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번호 | 복귀
제 89 편Paper 89
죄, 희생 제물, 그리고 속죄Sin, Sacrifice, and Atonement
89:0.1
(974-2)
원시인은 자기 자신이 영들에게 빚을 진 것으로, 속전(贖錢)을 내어 석방을 받아야 할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미개인들은 그것을 바라보면서, 공의(公義)로서 영들이 훨씬 더 많은 불행을 자기들에게 가져올 것이라고 여겼다. 시간이 흐르자, 이러한 개념은 죄와 구원에 대한 교리로 발전하였다. 혼(魂)은 박탈된 상태─원죄(原罪)─에서 세상으로 나온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 혼은 반드시 그 값을 지불해야만 하고; 속죄 염소를 바쳐야만 하였다. 머리를 사냥하는 사람들은, 해골 경배의 예배종파를 실천하는 것에 더하여, 자기 자신의 생명의 대용품, 속죄-인간을 바칠 수 있었다.PRIMITIVE man regarded himself as being in debt to the spirits, as standing in need of redemption. As the savages looked at it, in justice the spirits might have visited much more bad luck upon them. As time passed, this concept developed into the doctrine of sin and salvation. The soul was looked upon as coming into the world under forfeit ─ original sin. The soul must be ransomed; a scapegoat must be provided. The head-hunter, in addition to practicing the cult of skull worship, was able to provide a substitute for his own life, a scapeman.
89:0.2
(974-2)
미개인들은 영들이 인간의 비참함과 고난 그리고 굴욕을 당하는 장면으로부터 최극의 만족을 얻을 것이라는 개념을 일찍부터 갖고 있었다. 처음에는 사람이 오직 범행에 대한 죄만을 고려하였지만, 나중에는 태만에 대한 죄를 적용하게 되었다. 그리고 희생제물을 제공하는 그 이후의 전체적인 체계가 이러한 두 관념들을 중심으로 하여 자라났다. 새로운 이 예식은 희생제물로 위로하는 예식(禮式)의 관습과 관계가 있었다. 원시인은 하느님들의 호감을 사기 위해서는 반드시 어떤 특별한 일을 해야만 한다고 믿었다; 오직 진보된 문명사회의 사람들만이 지속적으로 감정이 안정되고 인자하신 하느님을 인식한다. 속죄는 미래의 축복을 위한 투자라기보다는 당면한 불행을 물리치기 위한 대비책이었다. 그리고 도피, 축귀(逐鬼), 강압, 그리고 위로의 예식들은 모두 서로에게 융합되었다.The savage was early possessed with the notion that spirits derive supreme satisfaction from the sight of human misery, suffering, and humiliation. At first, man was only concerned with sins of commission, but later he became exercised over sins of omission. And the whole subsequent sacrificial system grew up around these two ideas. This new ritual had to do with the observance of the propitiation ceremonies of sacrifice. Primitive man believed that something special must be done to win the favor of the gods; only advanced civilization recognizes a consistently even-tempered and benevolent God. Propitiation was insurance against immediate ill luck rather than investment in future bliss. And the rituals of avoidance, exorcism, coercion, and propitiation all merge into one another.
1. 금기(禁忌) 1. The Taboo
89:1.1
(974-3)
금기의 엄수는 불운을 피하려는, 어떤 것을 회피함으로써 영(靈) 귀신들을 거스르지 않으려는 사람의 노력이었다. 금기들은 처음에는 종교적이 아니었지만, 그들은 일찍부터 귀신 또는 영의 허락을 받고자 하였으며, 그러한 확신을 갖게 되었을 때, 그들은 입법자이자 제도 건축자가 되었다. 금기는 예식적인 표준의 근원이며 원시적인 자아-통제의 선조이다. 그것은 사회적인 규정 중 가장 오래된 형태였고 매우 오랫동안 유일한 것이었다; 여전히 사회적인 규제적 구조의 기본 단위이다.Observance of a taboo was man’s effort to dodge ill luck, to keep from offending the spirit ghosts by the avoidance of something. The taboos were at first nonreligious, but they early acquired ghost or spirit sanction, and when thus reinforced, they became lawmakers and institution builders. The taboo is the source of ceremonial standards and the ancestor of primitive self-control. It was the earliest form of societal regulation and for a long time the only one; it is still a basic unit of the social regulative structure.
89:1.2
(974-4)
이러한 금지 조항들이 미개인들의 마음속에서 명령하였던 내용은, 그것들을 강요하는 것으로 추측되는 그 힘들에 대한 그의 두려움과 정확하게 맞먹었다. 금기들은 처음에는 불행에 대한 우연한 체험 때문에 일어났으며; 나중에는 족장들과 무당들─어떤 영적 귀신에 의해서 그리고 심지어는 하느님에 의해서 지도를 받는 것으로 생각되는 맹목적 숭배 대상 사람들─에 의해서 제안되었다. 영의 보복에 대한 두려움이 원시인의 마음속에 너무 크게 자리 잡고 있었기 때문에 자기가 금기를 위반하였을 때 놀라서 죽는 경우가 종종 있었으며, 이러한 극적인 에피소드로 말미암아 살아남은 사람들의 마음에게 미치는 금기의 영향력이 엄청나게 강화되었다.The respect which these prohibitions commanded in the mind of the savage exactly equaled his fear of the powers who were supposed to enforce them. Taboos first arose because of chance experience with ill luck; later they were proposed by chiefs and shamans ─ fetish men who were thought to be directed by a spirit ghost, even by a god. The fear of spirit retribution is so great in the mind of a primitive that he sometimes dies of fright when he has violated a taboo, and this dramatic episode enormously strengthens the hold of the taboo on the minds of the survivors.
89:1.3
(974-5)
가장 오래된 금지 조항들 중에는 여자들과 다른 재산들을 도용하는 것에 대한 한계들이 있었다. 종교가 금기의 진화에서 더 큰 역할을 담당하기 시작하자, 저주를 받은 물건은 더러운 것으로 간주되었고 나중에는 부정(不淨)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히브리인들의 기록은 정한 것들과 부정한 것들, 거룩한 것들과 거룩하지 못한 것들에 대한 언급으로 가득 차 있지만, 이러한 계통들에 따른 그들의 신앙은 많은 다른 민족들의 신앙과 비교해 본다면 훨씬 덜 복잡하고 훨씬 덜 광범위하였다.Among the earliest prohibitions were restrictions on the appropriation of women and other property. As religion began to play a larger part in the evolution of the taboo, the article resting under ban was regarded as unclean, subsequently as unholy. The records of the Hebrews are full of the mention of things clean and unclean, holy and unholy, but their beliefs along these lines were far less cumbersome and extensive than were those of many other peoples.
89:1.4
(975-1)
달라마시아에덴의 일곱 계명들은, 히브리인들의 열 가지 명령들과 마찬가지로, 한정된 금기들이었고, 대부분의 옛날 금지 조항들처럼 동일한 부정적인 형태로 모든 것들이 표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보다 새로운 법전들은 선재하는 수천 가지의 금기들을 대치시키면서 진정으로 해방시키고 있었다. 그리고 이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러한 후대의 계명들이 순종에 대한 대가로 어떤 것을 명확하게 약속하였다는 점이다.The seven commandments of Dalamatia and Eden, as well as the ten injunctions of the Hebrews, were definite taboos, all expressed in the same negative form as were the most ancient prohibitions. But these newer codes were truly emancipating in that they took the place of thousands of pre-existent taboos. And more than this, these later commandments definitely promised something in return for obedience.
89:1.5
(975-2)
초기의 음식에 대한 금기들은 주물숭배와 토템 숭배 속에서 기원되었다. 페니키아 사람들에게는 돼지가 거룩한 존재이고, 힌두교 신자들에게는 소가 거룩한 존재이다. 돼지고기에 대한 이집트인들의 금기는 히브리 신앙과 이슬람 신앙 속에 영속되었다. 음식에 대한 금기로부터 변형된 한 형태는, 임신한 여인이 어떤 특정한 음식을 너무 많이 생각하게 되면 태어난 아이도 그 음식을 좋아하게 된다고 믿는 것이었다. 그러한 음식물은 그 아이에게 금기가 되곤 하였다.The early food taboos originated in fetishism and totemism. The swine was sacred to the Phoenicians, the cow to the Hindus. The Egyptian taboo on pork has been perpetuated by the Hebraic and Islamic faiths. A variant of the food taboo was the belief that a pregnant woman could think so much about a certain food that the child, when born, would be the echo of that food. Such viands would be taboo to the child.
89:1.6
(975-3)
빨리 먹는 태도는 금기가 되었고, 그리하여 고대와 현대의 식탁 예절이 기원되었다. 특권계급 체계들과 사회적 차원들은 옛날의 금지 조항들이 남아 있는 흔적이다. 금기들은 사회가 조직되는 데 있어서 매우 효력이 있었지만, 몹시 부담이 되는 것이었다; 부정적인-금지 체계는 유용하고 건설적인 규정들을 유지하였을 뿐만 아니라, 진부하고 시대에 뒤진 그리고 쓸모없는 금기들도 유지하였다.Methods of eating soon became taboo, and so originated ancient and modern table etiquette. Caste systems and social levels are vestigial remnants of olden prohibitions. The taboos were highly effective in organizing society, but they were terribly burdensome; the negative-ban system not only maintained useful and constructive regulations but also obsolete, outworn, and useless taboos.
89:1.7
(975-4)
그러나, 이러한 광범위하고 잡다한 금기들을 제외한다면, 어떤 문명화된 사회도 원시인을 비판할 만한 자격이 없을 것이며, 원시종교에서의 금기를 유지하는 지지가 없었다면 금기는 결코 지탱되지 못하였을 것이다. 사람의 진화에 있어서 근본적인 요소들 대부분은 매우 값이 비쌌는데, 노력과 희생 제물과 자아-부정에 있어서 막대한 대가를 치렀지만, 자아-통제의 이러한 업적들은 그 위에서 사람이 위로 향한 문명의 사다리를 기어 올라가게 하는 실제 발판이었다.There would, however, be no civilized society to sit in criticism upon primitive man except for these far-flung and multifarious taboos, and the taboo would never have endured but for the upholding sanctions of primitive religion. Many of the essential factors in man’s evolution have been highly expensive, have cost vast treasure in effort, sacrifice, and self-denial, but these achievements of self-control were the real rungs on which man climbed civilization’s ascending ladder.
