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번호 | 복귀
제 86 편Paper 86
종교의 초기 진화Early Evolution of Religion
86:0.1
(950-1)
전에 존재하였던 원시적인 예배 충동으로부터의 종교 진화는 계시에 의존된 것이 아니다. 우주적으로 증여된 영의 여섯 번째와 일곱 번째 마음-보조자의 지배적인 영향 하에 있는 인간 마음의 정상적인 기능은 그러한 발전을 보장하기에 전적으로 충분하다.THE evolution of religion from the preceding and primitive worship urge is not dependent on revelation. The normal functioning of the human mind under the directive influence of the sixth and seventh mind-adjutants of universal spirit bestowal is wholly sufficient to insure such development.
86:0.2
(950-2)
종교가 생기기 전에 사람이 처음으로 가졌던 자연의 기세에 대한 두려움은, 자연이 개인성구현되고, 영성화 되고, 결국에는 인간 의식(意識) 속에서 신(神)화 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종교적 성향을 갖게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원시적 유형의 종교는 진화하는 동물 마음들의 심리적 타성으로부터 발생되는 자연스러운 생물학적 결과인데, 그러한 마음들은 이미 한 때 초자연에 대한 개념을 간직한 이후에 일어난다.Man’s earliest prereligious fear of the forces of nature gradually became religious as nature became personalized, spiritized, and eventually deified in human consciousness. Religion of a primitive type was therefore a natural biologic consequence of the psychologic inertia of evolving animal minds after such minds had once entertained concepts of the supernatural.
1. 운수: 행운과 불운 1. Chance: Good Luck and Bad Luck
86:1.1
(950-3)
자연적인 경배 충동을 제외시킨다면, 초기의 진화적 종교는 운수─소위 행운, 평범한 사건들─에 대한 인간 체험에 그 기원의 뿌리를 두고 있다. 원시인은 음식을 찾아다녔다. 그러한 탐색의 결과는 항상 변할 수밖에 없었으며, 사람들이 행운불운으로 표현하는 그러한 특별한 체험들을 하도록 만들었다. 생존과 죽음의 불확실하고 초조한 경계선 위에서 끊임없이 살아야만 하는 남자들과 여자들의 삶 속에서 불운은 하나의 중대한 요인이었다.Aside from the natural worship urge, early evolutionary religion had its roots of origin in the human experiences of chance ─ so-called luck, commonplace happenings. Primitive man was a food hunter. The results of hunting must ever vary, and this gives certain origin to those experiences which man interprets as good luck and bad luck. Mischance was a great factor in the lives of men and women who lived constantly on the ragged edge of a precarious and harassed existence.
86:1.2
(950-4)
야만인들의 제한된 지적 시야가 너무나도 운수에 관심을 집중하였기 때문에, 행운은 그들의 삶 속에서 하나의 일정한 요소가 되었다. 원시적인 유란시아인 들은 생활수준을 위해서가 아니라 생존을 위해 투쟁하였다; 운수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위험한 삶을 살았다. 알 수 없고 볼 수 없는 불행에 대한 변치 않는 두려움은, 모든 쾌락을 효과적으로 가릴 수 있는 하나의 절망적인 구름을 이 야만인들 머리 위에 드리웠으며; 그들은 불운을 가져올 수 있는 어떤 것을 하는 데 대한 변치 않는 두려움 속에서 살았다. 미신에 사로잡힌 야만인들은 행운이 달아나는 것을 항상 염려하였다; 그러한 행운 뒤에는 재난이 따라온다고 생각하였다.The limited intellectual horizon of the savage so concentrates the attention upon chance that luck becomes a constant factor in his life. Primitive Urantians struggled for existence, not for a standard of living; they lived lives of peril in which chance played an important role. The constant dread of unknown and unseen calamity hung over these savages as a cloud of despair which effectively eclipsed every pleasure; they lived in constant dread of doing something that would bring bad luck. Superstitious savages always feared a run of good luck; they viewed such good fortune as a certain harbinger of calamity.
86:1.3
(950-5)
불운에 대한 항상 존재하는 두려움이 계속 무기력하게 만들었다. 어떤 사람이 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다가 행운─아무 것도 하지 않고 어떤 것을 얻음─을 만날 수 있다면, 무엇 때문에 열심히 일하다가 불운─무엇인가 했는데 아무 것도 얻지 못함─을 자초하겠는가? 생각이 없는 사람들은 행운은 쉽게 잊지만─당연하게 여긴다─불운은 애써 기억한다.This ever-present dread of bad luck was paralyzing. Why work hard and reap bad luck ─ nothing for something ─ when one might drift along and encounter good luck ─ something for nothing? Unthinking men forget good luck ─ take it for granted ─ but they painfully remember bad luck.
86:1.4
(950-6)
초기의 사람은 불확실성과 운수─불운─에 대한 계속적인 두려움 속에서 살았다. 삶은 운수라는 일종의 흥미진진한 경기와 같았다; 생존은 도박과 같았다. 부분적으로 문명화된 사람들이 아직도 운수를 믿고 도박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는 성향을 보이는 것은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다. 원시인은 두 개의 잠재적인 관심들 즉: 아무 것도 하지 않고 무엇인가를 얻으려는 욕망과 무엇인가를 하고서도 아무 것도 얻지 못하게 되는 것에 대한 염려 사이에서 오락가락 하였다. 그리고 생존에 있어서의 이러한 도박은 야만적인 마음을 소유한 초기 인간에게 주요 관심사였고 최극의 매력이었다.Early man lived in uncertainty and in constant fear of chance ─ bad luck. Life was an exciting game of chance; existence was a gamble. It is no wonder that partially civilized people still believe in chance and evince lingering predispositions to gambling. Primitive man alternated between two potent interests: the passion of getting something for nothing and the fear of getting nothing for something. And this gamble of existence was the main interest and the supreme fascination of the early savage mind.
86:1.5
(951-1)
목축을 하는 후대의 사람들도 운수와 행운에 대해 똑같은 관점을 가진 반면, 농업에 종사하는 더 후대의 사람들은 사람이 거의 또는 전혀 통제할 수 없는 많은 것들에 의해서 농작물들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점점 더 인식하게 되었다. 농부는 자기 자신이 가뭄, 홍수, 우박, 폭풍우, 해충, 식물의 질병뿐만 아니라 더위와 추위 등에 의한 피해자임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모든 자연적인 영향들이 개별존재의 번영을 좌우하자, 그들은 그것을 좋은 운 또는 나쁜 운으로 여기게 되었다.The later herders held the same views of chance and luck, while the still later agriculturists were increasingly conscious that crops were immediately influenced by many things over which man had little or no control. The farmer found himself the victim of drought, floods, hail, storms, pests, and plant diseases, as well as heat and cold. And as all of these natural influences affected individual prosperity, they were regarded as good luck or bad luck.
