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번호 | 복귀
제 84 편Paper 84
결혼과 가족 일생Marriage and Family Life
84:0.1
(931-2)
결혼은, 물질적인 필요성에 의해 성립되었고, 성적 욕구에 의해 미화(美化)되었으며, 종교에 의해 인정되면서 강화되었고, 국가에 의해 요구되고 규제되었으며, 반면에 후대에는 진화하는 사랑이, 문명의 가장 유용하고 탁월한 제도인 가정의 조상과 창조자로서 결혼을 정당화시키고 찬미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가정을 세우는 일은 모든 교육적 노력의 중심과 본질이 되어야만 할 것이다.MATERIAL necessity founded marriage, sex hunger embellished it, religion sanctioned and exalted it, the state demanded and regulated it, while in later times evolving love is beginning to justify and glorify marriage as the ancestor and creator of civilization’s most useful and sublime institution, the home. And home building should be the center and essence of all educational effort.
84:0.2
(931-2)
짝을 짓는 일은 변화하는 자아-충족의 정도에 따른 순수한 자아-영속의 행동이다; 가정을 이룩하는 결혼은 주로 자아-유지의 문제이며, 그것은 사회의 진화를 내포한다. 사회 자체는 가족 단위들이 집합된 기구이다. 개별존재들은 행성에서의 요소들로서 매우 일시적이다─오직 가족들만이 사회 진화에 있어서 계속 존재하는 대리자이다. 가정은 문화와 지식의 강이 한 세대로부터 다음 세대로 흘러가는 통로이다.Mating is purely an act of self-perpetuation associated with varying degrees of self-gratification; marriage, home building, is largely a matter of self-maintenance, and it implies the evolution of society. Society itself is the aggregated structure of family units. Individuals are very temporary as planetary factors ─ only families are continuing agencies in social evolution. The family is the channel through which the river of culture and knowledge flows from one generation to another.
84:0.3
(931-3)
가정은 근본적으로 사회적인 제도이다. 결혼은 자아-유지 속에서의 협동과 자아-영속 속에서의 협력으로부터 자라났으며, 자아-충족의 요소는 주로 부수적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정은 인간 실존의 근본적인 세 가지 기능들 모두를 포함하며, 반면에 생명 번식은 그것을 근본적인 인간 제도로 만들고, 성(性)은 그것을 다른 모든 사회적 활동들로부터 구별되게 한다.The home is basically a sociologic institution. Marriage grew out of co-operation in self-maintenance and partnership in self-perpetuation, the element of self-gratification being largely incidental. Nevertheless, the home does embrace all three of the essential functions of human existence, while life propagation makes it the fundamental human institution, and sex sets it off from all other social activities.
1. 원시적인 부부 관계적-연합 1. Primitive Pair Associations
84:1.1
(931-4)
결혼은 성적인 관계들을 기초로 하지 않았고; 그것으로부터 부수적으로 일어났다. 원시인들은 결혼을 필요로 하지 않았으며, 아내와 자녀 그리고 가정에 대한 의무들에 의해서 방해받지 않고 자유롭게 성(性) 욕망을 만족시켰다.Marriage was not founded on sex relations; they were incidental thereto. Marriage was not needed by primitive man, who indulged his sex appetite freely without encumbering himself with the responsibilities of wife, children, and home.
84:1.2
(931-5)
여인은 자기 자녀에게 육신적인 그리고 감정적인 애착을 갖기 때문에, 남성과의 협동에 의존하며, 이러한 것이 그녀로 하여금 결혼이라는 보호 장치 속으로 들어가도록 강요하였다. 그러나 어떤 생물학적 충동도 남자를 결혼하도록 유도하지 않았다─그를 가두어 두는 힘이 훨씬 약하였다. 결혼이 남자에게 매력을 준 것은 사랑이 아니라 음식에 대한 갈망이었으며, 그것이 원시인들로 하여금 여자에게 그리고 그 여자와 자녀들이 공유하는 원시적인 은신처에 매력을 갖게 하였다.Woman, because of physical and emotional attachment to her offspring, is dependent on co-operation with the male, and this urges her into the sheltering protection of marriage. But no direct biologic urge led man into marriage ─ much less held him in. It was not love that made marriage attractive to man, but food hunger which first attracted savage man to woman and the primitive shelter shared by her children.
84:1.3
(931-6)
결혼은 성(性) 관계에서의 책무들에 대한 의식적인 실현에 의하여 발생된 것도 아니었다. 원시인은 성적 즐거움 및 그 이후의 결과로서 태어나는 자녀 사이의 관계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였다. 처녀도 임신을 할 수 있다는 생각이 한 때 전체적으로 퍼져 있었다. 원시인들은 초기에는 아기들이 영적인 나라에서 만들어진다고 생각하였다; 임신은 진화하는 귀신인 어떤 영이 여자에게 들어간 결과라고 믿었다. 불길한 눈과 음식물 역시 처녀 또는 결혼하지 않은 여자에게 임신시킬 수 있다고 믿었으며, 반면에 후대에는 생명의 시작을 호흡과 그리고 햇빛과 관련시키는 믿음들이 있었다.Marriage was not even brought about by the conscious realization of the obligations of sex relations. Primitive man comprehended no connection between sex indulgence and the subsequent birth of a child. It was once universally believed that a virgin could become pregnant. The savage early conceived the idea that babies were made in spiritland; pregnancy was believed to be the result of a woman’s being entered by a spirit, an evolving ghost. Both diet and the evil eye were also believed to be capable of causing pregnancy in a virgin or unmarried woman, while later beliefs connected the beginnings of life with the breath and with sunlight.
84:1.4
(932-1)
초기 민족들 대부분은 귀신들을 바다와 연관시켰으며; 그래서 처녀들은 목욕하는 실천 관행에 있어서 크게 제한을 받았다; 젊은 여자들은 성(性) 관계들을 갖는 것보다도 밀물 때에 바다에서 목욕하는 것을 훨씬 더 두려워하였다. 불구자로 태어난 아기들 또는 조산된 아기들은, 부주의한 목욕 또는 심술궂은 영이 활동한 결과 때문에 여자의 몸속으로 들어올 길을 발견한 동물들의 새끼로 간주되었다. 당연히, 야만인들은 그러한 자손이 태어나자마자 목을 졸라서 죽이는 것을 아무렇지도 않게 생각하였다.Many early peoples associated ghosts with the sea; hence virgins were greatly restricted in their bathing practices; young women were far more afraid of bathing in the sea at high tide than of having sex relations. Deformed or premature babies were regarded as the young of animals which had found their way into a woman’s body as a result of careless bathing or through malevolent spirit activity. Savages, of course, thought nothing of strangling such offspring at birth.
84:1.5
(932-2)
임신시키는 귀신이 여자의 몸속으로 들어오도록 성적인 관계에 의해서 길이 열린다는 믿음이, 깨우침의 첫 단계가 되었다. 그 후로 사람은, 자녀를 태어나게 하는 살아있는 유전적 요소들에 있어서 아버지와 어머니가 똑같이 기여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심지어는 20세기에 이르러서도, 많은 부모들은 여전히 인간 생명의 기원에 대해 다소 무지한 상태에서 자기 자녀들을 기르려고 한다.The first step in enlightenment came with the belief that sex relations opened up the way for the impregnating ghost to enter the female. Man has since discovered that father and mother are equal contributors of the living inheritance factors which initiate offspring. But even in the twentieth century many parents still endeavor to keep their children in more or less ignorance as to the origin of human life.
84:1.6
(932-3)
다소 단순한 종류의 가족은 아이를 낳는 기능이 어머니와-자녀 관계를 일으킨다는 사실로서 지켜지게 되었다. 모성애는 본능적이다; 그것은 결혼이 그런 것처럼 그런 사회관례에서 발생된 것이 아니다. 모든 포유동물의 모성애는 지역우주의 보조 마음-영들의 선천적 수여자질이며, 그 강함과 헌신의 정도는 그 종(種)의 어떤 도움도 없는 유아기의 길이와 항상 직접적으로 비례한다.A family of some simple sort was insured by the fact that the reproductive function entails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Mother love is instinctive; it did not originate in the mores as did marriage. All mammalian mother love is the inherent endowment of the adjutant mind-spirits of the local universe and is in strength and devotion alway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length of the helpless infancy of the species.