2. 죄의 개념 2. The Concept of Sin
89:2.1
(975-5)
운(運)에 대한 두려움과 불행에 대한 공포는, 이러한 재난들을 막는 대비책으로 여겨지는 원시적인 종교를 창안하도록 문자 그대로 사람을 내몰았다. 종교는 마술과 귀신들로부터 진화하여 영들과 주물들의 단계를 거쳐 금기들로 진화하였다. 원시적인 모든 부족들 각각은 금지된 열매의 나무, 글자 그대로는 사과나무이지만, 수천 개의 가지에는 온갖 종류의 금기들이 무겁게 주렁주렁 달려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그리고 그 금지된 나무는 언제나 “이것을 해서는 안 된다.”고 말하고 있다.The fear of chance and the dread of bad luck literally drove man into the invention of primitive religion as supposed insurance against these calamities. From magic and ghosts, religion evolved through spirits and fetishes to taboos. Every primitive tribe had its tree of forbidden fruit, literally the apple but figuratively consisting of a thousand branches hanging heavy with all sorts of taboos. And the forbidden tree always said, “Thou shalt not.”
89:2.2
(975-6)
원시적인 마음 상태가 선한 영들과 악한 영들을 모두 상상하는 단계까지 진화하게 되고, 금기가 진화하는 종교로부터 진지한 동조를 얻게 되자, 에 대한 새로운 개념이 출현할 수 있는 무대가 모두 준비되었다. 죄에 대한 관념은 계시된 종교가 모습을 드러내기 전에 전 세계적으로 조성되어 있었다. 자연적인 죽음이 원시적인 마음에게 논리적으로 받아들여 진 것은 오직 죄에 대한 개념에 의해서였다. 죄는 금기를 어긴 것이었고, 죽음은 죄에 대한 대가였다.As the savage mind evolved to that point where it envisaged both good and bad spirits, and when the taboo received the solemn sanction of evolving religion, the stage was all set for the appearance of the new conception of sin. The idea of sin was universally established in the world before revealed religion ever made its entry. It was only by the concept of sin that natural death became logical to the primitive mind. Sin was the transgression of taboo, and death was the penalty of sin.
89:2.3
(975-7)
죄는 이성적인 것이 아니라 종교 의식적인 것이었다; 사고(思考)가 아니라 행동이었다. 그리고 죄에 대한 이러한 전체 개념은, 이 땅에 있었던 작은 파라다이스 시대와 딜문으로부터 면면히 내려오는 전통들에 의해서 조성되었다. 에덴동산아담의 전통 역시 인종들의 여명기에 있었던 한 때의 “황금기”에 대한 몽상의 요소가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모든 것으로 인하여, 사람이 특별한 창조에서 기원되었다는 것과, 처음에는 완전한 상태에서 출발하였다는 것, 그리고 금기를 범함으로써─죄─나중에 비참한 상태에 빠지게 되었다고 믿는 형태로 후대에 표현되었던 것이다.Sin was ritual, not rational; an act, not a thought. And this entire concept of sin was fostered by the lingering traditions of Dilmun and the days of a little paradise on earth. The tradition of Adam and the Garden of Eden also lent substance to the dream of a onetime “golden age” of the dawn of the races. And all this confirmed the ideas later expressed in the belief that man had his origin in a special creation, that he started his career in perfection, and that transgression of the taboos ─ sin ─ brought him down to his later sorry plight.
89:2.4
(976-1)
금기의 습관적인 위반은 악한 것이 되었고; 원시적인 법은 악한 것을 범죄로 규정하였다; 종교는 그것을 죄라고 하였다. 초기 시대의 부족들 사이에서 금기를 어기는 것은 범죄와 죄가 병합된 의미였다. 공동체가 겪는 재난은 언제나 부족의 죄에 대한 응징으로 간주되었다. 정의로움과 번영이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믿는 사람들에게는, 사악한 자들이 겉으로 보기에 행복을 누리는 것이 너무도 괴로운 일이었기 때문에, 금기들을 어긴 사람들을 위한 지옥의 개념을 창안해 내지 않을 수 없었다; 미래의 형벌이 마련된 이 장소들의 숫자는 하나에서부터 다섯까지 다양하였다.The habitual violation of a taboo became a vice; primitive law made vice a crime; religion made it a sin. Among the early tribes the violation of a taboo was a combined crime and sin. Community calamity was always regarded as punishment for tribal sin. To those who believed that prosperity and righteousness went together, the apparent prosperity of the wicked occasioned so much worry that it was necessary to invent hells for the punishment of taboo violators; the numbers of these places of future punishment have varied from one to five.
89:2.5
(976-2)
자백과 용서에 대한 관념은 원시적인 종교에서 일찍부터 출현하였다. 사람들은 공개적인 회의 장소에서 자기 죄에 대한 용서를 빌고 그 다음 주에는 다시 죄를 범하곤 하였다. 자백은 단순히 용서를 위한 예식에 불과하였고, 죄를 범한 것에 대한 공개적인 통고, “불결하다, 불결하다!”고 외치는 예식에 불과하였다. 그 다음에는 정결케 하는 예식 순서들이 이어졌다. 고대의 모든 민족들은 이러한 무의미한 실천 관행들을 행하였다. 겉으로 보기에 위생적인 것으로 보이는 옛 부족들의 대부분의 관습들이 대개는 의례적인 것이었다.The idea of confession and forgiveness early appeared in primitive religion. Men would ask forgiveness at a public meeting for sins they intended to commit the following week. Confession was merely a rite of remission, also a public notification of defilement, a ritual of crying “unclean, unclean!” Then followed all the ritualistic schemes of purification. All ancient peoples practiced these meaningless ceremonies. Many apparently hygienic customs of the early tribes were largely ceremonial.
3. 금욕과 굴종 3. Renunciation and Humiliation
89:3.1
(976-3)
금욕이 종교 진화에 있어서 다음 단계로 발생되었다; 금식이 일반적인 관례였다. 여러 가지 형태의 육체적인 쾌락들, 특별히 성(性)적 자연본성을 삼가는 것이 곧 관습으로 굳어졌다. 금식하는 예식은 고대의 여러 종교들 속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었으며 실천적으로는 현대의 모든 신학적 생각체계에 까지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Renunciation came as the next step in religious evolution; fasting was a common practice. Soon it became the custom to forgo many forms of physical pleasure, especially of a sexual nature. The ritual of the fast was deeply rooted in many ancient religions and has been handed down to practically all modern theologic systems of thought.
89:3.2
(976-4)
미개인들이 죽은 사람의 재산을 태우고 땅 속에 묻는 낭비적인 실천 관행에서 벗어나던 바로 그 때, 그 종족들의 경제 구조가 형성되기 시작할 무렵에, 금욕에 대한 이러한 새로운 종교적 교리가 모습을 드러냈으며, 진지한 혼을 가진 수만 명의 사람들이 가난한 상태를 즐기기 시작하였다. 재산은 하나의 영적인 불이익으로 간주되었다. 물질적인 소유의 영적인 위험성에 대한 이러한 관념은 필로바울의 시대에 널리 유행되었으며, 유례가 없었던 강력한 영향을 유럽의 철학에 미쳤다.Just about the time barbarian man was recovering from the wasteful practice of burning and burying property with the dead, just as the economic structure of the races was beginning to take shape, this new religious doctrine of renunciation appeared, and tens of thousands of earnest souls began to court poverty. Property was regarded as a spiritual handicap. These notions of the spiritual dangers of material possession were widespreadly entertained in the times of Philo and Paul, and they have markedly influenced European philosophy ever since.
89:3.3
(976-5)
가난은 육신의 고행에 대한 예식의 일부분이었으며, 불행하게도, 많은 종교들 특히 그리스도교의 문헌들과 가르침들 속에 삽입되었다. 참회는 고행이라는 바보스러운 흔한 예식의 부정적인 형태이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이 미개인들에게 자아-통제를 가르쳤으며, 그것은 사회적 진화에 있어서 상당한 발전이었다. 자아-부정과 자아-통제는 초기의 진화 종교로부터 얻은 두 가지의 가장 큰 사회적 소득이었다. 자아-통제는 새로운 삶의 철학을 사람에게 제공하였고; 이기적 충족이라는 분자(分子)를 증강시키려고 항상 애쓰는 대신에 개인적인 욕구들이라는 분모(分母)를 낮춤으로써 삶이라는 분수(分數)를 증가시키는 기술을 가르쳐 주었다.Poverty was just a part of the ritual of the mortification of the flesh which, unfortunately, became incorporated into the writings and teachings of many religions, notably Christianity. Penance is the negative form of this ofttimes foolish ritual of renunciation. But all this taught the savage self-control, and that was a worth-while advancement in social evolution. Self-denial and self-control were two of the greatest social gains from early evolutionary religion. Self-control gave man a new philosophy of life; it taught him the art of augmenting life’s fraction by lowering the denominator of personal demands instead of always attempting to increase the numerator of selfish gratification.
89:3.4
(976-6)
자아-단련에 대한 이러한 옛 관념들은 모든 종류의 육체적인 고문과 매질을 포옹하였다. 어머니 예배종파의 사제들이 특히 육체적인 고통의 덕목을 적극적으로 가르쳤는데, 스스로 거세함으로써 본을 보이려고 하였다. 히브리인들과 힌두교인들 그리고 불교도들은 육체적인 굴욕에 대한 이 교리들을 진지하게 신봉하였다.These olden ideas of self-discipline embraced flogging and all sorts of physical torture. The priests of the mother cult were especially active in teaching the virtue of physical suffering, setting the example by submitting themselves to castration. The Hebrews, Hindus, and Buddhists were earnest devotees of this doctrine of physical humiliation.