86:1.6
(951-2)
운수와 행운에 대한 이러한 관념은 고대의 모든 민족들의 생각 속에 강력하게 침투하였다. 심지어는 후대에 쓰인 솔로몬지혜서에도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내가 돌이켜 보니, 빠르다고 해서 달리기에 이기는 것이 아니고, 힘이 세다고 해서 전쟁에 이기는 것도 아니며, 지혜가 있다고 해서 먹을 것이 생기는 것도 아니고, 총명하다고 해서 부자가 되는 것도 아니며, 재주가 있다고 해서 잘되는 것도 아니고; 숙명과 기회는 누구나 닥치는 것이다. 사람은 그의 숙명을 알지 못하기에; 물고기들이 악한 그물에 걸리는 것처럼, 새들이 덫에 걸리는 것처럼, 사람들도 갑자기 덮치는 악한 때를 피하지 못한다.”This notion of chance and luck strongly pervaded the philosophy of all ancient peoples. Even in recent times in the Wisdom of Solomon it is said: “I returned and saw that the race is not to the swift, nor the battle to the strong, neither bread to the wise, nor riches to men of understanding, nor favor to men of skill; but fate and chance befall them all. For man knows not his fate; as fishes are taken in an evil net, and as birds are caught in a snare, so are the sons of men snared in an evil time when it falls suddenly upon them.”
2. 운수의 개인화구현 2. The Personification of Chance
86:2.1
(951-3)
불안은 야만적인 마음의 자연적인 상태이다. 남자들과 여자들이 과도한 불안에 사로잡여 있는 때는, 단순하게 그들의 먼 조상들의 자연적인 생활 환경으로 되돌아가는 것이다; 불안이 실재적으로 고통스러운 지경에까지 이르게 되면, 활동을 억제하며 반드시 진화적인 변화와 생물학적인 적응을 시작하게 한다. 고통과 투쟁은 진보적인 진화에 필수적인 요소들이다.Anxiety was a natural state of the savage mind. When men and women fall victims to excessive anxiety, they are simply reverting to the natural estate of their far-distant ancestors; and when anxiety becomes actually painful, it inhibits activity and unfailingly institutes evolutionary changes and biologic adaptations. Pain and suffering are essential to progressive evolution.
86:2.2
(951-4)
삶을 위한 투쟁은 너무나 고통스럽기 때문에 어떤 부족들은 태양이 떠오를 때마다 소리를 지르며 비탄에 잠기기까지 한다. 원시인이 계속 질문하는 것은 “누가 나를 괴롭히고 있는가?”라는 것이다. 자신의 불행을 해소시킬 물질적 근원을 찾지 못하였기 때문에, 영적인 해결책에 의존하고자 하였다. 그렇게 해서 종교는, 신비한 것에 대한 두려움과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경외심 그리고 알지 못하는 것에 대한 불안감으로부터 발생되었다. 그리하여 자연에 대한 두려움은, 처음에는 우연 때문에 그리고 그 다음에는 신비함 때문에, 실존을 위한 투쟁에서 한 요소가 되었다.The struggle for life is so painful that certain backward tribes even yet howl and lament over each new sunrise. Primitive man constantly asked, “Who is tormenting me?” Not finding a material source for his miseries, he settled upon a spirit explanation. And so was religion born of the fear of the mysterious, the awe of the unseen, and the dread of the unknown. Nature fear thus became a factor in the struggle for existence first because of chance and then because of mystery.
86:2.3
(951-5)
원시적인 마음은 논리적이기는 하였지만 지능적인 관계적-연합에 대한 관념은 거의 없었다; 야만적인 마음은 무식하였고 전적으로 순박하였다. 만약에 어떤 사건이 다른 사건 다음에 일어나면, 야만인들은 그것들을 원인과 결과로 간주하였다. 문명인들이 미신으로 간주하는 것들이 야만인들의 세계에서는 그저 단순한 무지에 불과하였다. 인류는, 동기와 결과 사이에 어떤 관계가 반드시 성립될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 배우는 데 느리게 왔다. 인간 존재들은, 실존에서의 반응들이, 행동과 그들의 결과 사이에서 나타난다는 사실을 이제야 겨우 실현하기 시작하였다. 야만인은 감지할 수 없는 추상적인 모든 것들을 개인성구현 시키려고 분투하며, 그리하여 자연과 운수 둘 모두 귀신으로 개인성구현되었고 나중에는 하느님들로 여겨졌다.The primitive mind was logical but contained few ideas for intelligent association; the savage mind was uneducated, wholly unsophisticated. If one event followed another, the savage considered them to be cause and effect. What civilized man regards as superstition was just plain ignorance in the savage. Mankind has been slow to learn that there is not necessarily any relationship between purposes and results. Human beings are only just beginning to realize that the reactions of existence appear between acts and their consequences. The savage strives to personalize everything intangible and abstract, and thus both nature and chance become personalized as ghosts ─ spirits ─ and later on as gods.
86:2.4
(951-6)
사람은 자연적으로 자기 자신에게 최선이라 여기는 것, 당장 또는 먼 앞날의 이익이 되는 것을 믿으려는 경향이 있다; 자아-이익은 대개 논리를 흐리게 만든다. 야만인과 문명화된 사람의 마음에서의 차이는 자연본성이라기보다는 내용, 본질특성이라기보다는 정도의 차이이다.Man naturally tends to believe that which he deems best for him, that which is in his immediate or remote interest; self-interest largely obscures logic.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nds of savage and civilized men is more one of content than of nature, of degree rather than of quality.
86:2.5
(951-7)
그러나 이해하기 어려운 것을 계속하여 초자연적인 원인의 탓으로 돌리는 것은, 모든 형태의 지적인 힘든 일을 회피하는 게으르고 편리한 방법이나 다름없다. 행운이라는 말은 인간이 실존한 모든 시대들에 있어서 해석할 수 없는 것들을 감추기 위해 만들어낸 단어에 불과하다; 사람들이 통찰할 수 없는 또는 통찰하기 싫어하는 현상들을 가리킨다. 운수라는 말은 사람이 너무 무지하거나 너무 나태하여 원인을 측정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람들은 호기심과 상상력이 부족할 때, 인종들에게 독창력과 모험심이 부족할 때에만 자연적인 발생사건들을 우연한 현상 또는 불운으로 간주한다. 생명의 현상에 대한 탐구로 말미암아, 운수와 행운 그리고 소위 우연한 현상들에 대한 사람의 믿음은 조만간에 무너질 것이며, 그 대신에 모든 결과들이 있기 전에 분명한 원인이 있다는 법과 질서를 존중하는 우주로 대체될 것이다. 그리하여 생존에 대한 두려움은 삶에 대한 기쁨으로 바뀐다.But to continue to ascribe things difficult of comprehension to supernatural causes is nothing less than a lazy and convenient way of avoiding all forms of intellectual hard work. Luck is merely a term coined to cover the inexplicable in any age of human existence; it designates those phenomena which men are unable or unwilling to penetrate. Chance is a word which signifies that man is too ignorant or too indolent to determine causes. Men regard a natural occurrence as an accident or as bad luck only when they are destitute of curiosity and imagination, when the races lack initiative and adventure. Exploration of the phenomena of life sooner or later destroys man’s belief in chance, luck, and so-called accidents, substituting therefor a universe of law and order wherein all effects are preceded by definite causes. Thus is the fear of existence replaced by the joy of living.