84:1.7
(932-4)
어머니와 자녀의 관계는 자연적이고 강력하고 본능적인 것이며, 그렇기 때문에 원시 시대의 여인들로 하여금 수많은 생소한 상황들을 받아들이게 하였고 헤아릴 수 없는 어려움들을 견딜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강제적인 모성애는, 남자와의 모든 투쟁에 있어서 여자에게 항상 엄청난 불이익을 주는 감정적 방해요소가 되었다. 그러한 경우에도, 인간 종족 속에 있는 어머니로서의 본능은 저항하기 어려운 것이 아니었다; 야심과 이기주의 그리고 종교적 신념에 의해서 방해될 수도 있었다.The mother and child relation is natural, strong, and instinctive, and one which, therefore, constrained primitive women to submit to many strange conditions and to endure untold hardships. This compelling mother love is the handicapping emotion which has always placed woman at such a tremendous disadvantage in all her struggles with man. Even at that, maternal instinct in the human species is not overpowering; it may be thwarted by ambition, selfishness, and religious conviction.
84:1.8
(932-5)
어머니와 자녀 사이의 관계적-연합은 결혼도 아니고 가정 자체도 아니었지만, 그 두 가지가 발생되는 데 있어서 핵(核)의 역할을 하였다. 짝짓기의 진화에 있어서의 큰 진보는, 이러한 임시적 협력체가 결과적으로 생긴 자손을 기르기에 충분할 정도로 오래 지속될 때 이루어졌는데, 왜냐하면 그것이 바로 가정을 이루는 일이었기 때문이다.While the mother-child association is neither marriage nor home, it was the nucleus from which both sprang. The great advance in the evolution of mating came when these temporary partnerships lasted long enough to rear the resultant offspring, for that was homemaking.
84:1.9
(932-6)
이러한 초기 부부들의 반목을 일으키는 관계와는 상관없이, 그 관계적-연합의 느슨함에도 불구하고, 생존 기회는 이러한 남녀 간의 협동체에 의해서 크게 증진되었다. 가족과 자손의 관계가 아니더라도, 서로 협동하는 한 남자와 한 여자는 두 남자들 또는 두 여자들보다 모든 면에서 훨씬 더 우월하다. 이성(異性)간에 짝을 짓는 이러한 일은 생존 능력을 증대시켰고 인간 사회의 첫 걸음이 되었다. 성(性)에 따른 노동의 구분 역시 편안함을 제공하였고 행복을 증대시켰다.Regardless of the antagonisms of these early pairs, notwithstanding the looseness of the association, the chances for survival were greatly improved by these male-female partnerships. A man and a woman, co-operating, even aside from family and offspring, are vastly superior in most ways to either two men or two women. This pairing of the sexes enhanced survival and was the very beginning of human society. The sex division of labor also made for comfort and increased happiness.
2. 초기의 모계(母系)-가정 2. The Early Mother-Family
84:2.1
(932-7)
여자의 주기적인 출혈과 아이를 낳는 과정에서 흘리는 많은 피로 인하여, 피가 아기의 창조자라는 (심지어는 혼의 근원이라는) 추측이 초기 시대부터 이루어졌으며, 인간적 관계들에 있어서 혈연-동맹이 기원되었다. 초기 시대에는 모든 후손들이 여자의 계통을 따라 계수 되었는데, 그것이 확실하게 알 수 있는 유일한 유전적 관계였다.The woman’s periodic hemorrhage and her further loss of blood at childbirth early suggested blood as the creator of the child (even as the seat of the soul) and gave origin to the blood-bond concept of human relationships. In early times all descent was reckoned in the female line, that being the only part of inheritance which was at all certain.
84:2.2
(932-8)
어머니와 자녀의 본능적인 생물학적 혈연 동맹으로부터 자라났던 원시적인 가족은 필연적으로 모계-가정이 될 수밖에 없었다; 많은 부족들은 이러한 체제를 오랫동안 고수하였다. 모계-가정은 유목민 집단 속에서의 집단적 결혼 단계로부터 일부다처제와 일부일처제의 부계(父系)-가정들에 해당하는 후대의 개선된 가정생활의 단계로 옮아가는 데 있어서 유일하게 가능하였던 과도기적 형태였다. 모계-가정은 자연적이고 생물학적이었다; 부계-가정은 사회적이고 경제적이며 정치적이었다. 북아메리카 적색 인종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던 모계-가정은 이로쿼이족이 실제 국가 형태를 이루지 못하게 만든 주요 이유들 중의 하나였다.The primitive family, growing out of the instinctive biologic blood bond of mother and child, was inevitably a mother-family; and many tribes long held to this arrangement. The mother-family was the only possible transition from the stage of group marriage in the horde to the later and improved home life of the polygamous and monogamous father-families. The mother-family was natural and biologic; the father-family is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The persistence of the mother-family among the North American red men is one of the chief reasons why the otherwise progressive Iroquois never became a real state.
84:2.3
(933-1)
모계-가정의 사회관례 아래에서는 아내의 어머니가 집안에서의 실질적인 최극 권한을 누렸으며; 가족을 감독하는 일에 있어서는 아내의 남자 형제들과 그들의 자녀들이 남편보다 더 활동적이었다. 아버지들은 자기 자녀들이 태어난 후에 종종 이름이 바뀌곤 하였다.Under the mother-family mores the wife’s mother enjoyed virtually supreme authority in the home; even the wife’s brothers and their sons were more active in family supervision than was the husband. Fathers were often renamed after their own children.
84:2.4
(933-2)
가장 초기의 부족들은 아버지의 공적을 거의 인정하지 않았고, 자녀는 전적으로 어머니로부터 출생된 것으로 여겼다. 그들은 같이 살기 때문에 자녀들이 아버지를 닮는다고 믿거나, 또는 어머니가 그들로 하여금 그 아버지를 닮게 되기를 원하였기 때문에 이런 식으로 “표시를 받았다”고 믿었다. 후대에 이르러서, 모계-가정이 부계-가정으로 전환된 후에는 아버지가 자녀를 낳은 모든 공적을 가졌으며, 임신한 여인에 대한 많은 금기들은 나중에 더 확장되어 그녀의 남편도 포함시키게 되었다. 아버지가 될 사람은 출산 날짜가 가까워지면서 일을 멈추었고, 아이가 태어나면 아내와 함께 침실로 들어가서 3일내지 8일 동안 휴식을 취하였다. 그 아내는 다음 날부터 일어나 어려운 일을 시작하였지만; 남편은 계속 침실에 남아서 축하 인사를 받았다; 이 모든 것은 자녀에 대한 아버지의 권리를 세워주기 위해 고안된 초기 사회관례의 일부분이었다.The earliest races gave little credit to the father, looking upon the child as coming altogether from the mother. They believed that children resembled the father as a result of association, or that they were “marked” in this manner because the mother desired them to look like the father. Later on, when the switch came from the mother-family to the father-family, the father took all credit for the child, and many of the taboos on a pregnant woman were subsequently extended to include her husband. The prospective father ceased work as the time of delivery approached, and at childbirth he went to bed, along with the wife, remaining at rest from three to eight days. The wife might arise the next day and engage in hard labor, but the husband remained in bed to receive congratulations; this was all a part of the early mores designed to establish the father’s right to the child.
84:2.5
(933-3)
처음에는 남자가 자기 아내의 족속에게로 가는 것이 관례였지만, 후대에 이르러서는 남자가 신부에 대한 값을 지불하거나 그에 해당한 노동을 마친 후에는 자기 아내와 자녀들을 본래의 자기 족속에게로 데려올 수 있게 되었다. 모계-가정으로부터 부계-가정으로의 변환은, 똑같은 친족관계에 있는 다른 사람들은 허용하면서 사촌끼리 결혼하는 어떤 유형들은 금지하는, 어떤 면에서 무의미한 일들을 설명해 준다.At first, it was the custom for the man to go to his wife’s people, but in later times, after a man had paid or worked out the bride price, he could take his wife and children back to his own people. The transition from the mother-family to the father-family explains the otherwise meaningless prohibitions of some types of cousin marriages while others of equal kinship are approved.
84:2.6
(933-4)
사냥하는 단계가 지나가고 목축하는 일이 시작되면서 사회관례에 의해 음식 공급 통제가 남자에게 넘겨지자, 모계-가정은 급속도로 사라지게 되었다. 그것이 사라진 단순한 이유는, 보다 새롭게 형성되는 부계-가정과 성공적으로 경쟁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어머니의 남자 친척들에게 주어진 힘으로는 남편-아버지에게 집중된 힘과 경쟁할 수 없었다. 여자들은 계속적인 권한을 행사하면서 가정의 힘을 키우는 일과 자녀를 키우는 복합적인 임무들을 감당할 수 없었다. 새로 나타나는 아내 훔치기와 후대에 이루어진 아내 구매(購買)는 모계-가정이 사라지도록 재촉하였다.With the passing of the hunter mores, when herding gave man control of the chief food supply, the mother-family came to a speedy end. It failed simply because it could not successfully compete with the newer father-family. Power lodged with the male relatives of the mother could not compete with power concentrated in the husband-father. Woman was not equal to the combined tasks of childbearing and of exercising continuous authority and increasing domestic power. The oncoming of wife stealing and later wife purchase hastened the passing of the mother-family.