89:3.5
(976-7)
옛날에는 모든 사람들이 이런 식으로 해서 자기 하느님들의 자아-부정 장부책에서 여분의 신용 한계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어떤 감정적인 압박을 당할 때 자아-부정과 자아-고통의 맹세를 하는 것이 한 때의 관습이었다. 이러한 맹세를 할 때 하느님들과의 계약이 성사된다고 생각하였으며, 그러한 개념에서 그것은 참된 진화적인 발전을 나타내었는데 그 속에서 그 하느님들이 이러한 자아-고문과 육체의 고행에 대한 대가로 확실한 어떤 것을 행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맹세는 부정적인 동시에 긍정적이다. 해롭고도 과격한 특성을 갖는 이 맹세들은 인도의 특정한 집단들 속에서 오늘날 가장 잘 발견되고 있다.All through the olden times men sought in these ways for extra credits on the self-denial ledgers of their gods. It was once customary, when under some emotional stress, to make vows of self-denial and self-torture. In time these vows assumed the form of contracts with the gods and, in that sense, represented true evolutionary progress in that the gods were supposed to do something definite in return for this self-torture and mortification of the flesh. Vows were both negative and positive. Pledges of this harmful and extreme nature are best observed today among certain groups in India.
89:3.6
(977-1)
금욕과 굴종을 부르짖는 예배종파가 성(性)적인 충족에 관심을 기울여 왔다는 것은 아주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성욕을 절제하는 예배종파는 전투에 참여하기 전에 군인들 사이에서 행해졌던 일종의 예식으로서 기원했다; 나중에는 이것이 “성자들”의 실천 관행이 되었다. 이 예배종파는 간음보다는 약간 덜한 하나의 악한 것으로 결혼을 허용하였다. 세계적인 큰 종교들 대부분은 이러한 고대의 예배종파에 의해서 불리한 영향을 받아왔지만, 어떤 것도 그리스도교만큼 뚜렷한 영향을 받지는 않았다. 사도 바울은 이러한 예배종파를 신봉하였으며, 그의 개인적인 견해는 그가 그리스도교 신학으로 확정 시켰던 그 가르침들 속에 반영되었다. “남자가 여자를 접촉하지 않는 것이 좋다.” “모든 남자들이 나처럼 되기를 원한다.” “그러므로 결혼하지 않은 자들과 과부들에게 말하겠는데, 나처럼 홀로 사는 것이 그들에게 좋을 것이다.” 바울은 그러한 교훈들이 예수의 복음의 일부분이 아니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으며, 이러한 그의 고백은, “내가 이렇게 말하는 것은 명령이 아니라 허락하는 것이다”라는 그의 말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 예배종파가 바울로 하여금 여자들을 무시하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유감스러운 일은, 그의 개인적인 의견들이 하나의 위대한 세계적인 종교의 교훈들 속에 오랫동안 영향을 미쳐 왔다는 사실이다. 만약에 천막을 만드는 자였고 선생이었던 그의 충고가 문자 그대로 그리고 보편적으로 지켜졌다면, 인간 종족은 갑작스럽게 불명예스러운 종말을 맞이하였을 것이다. 더욱이, 어떤 종교가 고대의 금욕적인 예배종파에 휩쓸려 들어가게 되면, 인간 진화의 기본 제도이고 사회적인 참된 기초에 해당하는 가정과 결혼에 항거하는 전쟁이 직접적으로 발생된다. 그리고 그러한 모든 신념들이, 다양한 민족들의 여러 종교들 속에서 독신자 사제 제도의 형성을 조장하였다는 사실은, 놀랄만한 것이 아니다.It was only natural that the cult of renunciation and humiliation should have paid attention to sexual gratification. The continence cult originated as a ritual among soldiers prior to engaging in battle; in later days it became the practice of “saints.” This cult tolerated marriage only as an evil lesser than fornication. Many of the world’s great religions have been adversely influenced by this ancient cult, but none more markedly than Christianity. The Apostle Paul was a devotee of this cult, and his personal views are reflected in the teachings which he fastened onto Christian theology: “It is good for a man not to touch a woman.” “I would that all men were even as I myself.” “I say, therefore, to the unmarried and widows, it is good for them to abide even as I.” Paul well knew that such teachings were not a part of Jesus’ gospel, and his acknowledgment of this is illustrated by his statement, “I speak this by permission and not by commandment.” But this cult led Paul to look down upon women. And the pity of it all is that his personal opinions have long influenced the teachings of a great world religion. If the advice of the tentmaker-teacher were to be literally and universally obeyed, then would the human race come to a sudden and inglorious end. Furthermore, the involvement of a religion with the ancient continence cult leads directly to a war against marriage and the home, society’s veritable foundation and the basic institution of human progress. And it is not to be wondered at that all such beliefs fostered the formation of celibate priesthoods in the many religions of various peoples.
89:3.7
(977-2)
방종함이 없는 해방, 포식함이 없는 영양 섭취, 방탕함이 없는 즐거움을 어떻게 누릴 수 있을지를 언젠가는 사람이 배워야만 할 것이다. 자아-통제는 극단적인 자아-부정보다 행실을 규제함에 있어서 더 나은 인간적 방침이다. 예수는 이러한 비합리적인 견해들을 자기 추종자들에게 가르친 적이 한 번도 없었다.Someday man should learn how to enjoy liberty without license, nourishment without gluttony, and pleasure without debauchery. Self-control is a better human policy of behavior regulation than is extreme self-denial. Nor did Jesus ever teach these unreasonable views to his followers.
4. 희생 제물의 기원 4. Origins of Sacrifice
89:4.1
(977-3)
종교적인 헌신의 일부분으로서의 희생제물은, 다른 여러 경건한 예식들과 마찬가지로, 단순하고 간단하게 기원되지 않았다. 권세자들 앞에서 허리를 숙이고 신비적인 현존 앞에서 경건한 경배를 드리며 엎드리려는 경향은, 자기 주인 앞에서 아양을 떠는 개(犬)의 태도에 잘 예시되고 있다. 그것은 경배의 충동으로부터 희생제물을 제공하는 행동으로 한 계단 상승하는 것에 불과하다. 원시인은 자기가 당하는 고통에 의해서 자신의 희생제물의 가치를 측정한다. 희생제물에 대한 관념이 처음으로 종교적인 예식에 덧붙여졌을 때에는, 고통을 수반하지 않는 희생제물은 생각할 수도 없는 것이었다. 최초의 희생제물들은 머리카락을 뽑고, 살을 도려내고, 수족을 절단하고, 이를 뽑아내고, 손가락을 자르는 행위였다. 문명이 발전하면서, 희생제물에 대한 이러한 거친 개념들은 자아-포기, 고행, 금식, 궁핍에 대한 예식의 차원으로 향상되었고, 나중에는 슬픔과 고난 그리고 육체적인 고행을 통하여 성화(聖化)된다는 그리스도교 교리로 발전하였다.Sacrifice as a part of religious devotions, like many other worshipful rituals, did not have a simple and single origin. The tendency to bow down before power and to prostrate oneself in worshipful adoration in the presence of mystery is foreshadowed in the fawning of the dog before its master. It is but one step from the impulse of worship to the act of sacrifice. Primitive man gauged the value of his sacrifice by the pain which he suffered. When the idea of sacrifice first attached itself to religious ceremonial, no offering was contemplated which was not productive of pain. The first sacrifices were such acts as plucking hair, cutting the flesh, mutilations, knocking out teeth, and cutting off fingers. As civilization advanced, these crude concepts of sacrifice were elevated to the level of the rituals of self-abnegation, asceticism, fasting, deprivation, and the later Christian doctrine of sanctification through sorrow, suffering, and the mortification of the flesh.
89:4.2
(977-4)
종교의 진화에 있어서 초기 단계에는 희생 제물에 대한 두 가지 개념들이 존재하였는데: 감사를 드리는 태도를 의미하는 감사의 희생 제물과, 보상의 관념이 포옹된, 빚을 갚는 희생 제물이 있었다. 나중에는 대속(代贖)의 관념이 발전되었다.Early in the evolution of religion there existed two conceptions of the sacrifice: the idea of the gift sacrifice, which connoted the attitude of thanksgiving, and the debt sacrifice, which embraced the idea of redemption. Later there developed the notion of substitution.
89:4.3
(977-5)
더 후대에는 어떤 형태로든지 희생제물을 제공하면 하느님들에게 메시지가 전달된다고 생각하였다; 향기로운 냄새로 신(神)을 만족시킬 수 있다고 믿었다. 이것이 희생제물을 제공하는 의식에 있어서 향을 피우고 다른 여러 가지 미적(美的) 특성들을 첨부시켰는데 그것들은 희생제물을 제공하는 축제로 발전되었고,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더 정교하고 화려한 것이 되었다.Man still later conceived that his sacrifice of whatever nature might function as a message bearer to the gods; it might be as a sweet savor in the nostrils of deity. This brought incense and other aesthetic features of sacrificial rituals which developed into sacrificial feasting, in time becoming increasingly elaborate and ornate.
89:4.4
(978-1)
종교가 진화되자, 화해와 속죄의 희생 제물 의식이 옛날의 도피와 달래기와 쫓아내기 방법들을 대치하였다.As religion evolved, the sacrificial rites of conciliation and propitiation replaced the older methods of avoidance, placation, and exorcism.
89:4.5
(978-2)
희생 제물에 대한 가장 초기의 관념은 조상의 영들에 의해서 중립적인 평가가 이루어진다는 것이었고; 후대에 이르러서야 죄 값에 대한 관념이 발전되었다. 행성영주 시대와 아담이 머물러 있던 시대의 전통들이 시대의 변천에 따라 점차 제거됨에 따라, 종족의 진화적적인 기원에 대한 개념이 사람들로부터 점차 사라지게 됨에 따라, 죄와 원죄(原罪)에 대한 개념이 널리 퍼지게 되었고, 그렇게 해서 우발적이고 개인적인 죄에 대한 희생 제물이 인종적인 죄에 대한 값을 치르는 희생 제물 교리로 진화되었다. 희생 제물로 죄 값을 치르는 것은 알지 못하는 하느님의 분노와 질투심까지라도 해결할 수 있는 총체적인 대비책이었다.The earliest idea of the sacrifice was that of a neutrality assessment levied by ancestral spirits; only later did the idea of atonement develop. As man got away from the notion of the evolutionary origin of the race, as the traditions of the days of the Planetary Prince and the sojourn of Adam filtered down through time, the concept of sin and of original sin became widespread, so that sacrifice for accidental and personal sin evolved into the doctrine of sacrifice for the atonement of racial sin. The atonement of the sacrifice was a blanket insurance device which covered even the resentment and jealousy of an unknown god.