86:2.6
(952-1)
야만인들은 모든 자연이 살아있다고, 어떤 존재가 들어 있다고 생각하였다. 문명화된 사람은 아직도, 자기를 방해하고 자기에게 부딪히는 생명이 없는 물체들을 발로 차면서 저주한다. 원시인은 어떤 것도 우연한 것으로 보지 않았다; 모든 것들이 계획되었다고 항상 생각하였다. 원시인에게 있어서 운명의 권역, 행운의 기능, 영의 세계는 원시적인 공동체가 그랬던 것처럼, 조직되지 않은 것이었고 우연한 것이었다. 행운은 영적인 세계의 변덕스럽고 신경질적인 반응으로 간주되었다; 나중에는 하느님들의 기분으로 간주되었다.The savage looked upon all nature as alive, as possessed by something. Civilized man still kicks and curses those inanimate objects which get in his way and bump him. Primitive man never regarded anything as accidental; always was everything intentional. To primitive man the domain of fate, the function of luck, the spirit world, was just as unorganized and haphazard as was primitive society. Luck was looked upon as the whimsical and temperamental reaction of the spirit world; later on, as the humor of the gods.
86:2.7
(952-2)
그러나 모든 종교들이 정령(精靈) 숭배로부터 발전된 것은 아니었다. 초자연적인 존재들에 대한 다른 개념들이 정령 숭배와 동시에 존재하였으며, 이러한 믿음들 역시 경배의 형태로 바뀌었다. 자연주의는 종교가 아니다─종교의 부산물이다.But all religions did not develop from animism. Other concepts of the supernatural were contemporaneous with animism, and these beliefs also led to worship. Naturalism is not a religion ─ it is the offspring of religion.
3. 죽음─설명할 수 없는 것 3. Death ─ The Inexplicable
86:3.1
(952-3)
죽음은 진화하는 사람들에게 최극의 충격이었으며, 우연과 신비가 가장 복잡하게 얽힌 것이었다. 생명에 대한 존엄성 대신에 죽음에 대한 충격이 두려움을 불어넣었고 그리하여 효과적으로 종교를 조성시켰다. 야만적인 민족들 사이에서 죽음은 대개 폭력에 의해 발생되었기 때문에, 비폭력에 의한 죽음은 점점 더 신비한 것으로 여겨졌다. 자연적인 그리고 예상되는 삶의 종말로서의 죽음은, 원시 민족들의 의식에게는 명쾌하지 않았으며, 그 필연성을 깨닫기까지는 기나 긴 세월이 요구되어왔다.Death was the supreme shock to evolving man, the most perplexing combination of chance and mystery. Not the sanctity of life but the shock of death inspired fear and thus effectively fostered religion. Among savage peoples death was ordinarily due to violence, so that nonviolent death became increasingly mysterious. Death as a natural and expected end of life was not clear to the consciousness of primitive people, and it has required age upon age for man to realize its inevitability.
86:3.2
(952-4)
초기의 사람은 생명을 하나의 사실로 받아들인 반면, 죽음은 어떤 종류의 내려오는 방문으로 여기었다. 모든 종족들은 죽음에 대한 초기 자세의 희미한 전통들, 죽지 않는 사람들에 대한 그들의 전설을 갖고 있다. 인간 마음속에는 인간의 삶 속에서 설명할 수 없는 모든 것이 그곳으로부터 나오는 어떤 권역, 흐릿하고 조직화되지 않은 영 세계에 대한 불투명한 개념이 이미 존재하였고, 설명할 수 없는 현상들이 적힌 긴 목록에 죽음이 추가되었다.Early man accepted life as a fact, while he regarded death as a visitation of some sort. All races have their legends of men who did not die, vestigial traditions of the early attitude toward death. Already in the human mind there existed the nebulous concept of a hazy and unorganized spirit world, a domain whence came all that is inexplicable in human life, and death was added to this long list of unexplained phenomena.
86:3.3
(952-5)
인간의 모든 질병들과 자연사自然死)는, 처음에는 영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믿어졌다. 심지어는 오늘날에도 어떤 문명화된 종족들은 질병이 “악마”에 의해서 생긴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그것을 고치기 위해서 종교적인 예식에 의존한다. 후대의 그리고 보다 복잡한 신학 체계들도 여전히 죽음을 영적 세계의 작용의 탓으로 돌렸으며, 그 모든 것들로 말미암아 원죄(原罪)와 사람의 타락이라는 교리가 생겨나게 되었다.All human disease and natural death was at first believed to be due to spirit influence. Even at the present time some civilized races regard disease as having been produced by “the enemy” and depend upon religious ceremonies to effect healing. Later and more complex systems of theology still ascribe death to the action of the spirit world, all of which has led to such doctrines as original sin and the fall of man.
86:3.4
(952-6)
야만인을 자신이 일생의 신비스럽고 변화무쌍한 근원이라고 막연하게 상상하던 초자연적 세계로부터 도움을 구하도록 강제로 몰아간 것은, 질병과 죽음의 방문 앞에서의 인간의 허약함에 대한 인지와 더불어, 자연의 막강한 기세 앞에서의 무능력에 대한 깨달음이었다.It was the realization of impotency before the mighty forces of nature, together with the recognition of human weakness before the visitations of sickness and death, that impelled the savage to seek for help from the supermaterial world, which he vaguely visualized as the source of these mysterious vicissitudes of life.