84:2.7
(933-5)
모계-가정으로부터 부계-가정으로의 엄청난 변화는, 인간 종족에 의해서 이제까지 수행되었던 가장 급진적인 그리고 완벽하게 180도 방향이 전환되는 조절들 중의 하나였다. 이러한 변화는 즉시 더 많은 사교적인 표현과 증진된 가정적 모험을 유도해 내었다.The stupendous change from the mother-family to the father-family is one of the most radical and complete right-about-face adjustments ever executed by the human race. This change led at once to greater social expression and increased family adventure.
3. 아버지가 지배하는 가정 3. The Family Under Father Dominance
84:3.1
(933-6)
어머니로서의 본능이 여자들로 하여금 결혼하도록 유도하였겠지만, 여자들이 계속 결혼 생활을 유지하도록 실질적으로 강요한 것은, 사회관례의 영향과 함께 남자의 우월한 체력이었다. 목축 생활은 새로운 사회관례 체계, 가부장(家父長)적 유형의 가정생활이 이루어지도록 이바지하였다; 목축업과 초기 농업의 사회관례 밑에서 이루어진 가족 합일의 기초는, 명백하고 독단적인 아버지의 권위였다. 국가적인 것이든지 또는 가족적인 것이든지, 모든 사회는 가부장적 체제의 독재적인 권위의 단계를 거쳤다.It may be that the instinct of motherhood led woman into marriage, but it was man’s superior strength, together with the influence of the mores, that virtually compelled her to remain in wedlock. Pastoral living tended to create a new system of mores, the patriarchal type of family life; and the basis of family unity under the herder and early agricultural mores was the unquestioned and arbitrary authority of the father. All society, whether national or familial, passed through the stage of the autocratic authority of a patriarchal order.
84:3.2
(934-1)
구약 성서 시대 동안에 여성을 거의 대우하지 않은 것은 목축을 하는 사람들의 사회관례를 그대로 반영한 것이다. 히브리의 족장들은, “주님은 나의 목자(牧者)이시다.”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모두 목축업자들이었다.The scant courtesy paid womankind during the Old Testament era is a true reflection of the mores of the herdsmen. The Hebrew patriarchs were all herdsmen, as is witnessed by the saying, “The Lord is my Shepherd.”
84:3.3
(934-2)
그러나 지나간 시대들에 있어서 여자들이 낮게 취급된 것은 남자들 때문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여자들 자신 때문이었다. 여자들은 원시 시대 동안에 사회적인 명성을 얻지 못하였는데, 그것은 위기 상황에 있어서 기능을 발휘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극적인 영웅 또는 위기 상황에서의 영웅이 되지 못하였다. 모성애는 생존을 위한 투쟁에 있어서 뚜렷하게 불리한 조건이었다; 어머니의 사랑은 부족을 방어함에 있어서 여자들에게 방해적인 요소였다.But man was no more to blame for his low opinion of woman during past ages than was woman herself. She failed to get social recognition during primitive times because she did not function in an emergency; she was not a spectacular or crisis hero. Maternity was a distinct disability in the existence struggle; mother love handicapped women in the tribal defense.
84:3.4
(934-3)
또한 원시시대의 여인들은 남자의 호전성과 정력에 대하여 감탄하고 칭찬함으로써 부지불식간에 그들에게 의존하게 되었다. 전사들에 대한 이러한 찬미는 남성의 자기를 높여준 반면, 여성의 자기는 그만큼 억눌렸고, 여자들이 더욱 종속되도록 만들었다; 군인들의 제복은 여전히 여성들의 감정을 강력하게 휘젓는다.Primitive women also unintentionally created their dependence on the male by their admiration and applause for his pugnacity and virility. This exaltation of the warrior elevated the male ego while it equally depressed that of the female and made her more dependent; a military uniform still mightily stirs the feminine emotions.
84:3.5
(934-4)
더욱 진보된 종족들 사이에서는, 여자들은 남자들만큼 크지도 강하지도 않다. 여자들은 더 약해졌기 때문에 더욱 약삭빠르게 되었다; 성적인 매력을 이용하는 방법을 일찍부터 익혔다. 여자는 남자보다 약간 생각이 덜 깊지만, 더 기민하고 보수적이 되었다. 전쟁터와 사냥터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우월하지만; 가정에서는 가장 원시적인 남자들이라도 대개 술책으로 이길 수 있다.Among the more advanced races, women are not so large or so strong as men. Woman, being the weaker, therefore became the more tactful; she early learned to trade upon her sex charms. She became more alert and conservative than man, though slightly less profound. Man was woman’s superior on the battlefield and in the hunt; but at home woman has usually outgeneraled even the most primitive of men.
84:3.6
(934-5)
목축을 하는 남자들이 자기 가축들을 식용으로 키웠지만, 이러한 목축 시대 전체 동안에 여자들은 여전히 채소를 양식으로 공급해야만 하였다. 원시 시대의 남자들은 흙을 멀리하였다; 흙은 전적으로 너무 평화롭고 너무 모험심이 없는 것이었다. 또한 그 당시에는 여자들이 식물을 더 잘 키울 수 있다는 미신 개념이 있었는데; 그들이 낳아서 키우는 역할을 하였기 때문이었다. 오늘날에도 발달하지 못한 많은 부족들 사이에서는, 남자들이 고기를 요리하고, 여자들은 채소를 요리하고 있으며,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시 부족들은 행진할 때 여자들이 결코 경기를 비난하지 않으며, 반면에 남자는 구부리고 앉아서 뿌리를 뽑지 않는다.The herdsman looked to his flocks for sustenance, but throughout these pastoral ages woman must still provide the vegetable food. Primitive man shunned the soil; it was altogether too peaceful, too unadventuresome. There was also an old superstition that women could raise better plants; they were mothers. In many backward tribes today, the men cook the meat, the women the vegetables, and when the primitive tribes of Australia are on the march, the women never attack game, while a man would not stoop to dig a root.
84:3.7
(934-6)
여자들은 항상 일을 했어야만 하였다; 적어도 현대 시대까지 여자들은 실제적인 생산자 역할을 해왔다. 남자들은 대개 보다 쉬운 길을 선택해 왔으며, 이러한 불평등은 인간 종족의 전체 역사상 항상 존재해 왔다. 여자들은 항상 무거운 짐을 져왔는데, 가정의 재산을 획득하고 자녀들을 돌보는 일을 하였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남자들이 일에 매이지 않고 싸움을 하거나 사냥을 할 수 있게 하였다.Woman has always had to work; at least right up to modern times the female has been a real producer. Man has usually chosen the easier path, and this inequality has existed throughout the entire history of the human race. Woman has always been the burden bearer, carrying the family property and tending the children, thus leaving the man’s hands free for fighting or hunting.
84:3.8
(934-7)
여자들의 첫 번째 해방은 남자들이 땅을 경작하는 일을 동의하였을 때, 그 당시까지는 여자들의 일로 간주되어 왔던 것을 하겠다고 동의하였을 때 도래하였다. 포로들 중에서 남자를 더 이상 죽이지 않고 그 대신에 농사를 짓는 노예로 삼게 된 것은 엄청난 발전이었다. 이것이 여자들을 해방시켜서 가정을 꾸리고 아이들을 키우는 일에 더 많은 시간을 쏟을 수 있게 하였다.Woman’s first liberation came when man consented to till the soil, consented to do what had theretofore been regarded as woman’s work. It was a great step forward when male captives were no longer killed but were enslaved as agriculturists. This brought about the liberation of woman so that she could devote more time to homemaking and child culture.
84:3.9
(934-8)
어린아이들에게 우유를 공급함으로써, 보다 일찍 유아들에 대한 젖을 뗄 수 있게 되었고, 그리하여 어머니들은 더 많은 자녀들을 낳을 수 있게 됨으로써 언젠가 덧없이 찾아오는 출산 능력을 잃어버리는 걱정으로부터 풀려난 동시에, 소와 염소의 젖을 이용함으로써 유아 사망률이 크게 줄어들었다. 목축을 하는 사회적 단계 이전에는, 자기 아이들이 네 살 또는 다섯 살이 될 때까지 어머니들이 돌보곤 하였다.The provision of milk for the young led to earlier weaning of babies, hence to the bearing of more children by the mothers thus relieved of their sometimes temporary barrenness, while the use of cow’s milk and goat’s milk greatly reduced infant mortality. Before the herding stage of society, mothers used to nurse their babies until they were four and five years old.