89:4.6
(978-3)
너무나도 많은 민감한 영들과 욕심 많은 하느님들로 둘러싸인 채로, 원시인은 자신의 영적인 빚을 평생토록 갚기 위하여, 사제들과 예식과 희생 제물들 전체를 요구하는 수많은 채권자 신(神)들과 대면하고 있었다. 원죄에 대한 교리, 또는 인종적인 죄는, 모든 사람들이 영의 권세자들에게 심각한 빚을 진 상태에서 삶을 시작하게 만들었다.Surrounded by so many sensitive spirits and grasping gods, primitive man was face to face with such a host of creditor deities that it required all the priests, ritual, and sacrifices throughout an entire lifetime to get him out of spiritual debt. The doctrine of original sin, or racial guilt, started every person out in serious debt to the spirit powers.
89:4.7
(978-4)
재능들과 자질들이 사람에게 주어지지만; 하느님들에게 바칠 때에는, 그것들이 봉헌된 것으로 설명되거나, 신성시되거나, 또는 희생 제물이라고 불려진다. 포기하는 것은 부정적인 형태의 속죄였으며; 희생 제물은 긍정적인 형태가 되었다. 속죄의 행위에는 산양과 찬미와 아첨하는 말 그리고 심지어는 연회를 베푸는 것까지도 포함되었다. 그리고 현대적인 형태의 신성한 경배들을 구성하고 있는 것은, 옛날의 속죄 예배종파의 이러한 긍정적인 실천 관행들이 남아 있는 것이다. 지금-현재의 경배 형태들은 긍정적인 속죄에 해당하는 이러한 옛날의 희생 제물 기법들을 의례화 시킨 것에 불과하다.Gifts and bribes are given to men; but when tendered to the gods, they are described as being dedicated, made sacred, or are called sacrifices. Renunciation was the negative form of propitiation; sacrifice became the positive form. The act of propitiation included praise, glorification, flattery, and even entertainment. And it is the remnants of these positive practices of the olden propitiation cult that constitute the modern forms of divine worship. Present-day forms of worship are simply the ritualization of these ancient sacrificial techniques of positive propitiation.
89:4.8
(978-5)
원시인들에게 있어서 동물 희생제물은 현대의 인종들이 부여할 수 있는 의미보다 훨씬 많은 것을 의미하였다. 이 미개인들은 그 동물들을 자기들의 실재적이고 가까운 친족으로 간주하였다. 시간이 지나가면서, 사람은 자신의 희생제물을 제공하는 데 있어서 영리함을 보이게 되어, 자신의 일을 돕는 동물들은 제공하지 않게 되었다. 처음에는 길들여진 동물들을 포함하여 모든 것들 중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희생제물을 제공했던 것이다.Animal sacrifice meant much more to primitive man than it could ever mean to modern races. These barbarians regarded the animals as their actual and near kin. As time passed, man became shrewd in his sacrificing, ceasing to offer up his work animals. At first he sacrificed the best of everything, including his domesticated animals.
89:4.9
(978-6)
이집트의 어떤 통치자가 자신이 희생 제물로 바쳤던 것에 대해 다음과 같이 공표하였을 때 그것은 빈말로 자랑하는 것이 아니었다: 113,433명의 노예, 493,386마리의 가축, 88척의 배, 2,756개의 금으로 된 형상들, 331,702병의 꿀과 기름, 228,380병의 포도주, 680,714마리의 거위, 6,744,428덩어리의 빵, 5,740,352자루의 동전. 그리고 이러한 일을 하기 위하여 그는 고생하는 자기 백성들로부터 심한 세금을 거두어 들였음에 틀림없다.It was no empty boast that a certain Egyptian ruler made when he stated that he had sacrificed: 113,433 slaves, 493,386 head of cattle, 88 boats, 2,756 golden images, 331,702 jars of honey and oil, 228,380 jars of wine, 680,714 geese, 6,744,428 loaves of bread, and 5,740,352 sacks of corn. And in order to do this he must needs have sorely taxed his toiling subjects.
89:4.10
(978-7)
반(半) 야만적인 이들은 순수하게 궁핍함 때문에 결국에는 자기들이 희생 제물로 바친 것들 중에서 물질적인 부분을 먹도록 내몰았고, 하느님들은 그것으로부터 떠난 혼을 즐겁게 받아들인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이런 관습은 옛날의 성스러운 음식이라는, 현대의 용법에 따르면 성찬식인 교제 봉사라는 구실 아래에서 정당성을 발견했다.Sheer necessity eventually drove these semisavages to eat the material part of their sacrifices, the gods having enjoyed the soul thereof. And this custom found justification under the pretense of the ancient sacred meal, a communion service according to modern usage.
5. 희생 제물과 식인(食人) 풍습 5. Sacrifices and Cannibalism
89:5.1
(978-8)
초기 시대의 식인 풍습에 대한 현대인들의 관념은 전반적으로 잘못된 것인데; 그것은 초기 사회의 사회관례들 중의 일부분이었다. 식인 풍습이 현대의 문명인들에게 전통적으로 끔찍한 일로 받아들여지는 반면, 그것은 원시적인 사회의 사회적이고 종교적인 구조의 일부분이었다. 집단적인 유익을 위하여 식인 풍습의 실천을 강요하였던 것이다. 그것은 궁핍함의 압박감에서 발생되었고, 미신과 무지에 노예 상태가 되었기 때문에 계속 유지되었다. 그것은 사회적, 경제적, 종교적, 군사적 관습이었다.Modern ideas of early cannibalism are entirely wrong; it was a part of the mores of early society. While cannibalism is traditionally horrible to modern civilization, it was a part of the social and religious structure of primitive society. Group interests dictated the practice of cannibalism. It grew up through the urge of necessity and persisted because of the slavery of superstition and ignorance. It was a social, economic, religious, and military custom.
89:5.2
(979-1)
초기의 사람은 사람을 먹었다; 사람의 살을 맛있게 먹었고, 그렇기 때문에 그것을 자신의 원시적인 하느님들과 영들에게 선물로 드리는 음식으로 바쳤다. 귀신이 된 영들은 단순히 변형된 사람들로 여겨졌기 때문에, 그리고 음식은 사람에게 가장 중대한 필수품이었기 때문에, 영들에게도 음식이 가장 중요할 것임에 틀림없다고 생각하였다.Early man was a cannibal; he enjoyed human flesh, and therefore he offered it as a food gift to the spirits and his primitive gods. Since ghost spirits were merely modified men, and since food was man’s greatest need, then food must likewise be a spirit’s greatest need.
89:5.3
(979-2)
식인 풍습은 진화하는 종족들 사이에서 한때 거의 보편적인 것이었다. 산긱들은 모두 식인 풍습을 갖고 있었지만, 안돈-사람들은 기원적으로는 그러한 풍습이 없었고, 놋-사람들과 아담-사람들도 그러하였다; 안드-사람들도 진화하는 종족들과 심하게 섞인 이후까지 그러한 풍습이 없었다.Cannibalism was once well-nigh universal among the evolving races. The Sangiks were all cannibalistic, but originally the Andonites were not, nor were the Nodites and Adamites; neither were the Andites until after they had become grossly admixed with the evolutionary races.
89:5.4
(979-3)
인간의 고기를 먹는 것을 점점 더 좋아하게 되었다. 배고픔, 우정, 복수심, 또는 종교 의식을 통하여 시작되었지만, 인간의 고기를 먹는 것은 습관적인 식인 풍습으로 변하였다. 사람을 먹는 것은, 숨어 있는 이유들이 있는 경우도 드물게 있지만, 음식 부족 때문에 발생되었다. 그러나 에스키모들과 초기의 안돈-사람들은 굶어 죽게 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식인 풍습이 없었다. 적색 인종, 특별히 중앙 아메리카에 있었던 그들은 사람을 먹었다. 분만을 하면서 잃은 힘을 새롭게 하기 위해서 자기 아이를 죽여서 먹는 것이 원시적인 어머니들에게 한때 일반적인 실천 관행이었으며, 퀸즐랜드에서는 아직도 첫 아이를 죽여서 먹는 일이 종종 벌어지고 있다. 최근에 이르러서 식인 풍습은 아프리카의 여러 부족들에 의해 하나의 전쟁을 벌이는 방법, 이웃을 공포의 도가니로 몰아넣는 일종의 소름끼치는 일로 고의적으로 이용되어 왔다.The taste for human flesh grows. Having been started through hunger, friendship, revenge, or religious ritual, the eating of human flesh goes on to habitual cannibalism. Man-eating has arisen through food scarcity, though this has seldom been the underlying reason. The Eskimos and early Andonites, however, seldom were cannibalistic except in times of famine. The red men, especially in Central America, were cannibals. It was once a general practice for primitive mothers to kill and eat their own children in order to renew the strength lost in childbearing, and in Queensland the first child is still frequently thus killed and devoured. In recent times cannibalism has been deliberately resorted to by many African tribes as a war measure, a sort of frightfulness with which to terrorize their neighbors.
89:5.5
(979-4)
어떤 식인 풍습은 한 때 우월하였던 혈통들의 퇴화에서 기인되기도 하였지만, 그것은 대개 진화적인 인종들 사이에서 널리 퍼져 있었다. 사람을 잡아먹는 일은 자기 적들에 대해서 격렬하고 냉혹한 감정을 체험하였을 때 발생되었다. 사람의 살을 먹는 것이 복수에 대한 엄숙한 예식의 한 부분이 되었다; 이런 식으로 해서 적의 귀신이 파괴되거나 또는 먹는 사람의 귀신과 융합된다고 믿었다. 요술쟁이들이 인간의 살을 먹음으로써 힘을 얻는다는 믿음이 한 때 널리 퍼져 있었다.Some cannibalism resulted from the degeneration of once superior stocks, but it was mostly prevalent among the evolutionary races. Man-eating came on at a time when men experienced intense and bitter emotions regarding their enemies. Eating human flesh became part of a solemn ceremony of revenge; it was believed that an enemy’s ghost could, in this way, be destroyed or fused with that of the eater. It was once a widespread belief that wizards attained their powers by eating human flesh.