4. 죽음-생존 개념 4. The Death-Survival Concept
86:4.1
(952-7)
필사자 개인성의 초물질적 상태에 대한 개념은 무의식으로부터 생겨났으며 일상생활 속에서 발생된 것들과 귀신에 대한 꿈이 순전히 우연하게 합쳐짐으로써 생겨났다. 죽은 부족장에 대한 꿈을 여러 부족민들이 동시에 꾸게 되는 것은, 옛 부족장이 정말로 어떤 형태로든지 다시 돌아온 것에 대한 증거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땀을 흘리고 떨면서 그리고 소리를 지르면서 그러한 꿈으로부터 깨어난 야만인들에게 그것은 모두 매우 실제적인 것이었다.The concept of a supermaterial phase of mortal personality was born of the unconscious and purely accidental association of the occurrences of everyday life plus the ghost dream. The simultaneous dreaming about a departed chief by several members of his tribe seemed to constitute convincing evidence that the old chief had really returned in some form. It was all very real to the savage who would awaken from such dreams reeking with sweat, trembling, and screaming.
86:4.2
(953-1)
미래의 실존에 대한 믿음의 환상적인 기원은, 보이지 않는 것들을 보이는 것들에 대한 표현으로 항상 추측하려는 경향을 설명해 준다. 그리고 이러한 새로운 꿈-귀신-미래-삶 개념은 이윽고 자아-보존에 대한 생물학적 본능과 결합된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효과적으로 해소시키기 시작하였다.The dream origin of the belief in a future existence explains the tendency always to imagine unseen things in the terms of things seen. And presently this new dream-ghost-future-life concept began effectively to antidote the death fear associated with the biologic instinct of self-preservation.
86:4.3
(953-2)
또한 초기의 사람은 자신의 호흡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가졌는데, 특별히 추운 지방에서 더 그러하였고, 그곳에서는 숨을 내쉴 때 입김이 보였기 때문이다. 생명의 호흡은 삶과 죽음을 구분하는 현상으로 간주되었다. 그들은 호흡이 육체를 떠날 수 있다고 생각하였으며, 잠을 자는 동안에 모든 종류의 괴상한 것들을 꿈꾸었기 때문에 인간 존재에 관한 비물질적인 무엇이 있다고 확신하였다. 인간의 혼(魂), 귀신에 대한 가장 원시적인 관념은, 호흡-꿈의 관념-체계로부터 도출되었다.Early man was also much concerned about his breath, especially in cold climates, where it appeared as a cloud when exhaled. The breath of life was regarded as the one phenomenon which differentiated the living and the dead. He knew the breath could leave the body, and his dreams of doing all sorts of queer things while asleep convinced him that there was something immaterial about a human being. The most primitive idea of the human soul, the ghost, was derived from the breath-dream idea-system.
86:4.4
(953-3)
야만인들은 결국에는 자기 자신이 이중적인 존재─육체와 호흡─라고 생각하였다. 육체를 제외한 호흡이 영(靈), 귀신과 같았다. 인간의 기원에 대해서는 매우 명확한 개념을 가진 반면, 귀신들 또는 영들은 초인간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리고 체현에서 벗어나게 된 영들이 실존한다는 이러한 믿음이, 보기 드문 것, 비범한 것, 희귀한 것, 그리고 설명할 수 없는 발생사건을 설명할 수 있다고 보았다.Eventually the savage conceived of himself as a double ─ body and breath. The breath minus the body equaled a spirit, a ghost. While having a very definite human origin, ghosts, or spirits, were regarded as superhuman. And this belief in the existence of disembodied spirits seemed to explain the occurrence of the unusual, the extraordinary, the infrequent, and the inexplicable.
86:4.5
(953-4)
죽음 이후의 생존에 대한 원시 교리는 불멸에 대한 믿음일 필요가 없었다. 20개 이상을 셀 수 없는 존재들은 무한과 영원을 도저히 착상할 수 없다; 그들은 오히려 육신화가 거듭되는 것을 생각했다.The primitive doctrine of survival after death was not necessarily a belief in immortality. Beings who could not count over twenty could hardly conceive of infinity and eternity; they rather thought of recurring incarnations.
86:4.6
(953-5)
오렌지색 인종은 특별히 윤회와 환생을 믿는 경향이 많았다. 환생에 대한 이러한 관념은 유전적인 현상과 자손들의 특색이 조상을 닮는 현상의 목격으로부터 기원되었다. 조부모(祖父母) 그리고 다른 조상들을 따라서 자녀들의 이름을 짓는 관습은 환생에 대한 믿음에서 기인되었다. 후대의 어떤 종족들은 사람이 세 번 내지 일곱 번 죽는다고 믿었다. 이러한 믿음과(맨션세계들에 관한 아담의 가르침으로부터 잔재된), 계시된 종교의 많은 다른 유물들은, 20세기 미개인들의 다른 면에서의 모순된 교리들 속에서 발견될 수 있다.The orange race was especially given to belief in transmigration and reincarnation. This idea of reincarnation originated in the observance of hereditary and trait resemblance of offspring to ancestors. The custom of naming children after grandparents and other ancestors was due to belief in reincarnation. Some later-day races believed that man died from three to seven times. This belief (residual from the teachings of Adam about the mansion worlds), and many other remnants of revealed religion, can be found among the otherwise absurd doctrines of twentieth-century barbarians.
86:4.7
(953-6)
초기의 사람은 지옥이나 장래의 형벌에 대한 관념들을 갖고 있지 않았다. 야만인들은 저 세상의 삶을, 모든 불운을 제외한 이 세상의 삶과 똑같이 생각하였다. 나중에는 선한 귀신들과 나쁜 귀신들에 대한 운명─천국과 지옥─이 다르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사람이 자기가 떠나간 이 세상의 삶과 똑같은 상태의 저 세상의 삶을 산다고 많은 원시 종족들이 믿게 된 이후로, 나이가 들고 쇠약해지는 것에 대한 관념을 좋아하지 않게 되었다. 늙은 사람들은 너무 쇠약해지기 전에 죽는 것을 훨씬 더 좋아하였다.Early man entertained no ideas of hell or future punishment. The savage looked upon the future life as just like this one, minus all ill luck. Later on, a separate destiny for good ghosts and bad ghosts ─ heaven and hell ─ was conceived. But since many primitive races believed that man entered the next life just as he left this one, they did not relish the idea of becoming old and decrepit. The aged much preferred to be killed before becoming too infirm.