84:3.10
(934-9)
원시 시대의 전쟁이 크게 줄어듦으로써, 성에 따른 노동의 불균형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여자들은 남자들이 보초를 서는 동안 여전히 실제적인 일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모든 야영지 또는 마을은 밤이나 낮이나 보초를 세워야만 하였지만, 이러한 임무도 개를 길들임으로써 완화되었다. 일반적으로는, 농업이 이루어짐으로써 여자들의 위신과 사회적 지위가 향상되었는데; 이러한 사실은 적어도 남자들 자신이 농사꾼으로 전환될 때까지 진정으로 벌어진 일이었다. 그리고 남자들이 땅을 경작하는 일에 참여하는 즉시로 농업 기술이 곧 크게 개선되었고 세대가 바뀌면서 더욱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다. 남자들은 전쟁과 사냥을 통하여 조직의 가치를 배웠고, 이러한 기법을 산업에 적용하였으며, 그 후에 여자들의 일을 많이 떠맡게 된 후에는 그 동안의 산만하였던 노동 체계가 크게 개선되었다.Decreasing primitive warfare greatly lessened the disparity between the division of labor based on sex. But women still had to do the real work while men did picket duty. No camp or village could be left unguarded day or night, but even this task was alleviated by the domestication of the dog. In general, the coming of agriculture has enhanced woman’s prestige and social standing; at least this was true up to the time man himself turned agriculturist. And as soon as man addressed himself to the tilling of the soil, there immediately ensued great improvement in methods of agriculture, extending on down through successive generations. In hunting and war man had learned the value of organization, and he introduced these techniques into industry and later, when taking over much of woman’s work, greatly improved on her loose methods of labor.
4. 초기 사회 속에서의 여자들의 지위 4. Woman’s Status in Early Society
84:4.1
(935-1)
대체적으로 말하자면, 어느 시대 동안에든지 여자들의 지위는 결혼이 사회적 제도로서 진화 발전하는 데 대한 적정한 기준인 반면, 결혼 자체의 발전은 인간 문명 진보 정도를 가리키는 상당히 정확한 계량기이다.Generally speaking, during any age woman’s status is a fair criterion of the evolutionary progress of marriage as a social institution, while the progress of marriage itself is a reasonably accurate gauge registering the advances of human civilization.
84:4.2
(935-2)
여인들의 지위는 언제나 사회적인 모순이었다; 여자는 항상 남자들을 약삭빠르게 조종해 왔으며; 자기 자신의 이익을 위해 그리고 자기 자신의 발전을 위해 항상 남자의 강력한 성적 충동을 이용해 왔다. 여자는 자신의 성적 매력으로 미묘하게 거래함으로써, 남자를 지배하는 힘을 종종 발휘해 왔는데, 심지어는 비천한 노예로 그에게 소속된 경우에도 그러하였다.Woman’s status has always been a social paradox; she has always been a shrewd manager of men; she has always capitalized man’s stronger sex urge for her own interests and to her own advancement. By trading subtly upon her sex charms, she has often been able to exercise dominant power over man, even when held by him in abject slavery.
84:4.3
(935-3)
초기 시대의 여자는 남자에게 친구와 연인 그리고 동반자라기보다는 재산 목록의 일부, 종 또는 노예였으며, 나중에는 경제적인 동반자와 노리개 그리고 아이를 낳는 사람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절하고 만족스러운 성적 관계는 여자에 의한 협동과 선택이라는 요소를 항상 필요로 하였으며, 이것 때문에 총명한 여자들은 여성으로서의 자기들의 사회적 지위에 상관없이 자신의 직접적이고 개인적인 지위에 언제나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그러나 여자들이 자신들의 속박을 완화하려는 노력에서, 기민함에 계속 의존하도록 내내 강제되었다는 사실로 인하여, 남자들의 불신과 의심에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Early woman was not to man a friend, sweetheart, lover, and partner but rather a piece of property, a servant or slave and, later on, an economic partner, plaything, and childbearer. Nonetheless, proper and satisfactory sex relations have always involved the element of choice and co-operation by woman, and this has always given intelligent women considerable influence over their immediate and personal standing, regardless of their social position as a sex. But man’s distrust and suspicion were not helped by the fact that women were all along compelled to resort to shrewdness in the effort to alleviate their bondage.
84:4.4
(935-4)
성은 서로를 납득하는 데 있어서 큰 어려움을 주었다. 남자는 여자를 납득하기가 힘들다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의심과 경멸로 대하지 않는 경우에는, 무례한 불신과 심한 매혹이 이상하게 혼합된 존재로 간주하였다. 부족과 종족의 많은 전통들이 고난을 이브, 판도라, 또는 어떤 다른 대표적인 여성들에 관련지었다. 이러한 이야기들은, 여자가 남자에게 죄악을 범하게 하였다는 사실이 명백하게 되도록 항상 왜곡되었다; 이 모든 것은 여자를 한 때 보편적으로 불신하였던 적이 있었음을 나타낸다. 사제들이 독신주의를 지지한 이유들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은 여자를 천하게 여기는 것이었다. 가장 소문난 무당들이 여자들이었다는 사실이 여성에 대한 전통적인 평판을 개선시키지 않았다.The sexes have had great difficulty in understanding each other. Man found it hard to understand woman, regarding her with a strange mixture of ignorant mistrust and fearful fascination, if not with suspicion and contempt. Many tribal and racial traditions relegate trouble to Eve, Pandora, or some other representative of womankind. These narratives were always distorted so as to make it appear that the woman brought evil upon man; and all this indicates the onetime universal distrust of woman. Among the reasons cited in support of a celibate priesthood, the chief was the baseness of woman. The fact that most supposed witches were women did not improve the olden reputation of the sex.
84:4.5
(935-5)
남자들은 오랫동안 여자들을 기묘한 존재로, 심지어는 비정상적인 존재로 간주하였다. 그들은 여자들에게는 혼이 없다고 생각하기까지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여자들에게 이름을 붙여주지 않았다. 초기 시대 동안에는 여자와의 첫 번째 성 관계에 대한 큰 두려움이 존재했다; 그리하여 처녀로 하여금 사제(司祭)와 첫 번째 성교를 갖도록 하는 것이 관습이 되었다. 심지어는 여자의 그림자가 위험스러운 것으로 생각되기도 하였다.Men have long regarded women as peculiar, even abnormal. They have even believed that women did not have souls; therefore were they denied names. During early times there existed great fear of the first sex relation with a woman; hence it became the custom for a priest to have initial intercourse with a virgin. Even a woman’s shadow was thought to be dangerous.
84:4.6
(935-6)
아이를 낳는 일이 여자를 위험스럽고 부정한 존재로 만든다는 생각이 한 때 일반적으로 퍼져 있었다. 그리고 많은 부족의 사회관례들은 아이를 낳은 어머니는 상당한 기간 동안 정결 예식에 참여하도록 규정하였다. 해산하는 현장에 남편이 참여하도록 하는 집단들 이외의 경우에는, 아이를 낳게 된 여자를 회피하였고 따로 혼자 있게 하였다. 고대의 사람들은 집안에서 아이를 낳지 못하게 하는 경우도 있었다. 마침내는, 해산하는 기간 동안 할머니들이 산모를 도울 수 있도록 허용하였다; 이러한 실천 관행에 의해 전문적인 산파술이 기원되었다. 해산하는 동안에는 분만을 돕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미련스러운 일들을 말하고 행하였다. 새로 태어난 아기에게는 귀신의 간섭을 막기 위해 성수(聖水)를 뿌리는 것이 관습이었다.Childbearing was once generally looked upon as rendering a woman dangerous and unclean. And many tribal mores decreed that a mother must undergo extensive purification ceremonies subsequent to the birth of a child. Except among those groups where the husband participated in the lying-in, the expectant mother was shunned, left alone. The ancients even avoided having a child born in the house. Finally, the old women were permitted to attend the mother during labor, and this practice gave origin to the profession of midwifery. During labor, scores of foolish things were said and done in an effort to facilitate delivery. It was the custom to sprinkle the newborn with holy water to prevent ghost interference.
84:4.7
(935-7)
피가 섞이지 않은 부족들 사이에서는, 아이를 낳는 일이 비교적 수월하여 두 세 시간이면 충분하였다; 피가 섞인 종족들 사이에서는 그렇게 쉬운 경우가 드물었다. 만약에 여자가 아이를 낳다가 죽으면, 특별히 쌍둥이를 낳다가 그렇게 되면, 그 여자가 영적인 간음의 죄를 범했던 것으로 믿었다. 후대에 이르러서, 비교적 발달된 부족들은 아이를 낳다가 죽은 경우를 하늘의 뜻으로 간주하였고; 그러한 산모들은 숭고한 목적 때문에 죽은 것으로 간주되었다.Among the unmixed tribes, childbirth was comparatively easy, occupying only two or three hours; it is seldom so easy among the mixed races. If a woman died in childbirth, especially during the delivery of twins, she was believed to have been guilty of spirit adultery. Later on, the higher tribes looked upon death in childbirth as the will of heaven; such mothers were regarded as having perished in a noble cause.