89:5.6
(979-5)
사람을 잡아먹는 어떤 집단들은 오직 자기 부족민만을 먹었는데, 허위적인 영적 근친결혼이 부족의 단결을 튼튼하게 해주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그들은 또한 자신들의 힘을 충당시킨다는 관념에서 원한을 갚기 위해 적을 잡아먹었다. 동료 부족 또는 친구의 시체를 먹는 것이 그 혼에게 영광스러운 일로 간주된 반면, 그렇게 먹는 것이 적에게는 다만 확실한 형벌이 되었을 뿐이었다. 미개인들의 마음속에는 항상 모순들이 있었다.Certain groups of man-eaters would consume only members of their own tribes, a pseudospiritual inbreeding which was supposed to accentuate tribal solidarity. But they also ate enemies for revenge with the idea of appropriating their strength. It was considered an honor to the soul of a friend or fellow tribesman if his body were eaten, while it was no more than just punishment to an enemy thus to devour him. The savage mind made no pretensions to being consistent.
89:5.7
(979-6)
어떤 부족들 가운데에서는 나이 많은 부모들이 자기 자녀들에 의해서 잡혀 먹히기를 원하였다; 또 어떤 부족들 가운데에서는 가까운 친족들이 먹지 못하도록 금지되는 관습이 있었다; 그들의 시체들은 낯선 사람들에게 팔리거나 또는 그들의 시체들과 교환되었다. 도살하기 위하여 살을 찌게 한 여자들과 아이들을 거래하는 일도 상당히 많이 있었다. 질병이나 전쟁에 의해서 인구가 통제되지 못하게 될 때에는, 과잉된 숫자를 아무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잡아먹었다.Among some tribes aged parents would seek to be eaten by their children; among others it was customary to refrain from eating near relations; their bodies were sold or exchanged for those of strangers. There was considerable commerce in women and children who had been fattened for slaughter. When disease or war failed to control population, the surplus was unceremoniously eaten.
89:5.8
(979-7)
식인 풍습이 점차적으로 사라진 것은 다음과 같은 영향 때문이었다:Cannibalism has been gradually disappearing because of the following influences:
89:5.9
(979-8)
1. 그것이 때로는 공동 사회의 예식, 동료 부족에게 사형이 부과된 것에 대해 집단적인 책임이 있다고 생각되었다. 전체가, 공동체가 참여할 때에는 살인죄가 범죄가 되지 않았다. 아시아에서 마지막까지 남아 있었던 식인 풍습은 이와 같이 사형이 집행된 죄수를 먹는 것이었다.1. It sometimes became a communal ceremony, the assumption of collective responsibility for inflicting the death penalty upon a fellow tribesman. The blood guilt ceases to be a crime when participated in by all, by society. The last of cannibalism in Asia was this eating of executed criminals.
89:5.10
(979-9)
2. 그것이 매우 일찍부터 종교적인 예식이 되었지만, 귀신에 대한 증대되는 두려움이 사람을 잡아먹는 일을 줄여주도록 항상 작용한 것은 아니었다.2. It very early became a religious ritual, but the growth of ghost fear did not always operate to reduce man-eating.
89:5.11
(979-10)
3. 결국에는 시체의 특정 부위 또는 기관들만을 먹는 상황으로 발전하였는데, 그 부위들은 혼을 담고 있거나 영의 일부분을 담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피를 마시는 일이 일반화되었고, 육신 중에서 “먹을 수 있는” 부분들을 약품과 섞는 것이 관습이었다.3. Eventually it progressed to the point where only certain parts or organs of the body were eaten, those parts supposed to contain the soul or portions of the spirit. Blood drinking became common, and it was customary to mix the “edible” parts of the body with medicines.
89:5.12
(980-1)
4. 그것이 남자들에게 제한되었고; 여자들은 사람의 살을 먹지 못하도록 금지되었다.4. It became limited to men; women were forbidden to eat human flesh.
89:5.13
(980-2)
5. 그 다음에는 족장들과 사제들 그리고 무당들에게만 먹을 수 있도록 제한되었다.5. It was next limited to the chiefs, priests, and shamans.
89:5.14
(980-3)
6. 그 후에는 그것이 보다 높은 부족들 사이에서 금기가 되었다. 사람을 잡아먹는 것에 대한 금기는 달라마시아에서 기원되었고 서서히 온 세계에 퍼져 나갔다. 놋-사람들은 식인 풍습에 대항하기 위하여 화장하는 것을 권장하였는데, 땅에 묻은 시체들을 다시 파내서 먹는 것이 한 때 일반적인 실천 관행이었기 때문이다.6. Then it became taboo among the higher tribes. The taboo on man-eating originated in Dalamatia and slowly spread over the world. The Nodites encouraged cremation as a means of combating cannibalism since it was once a common practice to dig up buried bodies and eat them.
89:5.15
(980-4)
7. 인간 희생제물은 식인 풍습에 종말을 고하는 것이었다. 인간의 육체는 우월한 사람들, 우두머리들의 음식이었으며, 그것은 결국에는 더욱 우월한 영들을 위해 남겨졌고, 그리하여 인간 희생제물은 식인 풍습을 효과적으로 멈추게 하였으나, 가장 열등한 부족들의 경우에는 예외였다. 인간을 희생제물로 제공하는 것이 충분히 자리를 잡게 되자, 사람을 잡아먹는 일은 금기가 되었다; 인간의 육체는 오직 하느님들에게만 양식이 되었고; 사람은 예식으로 작은 조각, 성찬만을 먹을 수 있었다.7. Human sacrifice sounded the death knell of cannibalism. Human flesh having become the food of superior men, the chiefs, it was eventually reserved for the still more superior spirits; and thus the offering of human sacrifices effectively put a stop to cannibalism, except among the lowest tribes. When human sacrifice was fully established, man-eating became taboo; human flesh was food only for the gods; man could eat only a small ceremonial bit, a sacrament.
89:5.16
(980-5)
최종적으로는 희생제물을 제공하는 목적에 동물을 대용으로 사용하는 일이 일반화되었으며, 더욱 진보가 늦은 부족들 사이에서도 개를 잡아먹음으로써 사람을 먹는 경우가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개는 최초로 길들여진 동물이었으며 그러한 존재로 그리고 음식으로 가장 존중되었다.Finally animal substitutes came into general use for sacrificial purposes, and even among the more backward tribes dog-eating greatly reduced man-eating. The dog was the first domesticated animal and was held in high esteem both as such and as food.
6. 인간 희생제물의 진화 6. Evolution of Human Sacrifice
89:6.1
(980-6)
인간 희생제물은 식인 풍습의 간접적인 결과였을 뿐만 아니라 그 치료제였다. 영을 호위하여 영의 나라에 안전하게 이르게 하려는 노력 역시 사람을 잡아먹는 일을 줄여주었는데, 희생제물로 제공했던 시체를 먹는 경우는 전혀 없었다. 어떤 형태로든지 그리고 어느 때든지 인간을 희생제물로 제공하는 실천 관행으로부터 전반적으로 벗어난 종족은 없었으며, 심지어는 안돈-사람들과 놋-사람들 그리고 아담-사람들도 가장 미미한 정도이기는 하지만 식인 풍습이 있었다.Human sacrifice was an indirect result of cannibalism as well as its cure. Providing spirit escorts to the spirit world also led to the lessening of man-eating as it was never the custom to eat these death sacrifices. No race has been entirely free from the practice of human sacrifice in some form and at some time, even though the Andonites, Nodites, and Adamites were the least addicted to cannibalism.
89:6.2
(980-7)
인간 희생제물은 실질적으로 널리 퍼져 있었다; 중국인, 힌두인, 이집트인, 히브리인, 메소포타미아인, 그리스인, 로마인, 그리고 다른 여러 민족들의 종교적인 관습 속에 계속 존재하였고, 심지어는 오늘날에도 발달이 늦은 아프리카인과 오스트레일리아 부족들 사이에서 자행되고 있다. 후대의 아메리카 인디언들은 이미 식인 풍습에서 벗어난 문명을 소유하고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특별히 중앙 그리고 남 아메리카에서는 인간 희생제물에 깊이 연루되어 있었다. 갈대아인들은 평범한 경우에 인간 희생제물을 거부하고 동물로 대치시켰던 최초의 사람들에 속하였다. 약 2,000년 전에 일본에서는 어느 인정 많은 황제가 인간을 희생제물로 제공하는 대신에 진흙으로 만든 형상을 제공하도록 가르쳤지만, 이러한 희생제물이 북부 유럽에서 소멸된 지 1,000년이 채 못 되었다. 발달이 늦은 어떤 부족들 사이에서는, 인간 희생제물이 지원자들, 일종의 종교적 또는 제례적 자살 행위에 의해 여전히 수행되고 있다. 어떤 무당은 한 때 특정한 부족 중에서 매우 존중을 받는 노인을 희생제물로 제공하도록 명하기도 하였다. 그 사람들은 반란을 일으켰고; 순종하기를 거부하였다. 그렇게 되자 그 노인은 자기 아들을 시켜서 그를 죽이게 하였다; 옛 사람들은 이러한 관습을 실제로 믿었다.Human sacrifice has been virtually universal; it persisted in the religious customs of the Chinese, Hindus, Egyptians, Hebrews, Mesopotamians, Greeks, Romans, and many other peoples, even on to recent times among the backward African and Australian tribes. The later American Indians had a civilization emerging from cannibalism and, therefore, steeped in human sacrifice, especially in Central and South America. The Chaldeans were among the first to abandon the sacrificing of humans for ordinary occasions, substituting therefor animals. About two thousand years ago a tenderhearted Japanese emperor introduced clay images to take the place of human sacrifices, but it was less than a thousand years ago that these sacrifices died out in northern Europe. Among certain backward tribes, human sacrifice is still carried on by volunteers, a sort of religious or ritual suicide. A shaman once ordered the sacrifice of a much respected old man of a certain tribe. The people revolted; they refused to obey. Whereupon the old man had his own son dispatch him; the ancients really believed in this custom.