86:4.8
(953-7)
거의 모든 집단들은 귀신이 된 혼의 운명에 대해 서로 다른 관념을 갖고 있었다. 그리스인들은, 약한 사람의 혼은 반드시 허약하다고 믿었고; 그래서 그들은 그러한 허약한 혼들을 받아들이기에 적합한 장소로 하데스 지옥을 고안해 내었다; 튼튼하지 못한 이러한 사람들은 그 귀신도 작을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초기의 안드-사람들은 자기들의 귀신이 조상의 고향으로 돌아간다고 생각하였다. 중국인들과 이집트인들은 혼과 육체가 함께 머물러 있다고 생각한 적이 있었다. 이집트인들 사이에서는 이것 때문에 주의 깊게 무덤을 건축하게 되었고 시신을 보존하기 위하여 애쓰게 되었다. 심지어는 현대인들도 시체의 부패를 방지하려고 애쓰고 있다. 히브리인들은 개별존재의 복제된 유령이 저승으로 내려간다고 생각하였다; 살았던 세상으로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고 생각하였다. 그들은 혼의 진화에 대한 교리에 있어서 중요한 발전을 이룩하였다.Almost every group had a different idea regarding the destiny of the ghost soul. The Greeks believed that weak men must have weak souls; so they invented Hades as a fit place for the reception of such anemic souls; these unrobust specimens were also supposed to have shorter shadows. The early Andites thought their ghosts returned to the ancestral homelands. The Chinese and Egyptians once believed that soul and body remained together. Among the Egyptians this led to careful tomb construction and efforts at body preservation. Even modern peoples seek to arrest the decay of the dead. The Hebrews conceived that a phantom replica of the individual went down to Sheol; it could not return to the land of the living. They did make that important advance in the doctrine of the evolution of the soul.
5. 귀신-혼의 개념 5. The Ghost-Soul Concept
86:5.1
(953-8)
사람의 비물질적 부분은, 귀신, 영, 망령(亡靈), 유령(幽靈), 요귀, 그리고 최근에는 혼(魂)이라는 이름 등으로 다양하게 불려왔다. 혼은 초기 사람의 꿈 망령이었다; 접촉에 대해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면에서 필사자 자신과 똑같은 것이었다. 꿈 망령을 꾼다는 믿음은, 생물과 무생물 모두가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혼을 갖고 있다는 개념을 직접적으로 유도해 내었다. 이러한 개념은 오랫동안 자연-영 믿음이 영속하기를 바라는 경향이었다; 에스키모인 들은 아직도 자연 속에 있는 모든 것들이 영을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The nonmaterial part of man has been variously termed ghost, spirit, shade, phantom, specter, and latterly soul. The soul was early man’s dream double; it was in every way exactly like the mortal himself except that it was not responsive to touch. The belief in dream doubles led directly to the notion that all things animate and inanimate had souls as well as men. This concept tended long to perpetuate the nature-spirit beliefs; the Eskimos still conceive that everything in nature has a spirit.
86:5.2
(954-1)
귀신이 된 혼을 볼 수 있고 그 말을 들을 수 있지만 만질 수는 없다고 생각하였다. 그 종족의 꿈꾸는 생활이 점차적으로 더욱 개발되었고 이러한 진화하는 영의 세계에 대한 활동들이 확대되었기 때문에 마침내는 죽음을 “귀신을 포기하는 것”으로 간주하게 되었다. 동물과 거의 다름없는 상태를 제외하고, 원시적인 모든 부족들은, 혼에 대한 어떤 개념을 발전시켰다. 문명이 진보되면서, 혼에 대한 이러한 미신적인 개념이 무너지고 있으며, 사람은 하느님을 아는 필사자 마음과 그 속에 내주하는 신성한 영, 생각 조절자의 공동 창작에 따라 혼에 대한 자신의 새로운 관념을 위하여 계시와 개인적인 종교적 체험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The ghost soul could be heard and seen, but not touched. Gradually the dream life of the race so developed and expanded the activities of this evolving spirit world that death was finally regarded as “giving up the ghost.” All primitive tribes, except those little above animals, have developed some concept of the soul. As civilization advances, this superstitious concept of the soul is destroyed, and man is wholly dependent on revelation and personal religious experience for his new idea of the soul as the joint creation of the God-knowing mortal mind and its indwelling divine spirit, the Thought Adjuster.
86:5.3
(954-2)
초기의 사람들은 대개 내주 하는 영에 대한 개념과 진화적 본성의 혼에 대한 개념을 구분하지 못하였다. 야만인들은, 귀신이 된 혼이 원래 몸속에 타고나는 것인지 아니면 육체를 감싸는 외적 대리자인지에 대해 매우 혼돈을 일으켰다. 혼란의 현존에서 이성적(理性的)인 사고력이 부족하였기 때문에 혼과 귀신 그리고 영에 대한 미개한 관점이 전체적으로 모순되게 되었다.Early mortals usually failed to differentiate the concepts of an indwelling spirit and a soul of evolutionary nature. The savage was much confused as to whether the ghost soul was native to the body or was an external agency in possession of the body. The absence of reasoned thought in the presence of perplexity explains the gross inconsistencies of the savage view of souls, ghosts, and spirits.
86:5.4
(954-3)
꽃과 그 향기의 관계처럼 혼이 육체와 관계된다고 생각하였다. 옛 사람들은 혼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육체를 떠날 수 있다고 생각하였는데, 즉:
  • 평범하게 그리고 과도기적으로 기절한 경우.
  • 잠을 자면서, 자연적으로 꿈을 꾸는 경우.
  • 질병 또는 우연한 현상과 연관되어 혼수상태 또는 무의식 상태에 빠진 경우.
  • 죽어서 영원히 떠난 경우.
The soul was thought of as being related to the body as the perfume to the flower. The ancients believed that the soul could leave the body in various ways, as in:
1. Ordinary and transient fainting.
2. Sleeping, natural dreaming.
3. Coma and unconsciousness associated with disease and accidents.
4. Death, permanent departure.
86:5.5
(954-8)
야만인들은 재채기하는 것을, 혼이 육체로부터 도망치려고 하다가 실패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깨어서 지킴으로써 혼이 도망치려는 것을 육체가 방해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나중에는, 재채기를 할 때마다, “하느님께서 당신을 축복하신다!”는 말과 같은, 어떤 종교적인 표현이 덧붙여졌다.The savage looked upon sneezing as an abortive attempt of the soul to escape from the body. Being awake and on guard, the body was able to thwart the soul’s attempted escape. Later on, sneezing was always accompanied by some religious expression, such as “God bless you!”
86:5.6
(954-9)
진화의 초기 단계에서는, 잠을 자는 것은 귀신이 된 혼이 육체로부터 떠날 수 있음을 증거 하는 것으로 간주되었으며, 잠자는 사람의 이름을 말하거나 소리침으로써 다시 불러올 수 있다고 믿었다. 혼은 다른 형태의 무의식 속에서 더 멀리 떠나는 것으로, 아마도─죽음이 임박하였을 때. 좋은 것을 얻기 위해 도망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꿈은, 잠을 자는 동안 혼이 일시적으로 육체를 떠나서 체험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미개인들은, 자기가 꾼 꿈이, 깨어서 체험하는 것의 일부분인 실제적인 것이라고 믿는다. 옛 사람들은 잠자는 사람을 급하게 깨우지 않는 실천 관행을 제정하였는데, 혼이 몸속으로 돌아오기까지 시간이 걸린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었다.Early in evolution sleep was regarded as proving that the ghost soul could be absent from the body, and it was believed that it could be called back by speaking or shouting the sleeper’s name. In other forms of unconsciousness the soul was thought to be farther away, perhaps trying to escape for good ─ impending death. Dreams were looked upon as the experiences of the soul during sleep while temporarily absent from the body. The savage believes his dreams to be just as real as any part of his waking experience. The ancients made a practice of awaking sleepers gradually so that the soul might have time to get back into the body.