84:4.8
(936-1)
신체를 드러내는 것과 의복에 관계되는 소위 여인들의 정숙함은, 월경 기간 동안에 사람들에게 발견되는 것을 매우 두려워한 것에서 연유되었다. 그것이 발견되는 것은 중대한 죄, 금기에 대한 위반이었다. 옛날의 사회관례 밑에서는, 사춘기로부터 출산 가능한 기간이 끝나는 나이까지의 모든 여자들은 매 달마다 1주일씩 가족들과 공동체로부터 충분히 격리되어 있어야만 하였다. 그 기간에 있는 여자가 만지거나 앉거나 또는 누웠던 모든 것들은 “부정(不淨)”한 것으로 여겨졌다. 매 달마다 그 기간이 끝난 소녀들은 그녀의 몸에서 악령을 추방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심한 매를 맞는 것이 오랫동안의 관습이었다. 그러나 출산할 수 있는 연령이 지난 여인의 경우에는, 대개 상당한 대우를 받았는데, 보다 많은 특권과 권리가 주어졌다. 이러한 모든 관점에서 본다면 여자들이 경멸의 대상이 된 것은 당연한 것이었다. 심지어 그리스인들도 월경 기간에 있는 여자를 세 가지 큰 오염원인들 중의 하나로 간주하였는데, 다른 두 가지는 돼지와 마늘이었다.The so-called modesty of women respecting their clothing and the exposure of the person grew out of the deadly fear of being observed at the time of a menstrual period. To be thus detected was a grievous sin, the violation of a taboo. Under the mores of olden times, every woman, from adolescence to the end of the childbearing period, was subjected to complete family and social quarantine one full week each month. Everything she might touch, sit upon, or lie upon was “defiled.” It was for long the custom to brutally beat a girl after each monthly period in an effort to drive the evil spirit out of her body. But when a woman passed beyond the childbearing age, she was usually treated more considerately, being accorded more rights and privileges. In view of all this it was not strange that women were looked down upon. Even the Greeks held the menstruating woman as one of the three great causes of defilement, the other two being pork and garlic.
84:4.9
(936-2)
이러한 옛날 통념들이 아무리 어리석은 것이었어도, 그들은 과중한 일을 부과하였던 여자들에게 어느 정도 좋은 일을 하였는데, 적어도 나이가 어렸을 때에는 매 달 1주일씩 휴식을 즐기면서 유익한 명상에 잠길 수 있었다. 그리하여 그들은 나머지 시간에 자신들의 남자 연관-동료들을 다루기 위한 자신들의 재치를 날카롭게 만들 수 있었다. 이러한 여인들의 격리 기간은 남자들로 하여금 과도한 성적 탐닉에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하였으며, 그리하여 간접적으로는 인구 증가 억제와 자아-통제의 증진에 기여하였다.However foolish these olden notions were, they did some good since they gave overworked females, at least when young, one week each month for welcome rest and profitable meditation. Thus could they sharpen their wits for dealing with their male associates the rest of the time. This quarantine of women also protected men from over-sex indulgence, thereby indirectly contributing to the restriction of population and to the enhancement of self-control.
84:4.10
(936-3)
남자가 자기 아내를 뜻대로 죽이지 못하게 되었을 때 큰 진보가 이루어졌다. 마찬가지로, 여자가 결혼 예물을 간직할 수 있게 되었을 때 한 단계 더 진보되었다. 나중에는 여자가 재산을 소유하고 통제하며 처분 할 수 있는 법적 권리도 획득하게 되었지만, 교회에서 또는 관청에서 직책을 얻을 수 있는 권리는 오랫동안 허용되지 않았다. 여자들은 그리스도 이후 20세기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20세기에 있어서도 어느 정도는 항상 재산으로 취급되어 왔다. 여자들은 아직도 남자들의 통제 아래에 틀어박힌 상태로부터의 자유를 전(全)세계적으로 획득하지 못한 상태에 있다. 심지어는 상당히 진보된 민족들 사이에서도, 여자를 보호하려는 남자의 의도가 자기들의 우월성을 항상 암시적으로 주장해 왔다.A great advance was made when a man was denied the right to kill his wife at will. Likewise, it was a forward step when a woman could own the wedding gifts. Later, she gained the legal right to own, control, and even dispose of property, but she was long deprived of the right to hold office in either church or state. Woman has always been treated more or less as property, right up to and in the twentieth century after Christ. She has not yet gained world-wide freedom from seclusion under man’s control. Even among advanced peoples, man’s attempt to protect woman has always been a tacit assertion of superiority.
84:4.11
(936-4)
그러나 원시 시대의 여인들은, 아주 최근에 해방된 여자들이 그렇게 하는 것과는 달리, 자신들을 불쌍하게 여기지 않았다. 오히려 그들은 상당히 행복하였고 만족하였다; 보다 나은 또는 전혀 다른 생활양식을 감히 상상하지 않았다.But primitive women did not pity themselves as their more recently liberated sisters are wont to do. They were, after all, fairly happy and contented; they did not dare to envision a better or different mode of existence.
5. 발전하는 사회관례 밑에서의 여자 5. Woman Under the Developing Mores
84:5.1
(936-5)
자아-영속에서는 여자는 남자와 동일하지만, 자아-유지를 위한 동반자 관계에서는 여자들이 분명하게 불리한 일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어머니로서의 강제적인 불리한 조건은 진보되는 문명의 깨우친 사회관례에 의해서 그리고 공정성 인정에 대한 남자들의 증가되는 감각으로 보상될 수밖에 없다.In self-perpetuation woman is man’s equal, but in the partnership of self-maintenance she labors at a decided disadvantage, and this handicap of enforced maternity can only be compensated by the enlightened mores of advancing civilization and by man’s increasing sense of acquired fairness.
84:5.2
(936-6)
사회가 진화하면서, 여성들이 성(性)에 대한 사회 관례를 위반한 결과로부터 더욱 고통을 받았고, 이로 인하여 여성들 사이에서 성에 대한 기준이 좀 더 높은 차원으로 올라갔다. 남자의 성에 대한 기준은, 문명이 요구하는 공정성에 대한 미약한 인식의 결과로, 오직 내키지 않는 상태에서 개선되고 있을 뿐이다. 자연의 법칙은 공정성에 대하여 전혀 알지 못한다. 자연은─여자 혼자서 아이 분만의 고통을 겪게 만든다.As society evolved, the sex standards rose higher among women because they suffered more from the consequences of the transgression of the sex mores. Man’s sex standards are only tardily improving as a result of the sheer sense of that fairness which civilization demands. Nature knows nothing of fairness ─ makes woman alone suffer the pangs of childbirth.
84:5.3
(936-7)
성적 평등에 대한 현대의 관념은 확대되는 문명의 아름답고 훌륭한 면이기는 하지만, 자연의 법칙에 기초를 둔 것은 아니다. 힘이 지배하던 시대에는 남자가 여자 위에 군림하였다; 더 많은 공의(公義)와 평화 그리고 공평성이 우세해진 후에는 여자가 노예 신분과 미천한 상태로부터 점차적으로 벗어나게 된다. 여자의 사회적 지위는 어느 민족 또는 어느 시대에 있어서든지 대개 군국주의의 정도와 반대되는 만큼 변화된다.The modern idea of sex equality is beautiful and worthy of an expanding civilization, but it is not found in nature. When might is right, man lords it over woman; when more justice, peace, and fairness prevail, she gradually emerges from slavery and obscurity. Woman’s social position has generally varied inversely with the degree of militarism in any nation or age.
84:5.4
(937-1)
그러나 남자가 여자의 권리들을 빼앗은 것은 의식적(意識的)인 것이 아니었고 고의적인 것도 아니었으며, 그 후에는 점차적으로 그리고 마지못해 그것들을 여자에게 돌려주고 있다; 이 모든 것은 사회적 진화에 있어서의 무의식적이고 무계획적인 에피소드이었다. 추가된 권리들을 여자가 실제적으로 누리게 되었을 때에는, 남자의 의식 태도에는 전혀 상관없이 여자들이 그것들을 취하였다. 끊임없는 문명 진화의 일부분인 그러한 사회적 조절들을 제공할 수 있도록, 사회관례들이 서서히 그러나 분명하게 변화되고 있다. 앞서 나가는 사회관례들은 여성에 대한 보다 나은 대우를 점점 더 많이 제공하였다; 그들에게 계속적으로 잔인하게 대하는 부족들은 살아남지 못하였다.But man did not consciously nor intentionally seize woman’s rights and then gradually and grudgingly give them back to her; all this was an unconscious and unplanned episode of social evolution. When the time really came for woman to enjoy added rights, she got them, and all quite regardless of man’s conscious attitude. Slowly but surely the mores change so as to provide for those social adjustments which are a part of the persistent evolution of civilization. The advancing mores slowly provided increasingly better treatment for females; those tribes which persisted in cruelty to them did not survive.