89:6.3
(980-8)
기록된 사건들 중에서 예붓다와 그의 외딸에 대한 히브리 이야기보다 더 비극적이고 애처로운 일은 없을 것인데, 고대의 전통적인 관습과 진보적인 문명의 상반되는 요구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가슴을 찢는 듯한 갈등을 보여준다. 일반적인 관습대로, 마음씨 좋은 이 사람은 어리석은 맹세를 하였는데, “전쟁의 신”과 흥정을 하여, 적을 물리치게 해 주는 하나의 대가를 지불하기로 약속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그 대가는 자기가 집으로 돌아갈 때 자기 집에서 첫 번째로 나와 자신을 맞이하는 사람을 희생제물로 제공하는 것이었다. 예붓다는 자신의 믿을만한 종들 중에서 한 사람이 그렇게 자기를 환영할 것이라고 생각하였지만, 그 일은 자기 딸에게 벌어졌고 유일한 자식이 뛰어나와 그를 집안으로 맞아들였던 것이다. 그리하여, 후대에 이르러서까지도 그리고 문명화되었다고 생각되는 민족들 가운데에서도, 이 아름다운 소녀는 두 달 동안 자기 숙명에 대해 슬피 운 후에, 자기 아버지에 의해서 그리고 부족민들의 동의하에 실재적으로 인간 희생제물로 바쳐졌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은 인간을 희생제물로 제공하는 것을 철저하게 금지한 모세의 법 앞에서 자행되었다. 그러나 남녀 어른들은 어리석고 쓸데없는 맹세에 중독되어 있었으며, 노인들은 그러한 모든 서약들을 가장 신성한 것이라고 여겼다.There is no more tragic and pathetic experience on record, illustrative of the heart-tearing contentions between ancient and time-honored religious customs and the contrary demands of advancing civilization, than the Hebrew narrative of Jephthah and his only daughter. As was common custom, this well-meaning man had made a foolish vow, had bargained with the “god of battles,” agreeing to pay a certain price for victory over his enemies. And this price was to make a sacrifice of that which first came out of his house to meet him when he returned to his home. Jephthah thought that one of his trusty slaves would thus be on hand to greet him, but it turned out that his daughter and only child came out to welcome him home. And so, even at that late date and among a supposedly civilized people, this beautiful maiden, after two months to mourn her fate, was actually offered as a human sacrifice by her father, and with the approval of his fellow tribesmen. And all this was done in the face of Moses’ stringent rulings against the offering of human sacrifice. But men and women are addicted to making foolish and needless vows, and the men of old held all such pledges to be highly sacred.
89:6.4
(981-1)
옛날에는, 어떤 중요한 의미가 있는 새 건물이 지어질 때, 한 사람을 죽여서 “기초 희생제물”로 제공하는 것이 관습이었다. 이것은 귀신이 된 영으로 하여금 그 건물을 감시하고 보호하게 하려는 것이었다. 중국인들은 종(鐘)을 주조할 준비가 되었을 때, 그 종의 소리를 아름답게 만들기 위하여 관습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녀를 희생제물로 제공하게 되어 있었다; 선택된 그 소녀는 용해된 쇳물 속으로 산채로 던져졌다.In olden times, when a new building of any importance was started, it was customary to slay a human being as a “foundation sacrifice.” This provided a ghost spirit to watch over and protect the structure. When the Chinese made ready to cast a bell, custom decreed the sacrifice of at least one maiden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tone of the bell; the girl chosen was thrown alive into the molten metal.
89:6.5
(981-2)
중요한 성벽 속에 노예들을 산채로 집어넣는 것이 여러 집단들의 오랫동안의 실천 관행이었다. 후대에 이르러서 북부 유럽의 부족들은 새로운 건물의 벽 속에 살아있는 사람들을 매장시키는 이러한 관습 대신에 지나가는 유령을 가두어 두려고 하였다. 중국인들은 건물을 짓다가 죽은 인부들을 벽 속에 묻었다.It was long the practice of many groups to build slaves alive into important walls. In later times the northern European tribes substituted the walling in of the shadow of a passerby for this custom of entombing living persons in the walls of new buildings. The Chinese buried in a wall those workmen who died while constructing it.
89:6.6
(981-3)
팔레스타인의 어떤 인색한 왕은 여리고 성벽을 지으면서, “자기 첫 번째 아들인 아비람을 그 기초를 위해 제공했고 그 성문들을 위해서는 막내아들인 스굽을 제공했다.” 그러한 후대의 시대에, 그 아버지는 그 성문의 기초석 구멍에 자신의 두 아들들을 산채로 집어넣었을 뿐만 아니라, 그의 행동이 “주님의 말씀에 따라” 하는 것으로 기록되고 있다. 모세는 기초를 위한 이러한 희생제물을 금지하였지만, 이스라엘 사람들은 그가 죽은 직후에 되돌아갔다. 새로운 건물의 주춧돌 속에 장신구들과 기념품들을 보관시키는 20세기의 예식은 기초를 위해 희생제물을 제공하는 원시적 형태의 흔적이다.A petty king in Palestine, in building the walls of Jericho, “laid the foundation thereof in Abiram, his first-born, and set up the gates thereof in his youngest son, Segub.” At that late date, not only did this father put two of his sons alive in the foundation holes of the city’s gates, but his action is also recorded as being “according to the word of the Lord.” Moses had forbidden these foundation sacrifices, but the Israelites reverted to them soon after his death. The twentieth-century ceremony of depositing trinkets and keepsakes in the cornerstone of a new building is reminiscent of the primitive foundation sacrifices.
89:6.7
(981-4)
첫 열매를 영들에게 바치는 것이 오랫동안 관습으로 지켜졌다. 그리고 현재는 다소 상징적인 의미가 된 이러한 관례들은 모두 인간을 희생 제물로 바치던 옛 예식들의 유물들이다. 첫-태생을 희생 제물로 바치는 일이 고대의 사람들에게 멀리 퍼져 있었는데, 특히 페니키아인들은 그것을 포기한 최후의 민족이었다. 희생 제물을 바칠 때 “생명에는 생명으로”라고 말하곤 하였다. 이제 너희는 “먼지에서 왔다가 먼지로 돌아간다.”고 말한다.It was long the custom of many peoples to dedicate the first fruits to the spirits. And these observances, now more or less symbolic, are all survivals of the early ceremonies involving human sacrifice. The idea of offering the first-born as a sacrifice was widespread among the ancients, especially among the Phoenicians, who were the last to give it up. It used to be said upon sacrificing, “life for life.” Now you say at death, “dust to dust.”
89:6.8
(981-5)
아브라함이 자기 아들 이삭을 억지로 희생제물로 제공하려던 장면은, 감수성이 예민한 문명화된 사람들에게는 충격적인 일이겠지만, 그 당시 사람들에게는 새로운 것이 아니었고 이상한 일도 아니었다. 심한 감정적 압박감에 짓눌린 아버지들이 첫-태생의 자기 아들을 희생제물로 제공하는 일은 오랫동안 일반적으로 행해진 실천 관행이었다. 대부분의 민족들은 이와 유사한 전설을 갖고 있는데, 왜냐하면 어떤 비범하거나 비정상적인 일이 발생할 때 인간을 희생제물로 바쳐야만 한다는 굳건한 믿음이 한 때 전 세계적으로 존재하였기 때문이다.The spectacle of Abraham constrained to sacrifice his son Isaac, while shocking to civilized susceptibilities, was not a new or strange idea to the men of those days. It was long a prevalent practice for fathers, at times of great emotional stress, to sacrifice their first-born sons. Many peoples have a tradition analogous to this story, for there once existed a world-wide and profound belief that it was necessary to offer a human sacrifice when anything extraordinary or unusual happened.
7. 인간 희생제물의 변형 7. Modifications of Human Sacrifice
89:7.1
(981-6)
모세는 몸값으로 대치시킴으로써 인간 희생제물을 금지시키려고 하였다. 자기 민족으로 하여금 그들의 무분별하고 어리석은 맹세로부터 기인되는 최악의 결과로부터 벗어나게 할 수 있는 조직적인 명세서를 제정하였다. 땅과 재산 그리고 자녀들은 정해진 값으로 다시 살 수 있었는데, 그 속전(贖錢)은 사제들에게 지불하게 되어 있었다. 첫-태생을 희생제물로 제공하는 일을 멈추게 된 그 집단들은, 이러한 잔학한 행위를 계속하는 덜 진보된 이웃 민족들보다 곧 엄청난 이점을 갖게 되었다. 진보가 늦은 그러한 부족들 대부분은 이렇게 하여 아들들을 잃어버림으로써 뿐만 아니라, 지도권의 계승이 종종 무너짐으로써 힘이 약해졌다.Moses attempted to end human sacrifices by inaugurating the ransom as a substitute. He established a systematic schedule which enabled his people to escape the worst results of their rash and foolish vows. Lands, properties, and children could be redeemed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fees, which were payable to the priests. Those groups which ceased to sacrifice their first-born soon possessed great advantages over less advanced neighbors who continued these atrocious acts. Many such backward tribes were not only greatly weakened by this loss of sons, but even the succession of leadership was often broken.
89:7.2
(982-1)
첫 아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문설주에 피를 바르는 관습은 아이를 죽여서 희생제물로 제공하는 행위로부터 파생되었다. 이러한 일은 그 해의 신성한 축제들 중의 하나와 관련하여 종종 이루어졌으며, 이 의식은 한때 멕시코에서 이집트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적으로 행해졌다.An outgrowth of the passing child sacrifice was the custom of smearing blood on the house doorposts for the protection of the first-born. This was often done in connection with one of the sacred feasts of the year, and this ceremony once obtained over most of the world from Mexico to Egypt.
89:7.3
(982-2)
심지어는 대부분의 집단들이 아이들을 죽이는 종교예식을 멈춘 후에도, 갓난아이를 혼자 있게 하는, 광야에 두거나 또는 배 위에 혼자 태워서 물위에 띄워놓는 관습이 있었다. 만일에 그 아이가 살아남으면 하느님들이 그 아이를 보호하기 위해 개입하였다고 생각하였으며, 사르곤모세고레스 그리고 로물루스에 관한 전설에 잘 나타나 있다. 그 다음에는 첫 번째 아들들을 신성한 존재로 또는 산 제물로 바치는 실천 관행이 생겨나서, 그들을 자라게 한 뒤에 죽이는 대신 멀리 떠나도록 허용하였다; 이것이 식민지 형성의 기원이 되었다. 로마인들은 자기들의 식민지화를 이룩함에 있어서 이러한 관습을 고수하였다.Even after most groups had ceased the ritual killing of children, it was the custom to put an infant away by itself, off in the wilderness or in a little boat on the water. If the child survived, it was thought that the gods had intervened to preserve him, as in the traditions of Sargon, Moses, Cyrus, and Romulus. Then came the practice of dedicating the first-born sons as sacred or sacrificial, allowing them to grow up and then exiling them in lieu of death; this was the origin of colonization. The Romans adhered to this custom in their scheme of colonization.