86:5.7
(954-10)
시대가 지나가는 동안 내내, 사람들은 밤에 나타나는 유령을 두려워하였으며, 히브리인들도 예외가 아니었다. 그들은 이러한 관념을 반대하는 모세의 명령에도 불구하고, 정말로 하느님께서 꿈속에서 자기들에게 말씀하신다고 믿었다. 그리고 모세가 옳았던 것은, 영적인 세계의 개인성들이 물질적인 존재들과 교통할 방법을 모색할 때 일상적인 꿈들이 그들에 의해서 사용되는 방법이 아니기 때문이다.All down through the ages men have stood in awe of the apparitions of the night season, and the Hebrews were no exception. They truly believed that God spoke to them in dreams, despite the injunctions of Moses against this idea. And Moses was right, for ordinary dreams are not the methods employed by the personalities of the spiritual world when they seek to communicate with material beings.
86:5.8
(954-11)
옛 사람들은 혼이 동물에게로 또는 심지어 무생물에게로 들어갈 수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생각은, 동물과 정체화구현 하는, 사람이 늑대가 된다는 관념에서 정점에 달하였다. 어떤 사람이 낮에는 법을 지키는 시민이 될 수 있지만, 잠이 들게 되면 그 혼이 늑대 또는 다른 동물 속으로 들어가서 야밤의 약탈 행위를 하기 위해 어슬렁거리며 다닐 수 있다고 믿었다.The ancients believed that souls could enter animals or even inanimate objects. This culminated in the werewolf ideas of animal identification. A person could be a law-abiding citizen by day, but when he fell asleep, his soul could enter a wolf or some other animal to prowl about on nocturnal depredations.
86:5.9
(955-1)
원시인들은 혼이 호흡과 연관된다고 생각하였으며, 그 본질특성이 호흡에 의해서 전해지거나 양도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용맹스러운 우두머리가 새로 태어나는 아이 위에 숨을 크게 내쉬어서 용기를 불어넣어 주고자 하였다. 초기의 그리스도교인들 사이에서는, 성령 증여 기념식을 하면서 후보자들에게 입김을 뿜었다. 시편 기자(記者)는: “주님의 말씀에 의해서 하늘들이 만들어졌고 그 속에 있는 모든 무리들이 그의 입김에 의해서 지어졌다.”고 기록하였다. 죽어가는 아버지의 마지막 숨을 맏아들이 받아들이려고 노력하는 행위가 오랫동안 관습으로 지켜졌다.Primitive men thought that the soul was associated with the breath, and that its qualities could be imparted or transferred by the breath. The brave chief would breathe upon the newborn child, thereby imparting courage. Among early Christians the ceremony of bestowing the Holy Spirit was accompanied by breathing on the candidates. Said the Psalmist: “By the word of the Lord were the heavens made and all the host of them by the breath of his mouth.” It was long the custom of the eldest son to try to catch the last breath of his dying father.
86:5.10
(955-2)
나중에는 그림자를 두려워하였고 호흡과 마찬가지로 존경의 대상이 되었다. 물에 비친 모습도 때로는 이중적인 자아에 대한 증거로 간주되었으며, 미신적인 두려움으로 거울을 취급하였다. 심지어는 오늘날에도 많은 문명인들은 죽음의 사건 안에서는 거울을 벽 쪽으로 돌려놓는다. 어떤 미개한 부족들은 아직도, 사진이나 초상화나 모형 또는 형상들이 그 혼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제거시킨다고 믿고 있다; 그래서 그러한 것들을 금지시킨다.The shadow came, later on, to be feared and revered equally with the breath. The reflection of oneself in the water was also sometimes looked upon as proof of the double self, and mirrors were regarded with superstitious awe. Even now many civilized persons turn the mirror to the wall in the event of death. Some backward tribes still believe that the making of pictures, drawings, models, or images removes all or a part of the soul from the body; hence such are forbidden.
86:5.11
(955-3)
혼은 일반적으로 호흡으로 정체성이 확인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그것이 머리, 머리카락, 심장, 간, 피, 지방질 속에 들어 있다고 생각하는 여러 부류의 사람들도 있었다. “아벨의 피가 땅 속에서 부르짖고 있다.”는 말은 피 속에 귀신이 현존한다는 한 때의 믿음을 표현한 것이다. 의 자손들은 혼이 몸의 지방질 속에 거주한다고 가르쳤으며, 많은 사람들 사이에서 동물의 기름을 먹는 것이 금기로 지켜졌다. 가죽을 벗기는 것과 마찬가지로, 머리를 잘라 오는 것이 적의 혼을 사로잡는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최근에는 눈이 혼의 창문과 같다고 간주되어 왔다.The soul was generally thought of as being identified with the breath, but it was also located by various peoples in the head, hair, heart, liver, blood, and fat. The “crying out of Abel’s blood from the ground” is expressive of the onetime belief in the presence of the ghost in the blood. The Semites taught that the soul resided in the bodily fat, and among many the eating of animal fat was taboo. Head hunting was a method of capturing an enemy’s soul, as was scalping. In recent times the eyes have been regarded as the windows of the soul.
86:5.12
(955-4)
혼이 세 개 내지 네 개 있다고 믿는 사람들은, 혼을 하나 잃는 것은 불안감을, 두 개를 잃는 것은 질병을, 세 개를 잃는 것은 죽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믿었다. 하나의 혼은 호흡 속에, 또 하나는 머릿속에, 또 하나는 머리카락 속에, 또 하나는 심장 속에 있다고 생각하였다. 환자들은 그들의 방황하는 혼들을 다시 찾겠다는 희망을 가지고 야외를 방황하도록 충고를 받았다. 가장 훌륭한 주술사(呪術師)는 질병에 걸린 사람의 아픈 혼을 새로운 것, “새로운 탄생”으로 바꿀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Those who held the doctrine of three or four souls believed that the loss of one soul meant discomfort, two illness, three death. One soul lived in the breath, one in the head, one in the hair, one in the heart. The sick were advised to stroll about in the open air with the hope of recapturing their strayed souls. The greatest of the medicine men were supposed to exchange the sick soul of a diseased person for a new one, the “new birth.”