84:5.5
(937-2)
아담-사람들과 놋-사람들은 여자들을 점점 더 많이 인정하였으며, 이주하는 안드-사람들에 의해서 영향을 받은 그러한 집단들은 사회에 있어서의 여자들의 지위에 관한 에덴의 가르침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경향을 보여 왔다.The Adamites and Nodites accorded women increased recognition, and those groups which were influenced by the migrating Andites have tended to be influenced by the Edenic teachings regarding women’s place in society.
84:5.6
(937-3)
초기 시대의 중국인들과 그리스인들은 주변에 있는 대부분의 다른 민족들보다 낫게 여자들을 대우하였다. 그러나 히브리인들은 그들을 매우 의심하였다. 서방에서는, 그리스도교가 보다 엄중한 성적 의무들을 남자에게 부과함으로써 사회관례를 발전시켰음에도 불구하고, 그리스도교에 첨부되어진 바울의 교리들 아래에서 여자에 대한 지위 향상이 어려움을 겪어왔다. 여자의 생활 상태는, 마호멧교에서 여자에게 부과된 색다른 퇴보 아래에서 거의 절망적인 상태에 있으며, 다른 몇몇 동방 종교들의 가르침 아래에서 훨씬 악화된 상태로 살고 있다.The early Chinese and the Greeks treated women better than did most surrounding peoples. But the Hebrews were exceedingly distrustful of them. In the Occident woman has had a difficult climb under the Pauline doctrines which became attached to Christianity, although Christianity did advance the mores by imposing more stringent sex obligations upon man. Woman’s estate is little short of hopeless under the peculiar degradation which attaches to her in Mohammedanism, and she fares even worse under the teachings of several other Oriental religions.
84:5.7
(937-4)
종교가 아니라 과학이 실제로 여자를 해방시켰으며; 가정에 묶여있는 상태로부터 여자를 크게 자유화시킨 것은 현대의 공장(工場)이었다. 남자의 육체적인 능력은 새로운 생활 체제 속에서는 더 이상 극히 중대한 근본적 요소가 아니며; 과학이 생활환경들을 너무도 많이 변화시켰기 때문에 남자의 능력은 더 이상 여자의 능력에 그렇게 우월하지 못하게 되었다.Science, not religion, really emancipated woman; it was the modern factory which largely set her free from the confines of the home. Man’s physical abilities became no longer a vital essential in the new maintenance mechanism; science so changed the conditions of living that man power was no longer so superior to woman power.
84:5.8
(937-5)
이러한 변화들은 가정의 일에 노예가 되었던 상태로부터 여자를 해방시키는 경향을 보였고, 실천적으로 남자와 동등한 정도의 개인적 해방과 성(性) 결정권을 현재 누리고 있을 만큼 여자의 지위가 변경되게 하였다. 한 때는 여자의 가치가 음식을 만드는 능력에 제한되어 있었지만, 발명과 풍부함으로 인하여 여자들이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세계─우아하고 매력 있는 구체─가 창조되었다. 그리하여 산업은 여인의 사회적 경제적 해방을 위한 무의식적이고 무계획적인 전쟁에서 승리를 거두어 왔다. 그리고 계시가 완성시키지 못한 것들까지도 진화에 의해 다시 이룩되어 왔다.These changes have tended toward woman’s liberation from domestic slavery and have brought about such a modification of her status that she now enjoys a degree of personal liberty and sex determination that practically equals man’s. Once a woman’s value consisted in her food-producing ability, but invention and wealth have enabled her to create a new world in which to function ─ spheres of grace and charm. Thus has industry won its unconscious and unintended fight for woman’s social and economic emancipation. And again has evolution succeeded in doing what even revelation failed to accomplish.
84:5.9
(937-6)
사회 안에서의 여자의 위치를 다스리는 불공평한 사회관례로부터 깨우친 국민들의 반응은 그 과격성에 있어서 정말로 격심한 변동을 일으켜 왔다. 산업화된 종족들 사이에서는 여자가 거의 모든 권리들을 받아들여 왔고 군대 봉사와 같은 많은 책무로부터의 면제의 즐거움을 누리고 있다. 생존을 위한 투쟁에 있어서의 모든 안락함이 여자의 해방에 이바지해 왔으며, 여자는 일부일처제를 향한 모든 진보들로부터 직접적으로 혜택을 입어 왔다. 사회의 진보적인 진화 과정 안에서, 사회관례의 모든 조절에 있어서 약자들은 항상 불균등한 이익을 얻는다.The reaction of enlightened peoples from the inequitable mores governing woman’s place in society has indeed been pendulumlike in its extremeness. Among industrialized races she has received almost all rights and enjoys exemption from many obligations, such as military service. Every easement of the struggle for existence has redounded to the liberation of woman, and she has directly benefited from every advance toward monogamy. The weaker always makes disproportionate gains in every adjustment of the mores in the progressive evolution of society.
84:5.10
(937-7)
한 쌍의 결혼이라는 이상들에 있어서, 여자는 마침내 인정, 존엄성, 독립성, 평등, 그리고 교육을 얻어 냈지만; 여자가 새롭고도 전례가 없는 이러한 모든 성취들이 가치가 있는 것임을 과연 증명할 것인가? 현대의 여인들이 사회적 해방이라는 엄청난 성취와 함께 나태함, 무관심, 불임과 간통으로 응수할 것인가? 20세기인 오늘날, 여자들은 자신들의 오랫동안의 세상 실존에서의 결정적인 시험을 받고 있다!In the ideals of pair marriage, woman has finally won recognition, dignity, independence, equality, and education; but will she prove worthy of all this new and unprecedented accomplishment? Will modern woman respond to this great achievement of social liberation with idleness, indifference, barrenness, and infidelity? Today, in the twentieth century, woman is undergoing the crucial test of her long world existence!
84:5.11
(938-1)
종족 번식에 있어서 여자는 남자와 동등한 동반자인데, 그렇기 때문에 인종적 진화를 나타냄에 있어서 똑같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진화는 여자의 권리들을 실현시키는 방향으로 점점 더 활동을 해왔다. 그러나 여성의 권리들은 남성의 권리들과 결코 똑같지 않다. 남자가 여자의 권리 위에서 번영할 수 없는 것처럼, 여자도 남자의 권리 위에서 번창할 수 없다.Woman is man’s equal partner in race reproduction, hence just as important in the unfolding of racial evolution; therefore has evolution increasingly worked toward the realization of women’s rights. But women’s rights are by no means men’s rights. Woman cannot thrive on man’s rights any more than man can prosper on woman’s rights.
84:5.12
(938-2)
남성과 여성은 각자 실존에서의 특유한 구체를 갖고 있으며, 동시에 그 구체안에서 자신만의 권리를 갖는다. 만약에 여자가 글자 그대로의 남자의 모든 권리들을 누리고자 한다면, 현재 많은 여자들이 누리고 있는 그리고 그들이 아주 최근에 남자들로부터 획득하였던 기사도(騎士道)와 특별한 배려를 동정심도 감정도 없는 경쟁이 조만간 확실하게 대치될 것이다.Each sex has its own distinctive sphere of existence, together with its own rights within that sphere. If woman aspires literally to enjoy all of man’s rights, then, sooner or later, pitiless and emotionless competition will certainly replace that chivalry and special consideration which many women now enjoy, and which they have so recently won from men.
84:5.13
(938-3)
문명은 남성과 여성 사이에 있는 습성에 있어서의 큰 차이를 한 번도 없앨 수 없었다. 시대가 바뀌면서 사회관례는 변하지만, 본능은 결코 바뀔 수 없다. 타고난 모성애는 산업 사회 속에서 남자의 심각한 경쟁상대가 되도록 여자를 해방시키는 일이 결코 없을 것이다. 남성과 여성은 각자 자기만의 권역, 생물학적인 차이에 의해서 그리고 정신적인 차이점에 의해서 결정되는 권역 안에서 언제까지나 최극으로 남아있을 것이다.Civilization never can obliterate the behavior gulf between the sexes. From age to age the mores change, but instinct never. Innate maternal affection will never permit emancipated woman to become man’s serious rival in industry. Forever each sex will remain supreme in its own domain, domains determined by biologic differentiation and by mental dissimilarity.
84:5.14
(938-4)
남성과 여성은 언제나 자기들만의 특별한 구체를 가질 것인데, 그것들은 때때로 서로 중첩되기도 할 것이다. 남자들과 여자들은 오직 사회적으로만 똑같은 조건에서 경쟁하게 될 것이다.Each sex will always have its own special sphere, albeit they will ever and anon overlap. Only socially will men and women compete on equal terms.