89:7.4
(982-3)
원시적인 경배 형태와 성(性) 방종이 독특하게 결합된 대부분의 경우는 인간을 희생 제물로 바치는 것과 관련하여 기원되었다. 아주 옛날에는, 만일 여인이 인간을 사냥하는 사람들을 만나게 되면, 성(性)적인 항복을 함으로써 목숨을 부지할 수 있었다. 후대에는, 하느님들에게 희생 제물로 바쳐진 소녀는 자기 몸을 신전에서의 신성한 성(性) 봉사의 삶으로 바침으로써 생명을 유지하는 길을 선택할 수도 있었다; 이렇게 할 때 대속(代贖)의 돈을 벌수도 있었다. 옛 사람들은 그렇게 하여 자기 생명에 대한 몸값을 요구하는 여자와 성적인 관계를 맺는 것을 매우 고상한 것으로 여겼다. 이러한 신성시되는 여자들과 동침하는 일은 종교적인 예식이었으며, 더욱이 이러한 전체의 예식은 진부한 성적인 충족을 위한 구실을 제공해 주었다. 이것은 그 여인들과 상대 남성들 양쪽 모두가 스스로를 속이기를 즐기는 미묘한 종류의 자아-기만이었다. 그러한 사회관례는 문명의 진화적 발전을 항상 방해하였으며, 진화하는 종족들의 먼 옛날의 더욱 야만적인 성적 실천 관행들이 그런 식으로 허용되었다.Many of the peculiar associations of sex laxity with primitive worship had their origin in connection with human sacrifice. In olden times, if a woman met head-hunters, she could redeem her life by sexual surrender. Later, a maiden consecrated to the gods as a sacrifice might elect to redeem her life by dedicating her body for life to the sacred sex service of the temple; in this way she could earn her redemption money. The ancients regarded it as highly elevating to have sex relations with a woman thus engaged in ransoming her life. It was a religious ceremony to consort with these sacred maidens, and in addition, this whole ritual afforded an acceptable excuse for commonplace sexual gratification. This was a subtle species of self-deception which both the maidens and their consorts delighted to practice upon themselves. The mores always drag behind in the evolutionary advance of civilization, thus providing sanction for the earlier and more savagelike sex practices of the evolving races.
89:7.5
(982-4)
신전에서의 매춘 행위는 결국에는 남부 유럽아시아에도 널리 퍼졌다. 신전 매춘 행위로 번 돈은 모든 사람들 사이에서 신성한 것으로─하느님들에게 바쳐진 최고의 선물─간주되었다. 가장 고상한 부류의 여인들이 신전에서의 매춘 시장에 몰려들었고 자기들이 번 돈을 온갖 종류의 신성한 봉사들과 공공의 선한 사업에 바쳤다. 더욱 고상한 부류의 여인들 중에서 많은 사람들이 신전에서의 일시적인 성적 봉사를 통해 결혼 지참금을 마련하였고, 대부분의 남자들은 그러한 여인을 아내로 맞아들이는 것을 더욱 선호하였다.Temple harlotry eventually spread throughout southern Europe and Asia. The money earned by the temple prostitutes was held sacred among all peoples ─ a high gift to present to the gods. The highest types of women thronged the temple sex marts and devoted their earnings to all kinds of sacred services and works of public good. Many of the better classes of women collected their dowries by temporary sex service in the temples, and most men preferred to have such women for wives.
8. 대속(代贖)과 계약 8. Redemption and Covenants
89:8.1
(982-5)
희생 제물을 대속(代贖)으로 바치고 자유를 획득하는 일과 신전에서의 매춘 행위는 실체 안에서 인간을 희생 제물로 바치는 것의 변형이었다. 그 다음에는 딸들의 모형을 제물로 바치는 관습이 생겨났다. 이 예식은 평생토록 처녀로 지내기로 봉헌하면서 피를 뿌리는 것으로 이루어졌고, 그 전에 있었던 신전에서의 매춘 행위에 대한 도덕적 반항이었다. 더욱 근래에서는 성스러운 사원 불을 다루는 봉사에 처녀들이 스스로를 봉헌하기도 하였다.Sacrificial redemption and temple prostitution were in reality modifications of human sacrifice. Next came the mock sacrifice of daughters. This ceremony consisted in bloodletting, with dedication to lifelong virginity, and was a moral reaction to the older temple harlotry. In more recent times virgins dedicated themselves to the service of tending the sacred temple fires.
89:8.2
(982-6)
사람들은 결국에는 신체의 어떤 부분을 제공하는 것이 인간 전체를 완벽하게 희생제물로 제공하는 옛날의 관습을 대치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육체를 손상시키는 일 역시 가능한 대안으로 여겨졌다. 머리카락, 손톱, 피, 그리고 심지어는 손가락과 발가락이 희생제물로 바쳐졌다. 후대의 그리고 거의 보편적으로 퍼진 고대의 할례 예식은 일부분을 희생제물로 제공하는 예배종파에서 발생되었다; 순전히 종교적인 희생제물의 형식이었고, 거기에 관련된 위생학적인 개념은 전혀 없었다. 남자들은 할례를 받았고; 여자들은 귀에 구멍을 내었다.Men eventually conceived the idea that the offering of some part of the body could take the place of the older and complete human sacrifice. Physical mutilation was also considered to be an acceptable substitute. Hair, nails, blood, and even fingers and toes were sacrificed. The later and well-nigh universal ancient rite of circumcision was an outgrowth of the cult of partial sacrifice; it was purely sacrificial, no thought of hygiene being attached thereto. Men were circumcised; women had their ears pierced.
89:8.3
(983-1)
그 후에는 손가락들을 자르는 대신에 그것들을 묶는 것이 관습이 되었다. 머리를 밀고 머리카락을 자르는 것 역시 종교적인 헌신의 형태들이었다. 내시를 만드는 일은 처음에는 인간 희생제물 관념의 변형이었다. 코와 귀를 뚫는 행위는 아직도 아프리카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문신을 새기는 행위는 몸에 상처를 내는 초기의 조잡한 실천 관행이 예술적으로 진화한 것이다.Subsequently it became the custom to bind fingers together instead of cutting them off. Shaving the head and cutting the hair were likewise forms of religious devotion. The making of eunuchs was at first a modification of the idea of human sacrifice. Nose and lip piercing is still practiced in Africa, and tattooing is an artistic evolution of the earlier crude scarring of the body.
89:8.4
(983-2)
희생제물의 관습은, 진보적인 가르침의 결과로, 계약의 관념과 결국에는 결합하게 되었다. 마침내는, 하느님들이 사람과 실제적인 계약을 맺게 된 것으로 이해되었다; 이것은 종교가 안정을 이루게 되는 주요 단계였다. 법, 계약이 운(運)과 두려움과 미신을 대치하였다.The custom of sacrifice eventually became associated, as a result of advancing teachings, with the idea of the covenant. At last, the gods were conceived of as entering into real agreements with man; and this was a major step in the stabilization of religion. Law, a covenant, takes the place of luck, fear, and superstition.
89:8.5
(983-3)
사람은 하느님에 대한 자신의 개념이 신뢰할만한 우주적 통제자의 차원에 도달하기 전에는, 신(神)과 계약을 맺는 것을 꿈도 꾸지 못하였다. 그리고 하느님에 대한 사람의 초기 관념은 너무나 사람모습의-신(神)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 자신이 비교적 신뢰할 만하고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상태가 되기 전에는 의지할 수 있는 신(神)에 대한 개념을 가질 수 없었다.Man could never even dream of entering into a contract with Deity until his concept of God had advanced to the level whereon the universe controllers were envisioned as dependable. And man’s early idea of God was so anthropomorphic that he was unable to conceive of a dependable Deity until he himself became relatively dependable, moral, and ethical.
89:8.6
(983-4)
그러나 하느님들과 계약을 맺는다는 관념이 결국에는 조성되었다. 진화적인 사람은 자신이 감히 자기 하느님들과 협상할 수 있다는 그러한 도덕적 존엄성을 마침내 획득하였다. 그리하여 희생제물을 제공하는 일이 점차적으로 발전하여, 사람이 하느님과 이성적으로 협상하는 시합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은 불운을 물리치는 대비책을 위한 새로운 수단을 대표하였으며, 그보다는 오히려 더욱 명확하게 번영을 구입하기 위한 발전적인 기법이었다. 이러한 초기의 희생제물이 하느님들에게 대가를 바라지 않고, 감사 혹은 고마움의 표시로 자발적으로 제공한 것이었다고 잘못 생각해서는 안 된다; 그것들은 참된 경배의 표현이 아니었다.But the idea of making a covenant with the gods did finally arrive. Evolutionary man eventually acquired such moral dignity that he dared to bargain with his gods. And so the business of offering sacrifices gradually developed into the game of man’s philosophic bargaining with God. And all this represented a new device for insuring against bad luck or, rather, an enhanced technique for the more definite purchase of prosperity. Do not entertain the mistaken idea that these early sacrifices were a free gift to the gods, a spontaneous offering of gratitude or thanksgiving; they were not expressions of true worship.
89:8.7
(983-5)
원시적인 형태의 기도는 영들과의 협상, 하느님들과의 논쟁에 지나지 않았다. 그것은 일종의 물물 교환과 같은 것이었고, 그 속에 포함된 변론과 설득은, 보다 실체적이고 값이 나가는 어떤 것과 바꾸려는 것이었다. 그 종족들의 발전하는 교역(交易)은 매매의 마음을 심어주었고 영리하게 물물 교환 하도록 발달시켰으며; 그 때부터 이 특색들이 사람의 경배 방식 속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어떤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보다 더 나은 상인(商人)들이 되듯이, 어떤 기도가 다른 기도들보다 더 나은 것으로 간주되었다. 의로운 사람의 기도는 매우 존중되었다. 의로운 사람이란 영들에 대한 모든 계산을 마친, 하느님들에 대한 모든 예식적(禮式的)인 채무를 충분히 면제받은 사람이었다.Primitive forms of prayer were nothing more nor less than bargaining with the spirits, an argument with the gods. It was a kind of bartering in which pleading and persuasion were substituted for something more tangible and costly. The developing commerce of the races had inculcated the spirit of trade and had developed the shrewdness of barter; and now these traits began to appear in man’s worship methods. And as some men were better traders than others, so some were regarded as better prayers than others. The prayer of a just man was held in high esteem. A just man was one who had paid all accounts to the spirits, had fully discharged every ritual obligation to the gods.