86:5.13
(955-5)
바도난의 자녀들은 두 개의 혼, 호흡과 그림자에 대한 믿음을 발전시켰다. 초기의 놋-사람 부족들은 사람이 두 개의 개인, 혼과 육체로 구성된다고 보았다. 인간 실존에 대한 이러한 철학은 나중에 그리스적 관점에 반영되었다. 그리스인들 자신은 세 개의 혼들을 믿었는데; 성장하는 혼은 배속에 있고, 동물적인 혼은 심장 속에 있으며, 지적인 혼은 머릿속에 있다고 믿었다. 에스키모인 들은 사람이 육체와 혼과 이름의 세 부분으로 되어 있다고 믿었다.The children of Badonan developed a belief in two souls, the breath and the shadow. The early Nodite races regarded man as consisting of two persons, soul and body. This philosophy of human existence was later reflected in the Greek viewpoint. The Greeks themselves believed in three souls; the vegetative resided in the stomach, the animal in the heart, the intellectual in the head. The Eskimos believe that man has three parts: body, soul, and name.
6. 귀신-영의 환경 6. The Ghost-Spirit Environment
86:6.1
(955-6)
사람은 자연 환경을 물려받았고, 사회 환경을 획득하였으며, 귀신 환경을 상상하였다. 국가는 자연 환경에 대한 사람의 반응이고, 가정은 사회 환경에 대한 반응이며, 교회는 환상적인 귀신 환경에 대한 반응이다.Man inherited a natural environment, acquired a social environment, and imagined a ghost environment. The state is man’s reaction to his natural environment, the home to his social environment, the church to his illusory ghost environment.
86:6.2
(955-7)
인류 역사상 매우 초기에는, 귀신과 영에 대한 상상적인 세계의 실체들이 보편적으로 믿어지게 되었으며, 새롭게 상상되어진 이러한 영의 세계는 원시적 공동체 속에서 하나의 힘을 갖게 되었다. 모든 인류의 정신적 도덕적 삶은 인간의 사고(思考)와 행동에 있어서의 이러한 새로운 요소의 출현에 의해 항상 수정되었다.Very early in the history of mankind the realities of the imaginary world of ghosts and spirits became universally believed, and this newly imagined spirit world became a power in primitive society. The mental and moral life of all mankind was modified for all time by the appearance of this new factor in human thinking and acting.
86:6.3
(955-8)
필사자의 두려움이 그 뒤에 따라오는 원시 민족들의 모든 미신과 종교를, 환상과 무지에 대한 이러한 주요 전제(前提) 속으로 채워 넣었다. 이것은 계시 시대가 시작될 때까지 사람의 유일한 종교였으며, 오늘날에도 세계의 많은 종족들이 이러한 미숙한 진화적 종교만을 신봉하고 있다.Into this major premise of illusion and ignorance, mortal fear has packed all of the subsequent superstition and religion of primitive peoples. This was man’s only religion up to the times of revelation, and today many of the world’s races have only this crude religion of evolution.
86:6.4
(955-9)
진화가 진행되면서, 행운은 선한 영들과 연결되고 불운은 악한 영들과 연관되었다.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강제적 적응의 불안감이 불운, 영적인 귀신들의 불쾌감으로 간주되었다. 원시인은 자신의 타고난 경배 충동과 운수에 대한 오해로부터 종교를 서서히 진화시켰다. 문명화된 사람은 이러한 우연한 발생사건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보험이라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현대 과학은 허구적인 영들과 변덕스러운 하느님들을 대신에 수학적인 계산으로 보험 체제를 삼는다.As evolution progressed, good luck became associated with good spirits and bad luck with bad spirits. The discomfort of enforced adaptation to a changing environment was regarded as ill luck, the displeasure of the spirit ghosts. Primitive man slowly evolved religion out of his innate worship urge and his misconception of chance. Civilized man provides schemes of insurance to overcome these chance occurrences; modern science puts an actuary with mathematical reckoning in the place of fictitious spirits and whimsical gods.
86:6.5
(956-1)
지나가는 각 세대들은 자기 조상들의 어리석은 미신을 비웃는데, 한편으로는 깨우친 후손들의 일부에게서 계속 비웃음이 되게 만드는 원인이 될, 그러한 생각과 경배에서의 잘못을 즐기면서 나아가고 있다.Each passing generation smiles at the foolish superstitions of its ancestors while it goes on entertaining those fallacies of thought and worship which will give cause for further smiling on the part of enlightened posterity.
86:6.6
(956-2)
그러나 원시인의 마음은 마침내 자신의 모든 선천적인 생물학적 충동들을 초월하는 사상으로 지배되었다; 사람은 마침내 물질적 충동에 대한 반응보다 나은 어떤 것을 기초로 하는 삶의 기술을 진화시키게 되었다. 원시적인 철학적 생활 방침의 시초들이 창발하고 있었다. 삶에 대한 초자연적 기준이 나타나게 되었는데, 왜냐하면 만일 영적인 귀신이 화가 나면 불운을 가져오고 유쾌하면 행운을 가져다준다면, 인간 행위는 그에 따라 규제되어야만 하였기 때문이다. 마침내 옳고 그릇됨에 대한 개념이 진화를 완료하였다; 이 모든 것은 이 세상의 모든 계시 시대가 시작되기 훨씬 전에 이루어졌다.But at last the mind of primitive man was occupied with thoughts which transcended all of his inherent biologic urges; at last man was about to evolve an art of living based on something more than response to material stimuli. The beginnings of a primitive philosophic life policy were emerging. A supernatural standard of living was about to appear, for, if the spirit ghost in anger visits ill luck and in pleasure good fortune, then must human conduct be regulated accordingly. The concept of right and wrong had at last evolved; and all of this long before the times of any revelation on earth.
86:6.7
(956-3)
이러한 개념들의 창발과 함께, 항상 화를 내는 영들을 달래기 위한 오랫동안의 낭비적인 투쟁, 진화적인 종교적 두려움에 노예처럼 속박된 상태가 시작되었는데, 그로 말미암아 인간은 무덤들과 신전(神殿)들과 희생 제물들 그리고 사제 제도들을 위해 오랫동안 노력을 낭비하였다. 그것은 혹독하고 무시무시한 대가였지만, 그 만큼의 가치가 있었는데, 왜냐하면 그것으로부터 사람이 상대적인 옳고 그름에 대한 자연적인 의식을 성취하였기 때문이다; 인간의 윤리가 탄생되었기 때문이다!With the emergence of these concepts, there was initiated the long and wasteful struggle to appease the ever-displeased spirits, the slavish bondage to evolutionary religious fear, that long waste of human effort upon tombs, temples, sacrifices, and priesthoods. It was a terrible and frightful price to pay, but it was worth all it cost, for man therein achieved a natural consciousness of relative right and wrong; human ethics was born!