6. 남자와 여자의 동반적 관계 6. The Partnership of Man and Woman
84:6.1
(938-5)
번식에 대한 충동은 자아-영속을 위하여 틀림없이 남자들과 여자들이 함께 모이게 하지만, 그 자체만으로는 그들이 같이 상호 협동하는 가운데─가정을 세우는 것─함께 남아 있도록 보장하지 않는다.The reproductive urge unfailingly brings men and women together for self-perpetuation but, alone, does not insure their remaining together in mutual co-operation ─ the founding of a home.
84:6.2
(938-6)
모든 성공적인 인간 제도는, 실천적으로 조화를 이루는 작업으로 조절되어온 개인적 관심들의 반목을 포옹하고 있으며, 가정을 세우는 일도 예외가 아니다. 결혼은, 가정 설립의 기초가 되는데, 매우 자주 자연본능과 공동체의 접촉을 특징짓게 하는, 적대적 협동을 간직한 최고의 현시활동이다. 충돌은 필연적인 것이다. 짝을 짓는 일은 선천적인 것이다; 자연본성적이다. 그러나 결혼은 생물적인 것이 아니다; 그것은 사회적인 것이다. 열정이 남자와 여자가 함께 되는 것을 보장하지만, 그러나 미약한 어버이의 본능과 사회관례가 그들이 함께 하는 것을 유지한다.Every successful human institution embraces antagonisms of personal interest which have been adjusted to practical working harmony, and homemaking is no exception. Marriage, the basis of home building, is the highest manifestation of that antagonistic co-operation which so often characterizes the contacts of nature and society. The conflict is inevitable. Mating is inherent; it is natural. But marriage is not biologic; it is sociologic. Passion insures that man and woman will come together, but the weaker parental instinct and the social mores hold them together.
84:6.3
(938-7)
실천적인 면에서 본다면, 남성과 여성은 밀접하고 친밀한 관계적-연합 속에서 살아가는 동일한 종(種)에서의 뚜렷하게 다른 두 개의 변종이다. 그들의 관점들과 전체 삶의 반응들은 근본적으로 다르다; 그래서 그들이 서로를 충분히 그리고 실제적으로 이해할 수용력이 전혀 없다. 이성간의 완벽한 납득은 달성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Male and female are, practically regarded, two distinct varieties of the same species living in close and intimate association. Their viewpoints and entire life reactions are essentially different; they are wholly incapable of full and real comprehension of each other. Complete understanding between the sexes is not attainable.
84:6.4
(938-8)
여자들은 남자들보다 더욱 많은 직관을 가진 것으로 보이지만, 그러나 또한 어느 정도는 좀더 적게 논리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그렇지만, 여자는 항상 도덕적 기준을-떠맡아 나르는 자였으며 그리고 인류의 영적 영도자였다. 요람을 흔드는 손은 여전히 조용하게 운명과 친하게 지내고 있다.Women seem to have more intuition than men, but they also appear to be somewhat less logical. Woman, however, has always been the moral standard-bearer and the spiritual leader of mankind. The hand that rocks the cradle still fraternizes with destiny.
84:6.5
(938-9)
남자와 여자 사이의 자연본성, 반응, 관점, 사고(思考)에서의 차이점들은, 염려를 일으키는 것과는 거리가 멀며, 오히려 개별적으로 그리고 집단적으로 인류에게 매우 유익한 것으로 간주되어야만 한다. 우주 창조체들의 많은 계층이 개인성 현시활동의 이원적(二元的) 위상으로 창조된다. 필사자들과 물질아들들 그리고 아(亞)중간자들 사이에서는 이 차이는 남성과 여성으로 표현된다; 세라핌천사, 케루빔, 그리고 모론시아 동행자들 사이에서는 긍정적 혹은 적극적 그리고 부정적 즉 내향적(內向的)인 것으로 일컬어져 왔다. 그러한 이원적(二元的) 관계적-연합들은, 파라다이스-하보나 체계 속에 있는 어떤 삼원적(三元的) 관계적-연합이 하는 것처럼, 융통성을 크게 증대시키고 선천적 한계들을 극복한다.The differences of nature, reaction, viewpoint, and thinking between men and women, far from occasioning concern, should be regarded as highly beneficial to mankind, both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Many orders of universe creatures are created in dual phases of personality manifestation. Among mortals, Material Sons, and midsoniters, this difference is described as male and female; among seraphim, cherubim, and Morontia Companions, it has been denominated positive or aggressive and negative or retiring. Such dual associations greatly multiply versatility and overcome inherent limitations, even as do certain triune associations in the Paradise-Havona system.
84:6.6
(939-1)
남자들과 여자들은 필사자 생애 속에서뿐만 아니라 모론시아적 생애와 영적 생애 속에서도 서로를 필요로 한다. 남성과 여성 사이에 있는 관점의 차이들은 첫 번째 삶이 끝난 후에도 여전히 존재하며 지역우주에서의 상승과 초우주에서의 상승 과정 전체에서도 존재한다. 그리고 심지어는 하보나에서도, 한 때 남자들과 여자들이었던 그 순례자들은 파라다이스로 상승하는 과정 속에서 여전히 서로를 도와주게 될 것이다. 심지어는 최종의 무리단들 속에서도, 창조체는 인간이 남성과 여성이라고 부르는 개인성 경향의 흔적이 없어질 때까지 변화될 것이다; 인류의 이러한 두 가지 근본적인 서로 다른 이종(異種)들은 서로에게 호기심을 주고, 자극을 주고, 용기를 주고 협조하는 일을 항상 계속할 것이다; 그들은 복잡한 우주적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있어서 그리고 가지각색의 조화우주 어려움들을 극복하는 일 속에서 상호 의존적으로 협동하게 될 것이다.Men and women need each other in their morontial and spiritual as well as in their mortal careers. The differences in viewpoint between male and female persist even beyond the first life and throughout the local and superuniverse ascensions. And even in Havona, the pilgrims who were once men and women will still be aiding each other in the Paradise ascent. Never, even in the Corps of the Finality, will the creature metamorphose so far as to obliterate the personality trends that humans call male and female; always will these two basic variations of humankind continue to intrigue, stimulate, encourage, and assist each other; always will they be mutually dependent on co-operation in the solution of perplexing universe problems and in the overcoming of manifold cosmic difficulties.
84:6.7
(939-2)
남성과 여성이 서로를 충분히 납득하기를 희망할 수는 결코 없는 반면, 그들은 효과적으로 서로를 보완하며, 그리고 협동이 종종 개인적으로 다소간의 반목을 일으키지만, 공동체를 유지하고 재생산하는 능력을 가지는 것이다. 결혼은 성(性)의 차이를 완화하도록 고안된 제도이며, 동시에 문명의 지속과 인종(人種)의 재생산을 가져다준다.While the sexes never can hope fully to understand each other, they are effectively complementary, and though co-operation is often more or less personally antagonistic, it is capable of maintaining and reproducing society. Marriage is an institution designed to compose sex differences, meanwhile effecting the continuation of civilization and insuring the reproduction of the race.
84:6.8
(939-3)
결혼은 모든 인간적 제도들의 모체인데, 왜냐하면 그것이 가정의 설립과 유지를 직접적으로 이룩하기 때문이며, 가정은 사회의 구조적인 기초이기 때문이다. 가정은 자아-유지 기능구조에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문명의 사회관례 아래에서 종족을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유일한 희망인 동시에, 아주 만족스러운 어떤 형태의 자아-충족을 가장 효과적으로 제공한다. 가정은 사람이 이룩한 가장 순수한 인간적 업적인데, 남성과 여성의 생물학적 관계의 진화를 일으키며, 그것을 남편과 아내라는 사회적 관계와 병합하고 있다.Marriage is the mother of all human institutions, for it leads directly to home founding and home maintenance, which is the structural basis of society. The family is vitally linked to the mechanism of self-maintenance; it is the sole hope of race perpetuation under the mores of civilization, while at the same time it most effectively provides certain highly satisfactory forms of self-gratification. The family is man’s greatest purely human achievement, combining as it does the evolution of the biologic relations of male and female with the social relations of husband and wife.
7. 결혼생활의 이상적인 원리들 7. The Ideals of Family Life
84:7.1
(939-4)
남성과 여성이 짝을 이루는 것은 본능적인 것이고, 자녀들은 자연적인 결과이며, 그리하여 가정은 자동적으로 실존하게 된다. 종족 또는 국가의 가정들이 있는 것처럼, 그것의 사회도 존재한다. 유대 민족들과 중국 민족들의 뿌리 깊은 문화적 안정성은 그들의 가정 집단들의 위력안에 놓여있다.Sex mating is instinctive, children are the natural result, and the family thus automatically comes into existence. As are the families of the race or nation, so is its society. If the families are good, the society is likewise good. The great cultural stability of the Jewish and of the Chinese peoples lies in the strength of their family groups.