89:8.8
(983-6)
초기의 기도는 도저히 경배라 볼 수 없었다; 건강과 재산과 생명을 위하여 거래하고 있는 청원이었다. 그리고 여러 면에서 세월이 지남에 따라서 기도는 별로 바뀌지 않았다. 사람들은 여전히 책들의 문구를 읽고, 형식적으로 외우고, 또한 종이 위에 적어서 바퀴에 붙여놓거나 나무에 매달아 걸고, 사람이 자신의 숨으로 불어주는 문제를 바람이 해결해주는 나무에 매달았다.Early prayer was hardly worship; it was a bargaining petition for health, wealth, and life. And in many respects prayers have not much changed with the passing of the ages. They are still read out of books, recited formally, and written out for emplacement on wheels and for hanging on trees, where the blowing of the winds will save man the trouble of expending his own breath.
9. 희생 제물과 성찬 9. Sacrifices and Sacraments
89:9.1
(983-7)
인간 희생제물은, 유란시아의 종교예식들이 진화하는 전체 과정을 통하여, 사람을 잡아먹는 살벌한 일로부터 보다 높고 더욱 상징적인 차원으로 진보해 왔다. 희생제물을 제공하는 초기의 예식이 후대의 성례 예식을 탄생시켰다. 더욱 후대에 이르러서는 사제가 혼자서 야만적인 희생제물 한 조각을 먹거나 소량의 사람의 피를 마시고, 그 다음에는 모든 사람들이 대용품인 동물을 먹곤 하였다. 몸값과 대속(代贖) 그리고 계약에 대한 이러한 초기의 관념들은 후대의 성찬 예배봉사들로 진화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모든 의식 진화는 강력하게 사회화 시키는 영향력을 발휘하였다.The human sacrifice, throughout the course of the evolution of Urantian rituals, has advanced from the bloody business of man-eating to higher and more symbolic levels. The early rituals of sacrifice bred the later ceremonies of sacrament. In more recent times the priest alone would partake of a bit of the cannibalistic sacrifice or a drop of human blood, and then all would partake of the animal substitute. These early ideas of ransom, redemption, and covenants have evolved into the later-day sacramental services. And all this ceremonial evolution has exerted a mighty socializing influence.
89:9.2
(984-1)
멕시코 그리고 다른 여러 곳에서는 하느님의 어머니를 섬기는 예배종파와 관련하여, 빵과 포도주로 구성된 성찬식이 결국에는 옛날에 인간을 희생 제물로 바칠 때의 살과 피를 대신하는 방법으로 활용되었다. 히브리인들은 이러한 예식을 유월절 행사의 일부분으로 오랫동안 실천해 왔으며, 후대에 그리스도교적 형태의 성찬이 탄생된 것은 바로 이러한 예식으로부터였다.In connection with the Mother of God cult, in Mexico and elsewhere, a sacrament of cakes and wine was eventually utilized in lieu of the flesh and blood of the older human sacrifices. The Hebrews long practiced this ritual as a part of their Passover ceremonies, and it was from this ceremonial that the later Christian version of the sacrament took its origin.
89:9.3
(984-2)
고대의 사회적인 형제신분은 피를 마시는 예식에 기초를 두었다; 초기의 유대인 형제우애관계는 희생 제물의 피와 관련되어 있었다. 바울은 “영속하는 계약의 피”에 기초하여 새로운 그리스도교 예배종파를 수립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그는 피와 희생 제물에 관한 가르침으로 쓸데없이 그리스도교에 방해 요소를 제공할 수 있었던 반면에, 인간이나 동물을 희생 제물로 바침으로써 대속(代贖) 받을 수 있다는 교리에는 단호하게 종지부를 찍었다. 그의 신학적인 타협은 계시조차도 진화의 누진적인 통제에 복종해야만 한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바울에 따르면, 그리스도는 최종적이고도 모든 것을-충만시킨 인간 희생 제물이 되었다; 신성한 재판관이 이제 충분히 그리고 언제까지나 만족된 것이다.The ancient social brotherhoods were based on the rite of blood drinking; the early Jewish fraternity was a sacrificial blood affair. Paul started out to build a new Christian cult on “the blood of the everlasting covenant.” And while he may have unnecessarily encumbered Christianity with teachings about blood and sacrifice, he did once and for all make an end of the doctrines of redemption through human or animal sacrifices. His theologic compromises indicate that even revelation must submit to the graduated control of evolution. According to Paul, Christ became the last and all-sufficient human sacrifice; the divine Judge is now fully and forever satisfied.
89:9.4
(984-3)
그리하여, 여러 시대가 흐른 뒤에는 희생제물을 제공하는 예배종파가 성례를 행하는 예배종파로 진화되었다. 현대 종교들의 성례는 인간을 희생제물로 제공하는 끔찍한 초기 예식과 그 전에 있었던 사람을 잡아먹는 예식들을 합리적으로 뒤를 이었다. 많은 사람들은 아직도 구원을 위해 피에 의존하고 있지만, 그것은 적어도 비유적이고 상징적이며 신비적인 것으로 변화해 오고 있다.And so, after long ages the cult of the sacrifice has evolved into the cult of the sacrament. Thus are the sacraments of modern religions the legitimate successors of those shocking early ceremonies of human sacrifice and the still earlier cannibalistic rituals. Many still depend upon blood for salvation, but it has at least become figurative, symbolic, and mystic.
10. 죄의 용서 10. Forgiveness of Sin
89:10.1
(984-4)
고대의 사람은 희생 제물을 통한 하느님의 은혜만을 인식하였을 뿐이었다. 현대인은 구원에 대한 자아-의식을 획득하는 새로운 기법을 개발해야만 한다. 죄에 대한 인식은 필사자 마음속에 지속적으로 남아 있지만, 그것으로부터의 생존에 대한 모형이 되는 개념은 진부한 것이 되었고 낡은 것이 되었다. 영적인 필요성에 대한 실체는 계속 유지되고 있지만, 지적인 진보는 평화를 보장하는 구시대적 방법들을 파괴해 왔고 마음 그리고 혼을 위한 위로를 파괴해 왔다.Ancient man only attained consciousness of favor with God through sacrifice. Modern man must develop new techniques of achieving the self-consciousness of salvation. The consciousness of sin persists in the mortal mind, but the thought patterns of salvation therefrom have become outworn and antiquated. The reality of the spiritual need persists, but intellectual progress has destroyed the olden ways of securing peace and consolation for mind and soul.
89:10.2
(984-5)
죄는 신(神)에 대한 고의적인 불충(不忠)으로 재(再)정의 되어야만 한다. 불충에는 정도가 있는데: 우유부단한 부분적 충성이 있고; 충돌을 일으키는 분열된 충성이 있다; 무관심이라는 사라져 가는 충성이 있고; 신(神)의 존재를 부인하는 이상(理想)에 헌신하는 죽은 충성이 있다.Sin must be redefined as deliberate disloyalty to Deity. There are degrees of disloyalty: the partial loyalty of indecision; the divided loyalty of confliction; the dying loyalty of indifference; and the death of loyalty exhibited in devotion to godless ideals.
89:10.3
(984-6)
범죄에 대한 인식과 느낌은 사회관례의 위반에 대한 의식(意識)이다; 그것이 반드시 죄는 아니다. 신(神)에 대한 의식적(意識的)인 불충이 아닌 경우에는 실제적인 죄가 존재하지 않는다.The sense or feeling of guilt is the consciousness of the violation of the mores; it is not necessarily sin. There is no real sin in the absence of conscious disloyalty to Deity.
89:10.4
(984-7)
죄책감의 감각에서의 인지의 가능성은 인류에게 있어서 초월적인 특출함의 표시이다. 그것은 사람을 비열한 것으로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잠재적 위대성의 그리고 언제까지나-상승하는 영광의 창조체로 구별시킨다. 가치없음의 그러한 감각은, 필사자 마음으로 하여금 도덕적 숭고함과 조화우주적 통찰력 그리고 영적 생존의 빼어난 차원으로 전환하는 그러한 신앙 정복으로 신속하게 그리고 분명하게 인도될 최초의 자극이다; 그리하여 인간 실존의 모든 의미들은 현세적인 것으로부터 영원한 것으로 바뀌고, 모든 가치들은 인간적인 것으로부터 신성한 것으로 높이 올려진다.The possibility of the recognition of the sense of guilt is a badge of transcendent distinction for mankind. It does not mark man as mean but rather sets him apart as a creature of potential greatness and ever-ascending glory. Such a sense of unworthiness is the initial stimulus that should lead quickly and surely to those faith conquests which translate the mortal mind to the superb levels of moral nobility, cosmic insight, and spiritual living; thus are all the meanings of human existence changed from the temporal to the eternal, and all values are elevated from the human to the divine.
89:10.5
(984-8)
죄를 고백하는 것은 불충에 대한 용감한 거절이지만, 그러한 불충에 대한 시간-공간 결과들을 결코 완화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고백─죄의 본성에 대한 진지한 인식─은 종교적인 성장과 영적인 진보에 필수적인 요소이다.The confession of sin is a manful repudiation of disloyalty, but it in no wise mitigates the time-space consequences of such disloyalty. But confession ─ sincere recognition of the nature of sin ─ is essential to religious growth and spiritual progress.
89:10.6
(985-1)
죄에 대한 신(神)으로부터의 용서는, 고의적인 반항의 결과로 그러한 관계가 단절되었다는 사실에 대해 인간적으로 인식하는 기간 이후에 이루어지는 충성스러운 관계의 회복이다. 용서는 추구해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 창조체와 창조자 사이의 충성 관계의 재-확립에 대한 의식(意識)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이다. 그리고 하느님의 모든 충성스러운 아들들은 파라다이스를 향해 상승하는 과정 속에서 늘 행복하고, 봉사를 좋아하며, 항상 진보를 이룩한다.The forgiveness of sin by Deity is the renewal of loyalty relations following a period of the human consciousness of the lapse of such relations as the consequence of conscious rebellion. The forgiveness does not have to be sought, only received as the consciousness of re-establishment of loyalty relations between the creature and the Creator. And all the loyal sons of God are happy, service-loving, and ever-progressive in the Paradise ascent.
89:10.7
(985-2)
[네바돈찬란한 저녁별에 의해 제시되었음][Presented by a Brilliant Evening Star of Nebadon.]
이어지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