7. 원시 종교의 기능 7. The Function of Primitive Religion
86:7.1
(956-4)
미개인들은 대비책의 필요성을 느꼈으며, 그렇기 때문에 불운에 대처하는 마법에 의한 대비책의 방법을 위하여, 두려움, 미신, 공포, 사제에 대한 선물의 힘든 사례금을 기꺼이 지불하였다. 원시적인 종교는 단순히 사냥터가 재난을 당하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는 것이었다; 문명화된 사람은 산업의 재해와 현대적인 형식의 삶 속에서의 급박한 사정에 대비하는 물질적 대가를 지불한다.The savage felt the need of insurance, and he therefore willingly paid his burdensome premiums of fear, superstition, dread, and priest gifts toward his policy of magic insurance against ill luck. Primitive religion was simply the payment of premiums on insurance against the perils of the forests; civilized man pays material premiums against the accidents of industry and the exigencies of modern modes of living.
86:7.2
(956-5)
현대 사회는 보험 업무를 사제들과 종교의 영역으로부터 제거하여, 그것을 경제의 권역 속에 맡기고 있다. 종교는 점점 더 무덤 저편의 삶에 대한 대비책에 관여하고 있다. 현대인들은, 적어도 생각하는 사람들은, 행운을 통제하기 위해 낭비적인 대가를 더 이상 지불하지 않는다. 종교는, 불운에 대비하는 보험 계획으로 기능하던 이전의 개념에 비하여 보다 높은 철학적 차원으로 서서히 올라가고 있다.Modern society is removing the business of insurance from the realm of priests and religion, placing it in the domain of economics. Religion is concerning itself increasingly with the insurance of life beyond the grave. Modern men, at least those who think, no longer pay wasteful premiums to control luck. Religion is slowly ascending to higher philosophic levels in contrast with its former function as a scheme of insurance against bad luck.
86:7.3
(956-6)
그러나 종교에 대한 이러한 고대의 관념들은, 사람이 숙명론적인 상태에 빠지지 않도록 그리고 절망적으로 비관적인 상태에 빠지지 않도록 예방해 주었다; 그들은 적어도 운명에게 영향을 주는 어떤 것을 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귀신에 대한 두려움에서 생긴 종교는, 사람들에게 자신의 행위성을 규제해야만 한다는 것, 인간의 운명을 통제하는 초물질 세계가 있다는 것을 명심시켰다.But these ancient ideas of religion prevented men from becoming fatalistic and hopelessly pessimistic; they believed they could at least do something to influence fate. The religion of ghost fear impressed upon men that they must regulate their conduct, that there was a supermaterial world which was in control of human destiny.
86:7.4
(956-7)
현대의 문명화된 종족들은 실존에서의 행운과 일상적인 불평등에 대한 설명으로서 여기던 귀신에대한 두려움으로부터 이제 막 창발 하여 솟아오르고 있다. 인류는 불운을 귀신-영 때문으로 해석하는 속박에서 해방을 성취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사람들은 일생의 변천들이 영에 원인이 있다는 잘못된 교리를 포기하고 있으면서도, 그들은 모든 인간의 불평등이 정치적 부적응, 사회적 불공정 그리고 산업에서의 경쟁의 탓으로 여기라고 그들에게 강요하는, 거의 동등하게 그릇된 가르침을 기꺼이 받아들이는 놀라울 정도의 자발성을 드러내 보이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법률 제정, 증가하는 박애주의 그리고 더욱 많은 산업적 재조직은, 비록 그것들 자체가 선하고 그리고 자체 안에 선한 것이 있다 해도, 탄생의 사실들과 삶의 발생 사고들을 치료하지는 않을 것이다. 오직 사실들에 대한 이해와 자연의 법칙 내에서의 지혜로운 조종만이 사람으로 하여금 자기가 원하는 것을 얻고 원하지 않는 것을 피하도록 해 줄 것이다. 과학적 행동으로 이끄는 과학적 지식만이, 이른바 우연히 일어나는 흉하고 불길한 것들에 대한 유일한 해독제이다.Modern civilized races are just emerging from ghost fear as an explanation of luck and the commonplace inequalities of existence. Mankind is achieving emancipation from the bondage of the ghost-spirit explanation of ill luck. But while men are giving up the erroneous doctrine of a spirit cause of the vicissitudes of life, they exhibit a surprising willingness to accept an almost equally fallacious teaching which bids them attribute all human inequalities to political misadaptation, social injustice, and industrial competition. But new legislation, increasing philanthropy, and more industrial reorganization, however good in and of themselves, will not remedy the facts of birth and the accidents of living. Only comprehension of facts and wise manipulation within the laws of nature will enable man to get what he wants and to avoid what he does not want. Scientific knowledge, leading to scientific action, is the only antidote for so-called accidental ills.
86:7.5
(957-1)
산업과 전쟁과 노예제도 그리고 시민 정부는, 천연적인 환경 속에서 사람의 사회적 진화에 반응하여 발생되었다; 그와 유사하게 종교도 허구적인 귀신 세계의 가공의 환경에 반응하여 발생되었다. 종교는 자아-유지에 대한 진화적 발전이었으며, 근본적으로 잘못된 개념 속에서 그리고 철저한 비(非)논리성 속에서 존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영향을 미쳐 왔다.Industry, war, slavery, and civil government arose in response to the social evolution of man in his natural environment; religion similarly arose as his response to the illusory environment of the imaginary ghost world. Religion was an evolutionary development of self-maintenance, and it has worked, notwithstanding that it was originally erroneous in concept and utterly illogical.
86:7.6
(957-2)
원시적인 종교는, 잘못된 두려움의 강력하고도 장엄한 기세에 의해서, 초자연적으로 기원된 진정한 영적 기세인 생각 조절자의 증여를 위하여, 인간 마음이라는 토양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그 신성한 조절자들은 그 후로 하느님-두려움을 하느님-사랑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항상 노력해 왔다. 진화는 속도가 느릴 수는 있지만, 반드시 효력이 있다.Primitive religion prepared the soil of the human mind, by the powerful and awesome force of false fear, for the bestowal of a bona fide spiritual force of supernatural origin, the Thought Adjuster. And the divine Adjusters have ever since labored to transmute God-fear into God-love. Evolution may be slow, but it is unerringly effective.
86:7.7
(957-3)
[네바돈저녁별에 의해 제시되었음][Presented by an Evening Star of Nebadon.]
이어지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