로, 하나의 역사적인 종교가 대신하여 자리바꿈 한 것은, 예수가 그 안에서 사람의 가장 높은 도덕적 관념과 영적 이상들을 미래에 대한 사람의 가장 숭고한 희망─영원한 생명─과 함께 혼합시켰던 바로 그 가르침이었다. 그리고 바로 그것이 왕국의 복음이었다.Sooner or later another and greater John the Baptist is due to arise proclaiming “the kingdom of God is at hand” ─ meaning a return to the high spiritual concept of Jesus, who proclaimed that the kingdom is the will of his heavenly Father dominant and transcendent in the heart of the believer ─ and doing all this without in any way referring either to the visible church on earth or to the anticipated second coming of Christ. There must come a revival of the actual teachings of Jesus, such a restatement as will undo the work of his early followers who went about to create a sociophilosophical system of belief regarding the fact of Michael’s sojourn on earth. In a short time the teaching of this story about Jesus nearly supplanted the preaching of Jesus’ gospel of the kingdom. In this way a historical religion displaced that teaching in which Jesus had blended man’s highest moral ideas and spiritual ideals with man’s most sublime hope for the future ─ eternal life. And that was the gospel of the kingdom.
170:5.20
(1866-3)
불과 몇 세기 안에, 예수의 가르침들의 기록들의 학생들이 그토록 많은 예배종파들과 분파들로 갈라지게 된 것은, 순전히 예수의 복음이 너무나 많은-방면에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리스도교 신자들의 이 가련한 계속 분기되는-분할은 주(主)의 여러 가지 가르침들 안에서 그의 비할 데 없이 뛰어난 일생에서의 신성한 하나-됨을 분별하는데에서의 실패에 기인하고 있다. 그러나 언젠가는 예수를 믿는 참된 신자들이 불신자들 앞에서 그들의 태도가 그렇게 영적으로 분할되지는 않을 것이다. 우리는 항상 지적 이해와 해석의 다양성을 가질 수도 있고, 심지어 사회화-구현에서의 다양한 등급도 가질 수가 있지만, 영적 형제신분의 부족함은 변명할 수없고 마찬가지로 책망받아야 할 것이다.It is just because the gospel of Jesus was so many-sided that within a few centuries students of the records of his teachings became divided up into so many cults and sects. This pitiful subdivision of Christian believers results from failure to discern in the Master’s manifold teachings the divine oneness of his matchless life. But someday the true believers in Jesus will not be thus spiritually divided in their attitude before unbelievers. Always we may have diversity of intellectual comprehension and interpretation, even varying degrees of socialization, but lack of spiritual brotherhood is both inexcusable and reprehensible.
170:5.21
(1866-4)
실수하지 말라! 예수의 가르침 안에는, 생각하는 사람들의 가슴 안에서 언제까지나 열매를 맺지 못한 채로 남아있는 것을 허락하지 않을 하나의 영원한 본성이 있다. 예수가 큰 범위로 되어야 한다고 착상했던 그대로의 왕국은 땅에서 실패했다; 일정기간 동안 밖을-향하는 외향적인 교회가 그것의 자리를 차지해 왔다; 그러나 너희는 이러한 교회가 단지, 주(主)의 가르침을 이 물질적인 시기를 두루 거치며 운반하고 또한 그의 가르침이 발전을 향하여 더욱 충만한 기회를 누릴 수도 있는 그러한 더욱 영적인 섭리시대로 넘겨주기만 하는, 그 좌절된 영적 왕국의 애벌레 단계에 불과하다는 것을 이해해야만 한다. 그래서 이른바 그리스도교 교회는 그 안에서 예수의 개념의 왕국이 지금 잠들어 있는 고치가 되어 있다. 신성한 형제신분의 왕국은 여전히 살아있으며, 마치 탈바꿈으로 발전하는 덜 매력적인 창조체에서 결국에는 아름답게 펼치어 전개되면서 창발 하는 나비처럼, 그와 똑같이 분명하게 결국에는 그리고 확실하게 이 오랜 침잠으로부터 솟아날 것이다.Mistake not! there is in the teachings of Jesus an eternal nature which will not permit them forever to remain unfruitful in the hearts of thinking men. The kingdom as Jesus conceived it has to a large extent failed on earth; for the time being, an outward church has taken its place; but you should comprehend that this church is only the larval stage of the thwarted spiritual kingdom, which will carry it through this material age and over into a more spiritual dispensation where the Master’s teachings may enjoy a fuller opportunity for development. Thus does the so-called Christian church become the cocoon in which the kingdom of Jesus’ concept now slumbers. The kingdom of the divine brotherhood is still alive and will eventually and certainly come forth from this long submergence, just as surely as the butterfly eventually emerges as the beautiful unfolding of its less attractive creature of metamorphic development.
이어지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