84:7.2
(939-5)
자녀들을 사랑하고 돌보는 여자의 본능은 결혼과 원시적인 가정생활을 증진시키는 일에 여자로 하여금 흥미를 갖는 집단이 되도록 협력하였다. 남자는 후대의 사회관례들과 사회적 풍습들에 의해서 강제적으로 가정을 이루게 되었을 뿐이다; 결혼과 가정을 설립하는 일에 흥미를 갖기까지 오랜 세월이 걸렸는데, 그것은 성(性) 행동은 그 어떤 생물학적 결과도 그에게 강요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Woman’s instinct to love and care for children conspired to make her the interested party in promoting marriage and primitive family life. Man was only forced into home building by the pressure of the later mores and social conventions; he was slow to take an interest in the establishment of marriage and home because the sex act imposes no biologic consequences upon him.
84:7.3
(939-6)
성적인 결합은 자연스러운 것이지만, 결혼은 사회적인 것이며 언제나 사회관례들에 의해서 규제되어 왔다. 사회관례들(종교적, 도덕적, 윤리적)은, 재산과 자부심 그리고 기사도 마음과 함께, 결혼과 가정 제도를 안정화시킨다. 사회관례가 동요될 때마다, 가정-결혼 제도의 안정성이 흔들렸다. 결혼은 이제 소유 단계를 탈피하여 개인적인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지난날에는 여자가 남자의 재산이었기 때문에 남자가 여자를 보호하였으며, 같은 이유 때문에 여자가 복종하였다. 그 장점들과는 상관없이, 이러한 체계는 안정성을 제공하였다. 이제는, 여자는 더 이상 재산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새로운 사회관례들이 결혼-가정 제도를 안정시킬 수 있도록 고안되어 창발하고 있다:Sex association is natural, but marriage is social and has always been regulated by the mores. The mores (religious, moral, and ethical), together with property, pride, and chivalry, stabilize the institutions of marriage and family. Whenever the mores fluctuate, there is fluctuation in the stability of the home-marriage institution. Marriage is now passing out of the property stage into the personal era. Formerly man protected woman because she was his chattel, and she obeyed for the same reason. Regardless of its merits this system did provide stability. Now, woman is no longer regarded as property, and new mores are emerging designed to stabilize the marriage-home institution:
84:7.4
(939-7)
1. 종교의 새로운 역할─부모의 체험이 필수적이라는 가르침, 조화우주 시민들을 낳는다는 관념, 출산의 혜택에 대한 확대된 납득─아들들을 아버지께 드림.1. The new role of religion ─ the teaching that parental experience is essential, the idea of procreating cosmic citizens, the enlarged understanding of the privilege of procreation ─ giving sons to the Father.
84:7.5
(940-1)
2. 과학의 새로운 역할─출산은 점점 더 자발적으로, 사람의 통제를 따르게 되었다. 옛날에는 인식 부족 때문에 그것을 위한 모든 욕망들이 없는 상태에서도 자녀들의 출생이 보장되었다.2. The new role of science ─ procreat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voluntary, subject to man’s control. In ancient times lack of understanding insured the appearance of children in the absence of all desire therefor.
84:7.6
(940-2)
3. 쾌락을 주는 매력들의 새로운 역할─이것이 인종적 생존에 새로운 요소를 제공하였다; 옛날 사람은 원하지 않는 아이를 죽였지만; 현대인들은 그러한 아이를 갖지 않으려고 한다.3. The new function of pleasure lures ─ this introduces a new factor into racial survival; ancient man exposed undesired children to die; moderns refuse to bear them.
84:7.7
(940-3)
4. 어버이의 본능의 향상. 각 세대는 이제 어버이의 본능이 다음 세대에서의 장래의 부모들, 자녀들의 출산을 보장하기에 충분하게 강하지 않은 그러한 개별존재들을, 인종 번식의 흐름으로부터 배제하려는 경향을 띠고 있다.4. The enhancement of parental instinct ─ each generation now tends to eliminate from the reproductive stream of the race those individuals in whom parental instinct is insufficiently strong to insure the procreation of children, the prospective parents of the next generation.
84:7.8
(940-4)
그러나 하나의 제도로서의 가정, 한 남자와 한 여자의 협동체는 보다 명확하게 말하자면 약 50만 년 전에 달라마시아 시대로부터 시작되었는데, 안돈과 그의 직계 후손들이 가졌던 일부일처제 실천 관행은 오래 전부터 포기되어 왔었다. 아무튼, 가정생활은 놋-사람들과 그 후의 아담-사람들 시대 이전에는 자랑할 만한 것이 못되었다. 아담이브는 모든 인류에게 영구적으로 영향을 끼쳤으며; 세계 역사상 처음으로 남자들과 여자들이 동산에서 협력하며 일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모든 가족들이 원예가가 되는, 에덴의 이상적(理想的)인 원리는 유란시아에서는 하나의 새로운 관념이었다.But the home as an institution, a partnership between one man and one woman, dates more specifically from the days of Dalamatia, about one-half million years ago, the monogamous practices of Andon and his immediate descendants having been abandoned long before. Family life, however, was not much to boast of before the days of the Nodites and the later Adamites. Adam and Eve exerted a lasting influence on all mankind;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the world men and women were observed working side by side in the Garden. The Edenic ideal, the whole family as gardeners, was a new idea on Urantia.
84:7.9
(940-5)
초기의 가정은 노예들을 포함하여, 관계된 작업 집단을 포옹하였고, 모두가 한 거처에서 살았다. 결혼과 가정생활은 항상 동일하지는 않았지만, 필요성에서 가깝게 연관되어 있었다. 여자는 항상 개별적인 가족을 원하였고, 결국에는 자기 방식대로 했다.The early family embraced a related working group, including the slaves, all living in one dwelling. Marriage and family life have not always been identical but have of necessity been closely associated. Woman always wanted the individual family, and eventually she had her way.
84:7.10
(940-6)
자손에 대한 사랑은 거의 우주적인 것이고 생존에 있어서 분명히 가치 있는 것이다. 고대의 사람들은 언제나 자녀의 행복을 위해 어머니의 권리가 희생되었다; 에스키모 어머니는 아직도 자기 아이를 물로 씻는 대신에 혀로 핥아준다. 그러나 원시 시대의 어머니들은 자기 자녀들이 아주 어렸을 때에만 먹여주고 돌보아 주었을 뿐이다; 동물들과 마찬가지로, 그들이 자라나자마자 그들과의 관계를 끊었다. 영구적이고 계속적인 인간적 관계적-연합들은 생물학적인 애정만을 기초로 하여 설립된 적이 전혀 없었다. 동물들은 자기 새끼들을 사랑한다; 사람─문명화된 사람─은 자기 자녀들의 자녀들도 사랑한다. 문명이 발달될수록, 자녀들의 발전과 성공에 대한 부모들의 기쁨이 커지며; 그리하여 이름에 대한 자부심이 새롭고도 더 고상하게 실현되는 일이 이루어지게 된다.Love of offspring is almost universal and is of distinct survival value. The ancients always sacrificed the mother’s interests for the welfare of the child; an Eskimo mother even yet licks her baby in lieu of washing. But primitive mothers only nourished and cared for their children when very young; like the animals, they discarded them as soon as they grew up. Enduring and continuous human associations have never been founded on biologic affection alone. The animals love their children; man ─ civilized man ─ loves his children’s children. The higher the civilization, the greater the joy of parents in the children’s advancement and success; thus the new and higher realization of name pride comes into existence.
84:7.11
(940-7)
고대의 민족들 사이에서 규모가 큰 가족들이 반드시 환영을 받은 것은 아니었다. 자녀를 많이 두는 것은 다음과 같은 면에서 요구되었다:The large families among ancient peoples were not necessarily affectional. Many children were desired because:
84:7.12
(940-8)
1. 그들은 노동자로서의 가치가 있었다.1. They were valuable as laborers.
84:7.13
(940-9)
2. 그들은 노후대책이었다.2. They were old-age insurance.
84:7.14
(940-10)
3. 딸들은 곧 팔려나가게 되어 있었다.3. Daughters were salable.
84:7.15
(940-11)
4. 가족의 자부심이 이름의 확장을 요구하였다.4. Family pride required extension of name.
84:7.16
(940-12)
5. 아들들은 방어와 보호를 잘 제공하였다.5. Sons afforded protection and defense.
84:7.17
(940-13)
6. 귀신에 대한 두려움이 혼자 있는 것을 두려워하게 하였다.6. Ghost fear produced a dread of being alone.
84:7.18
(940-14)
7. 어떤 종교들은 자손을 요구하였다.7. Certain religions required offspring.
84:7.19
(940-15)
조상을 경배하는 사람들은 아들들을 낳지 못하는 것을 항상 최극의 불행으로 여긴다. 그들은 다른 어떤 것들보다도 아들들이 죽은 조상들에 대한 제사를 드려줄 것을, 영적인 나라에서 귀신이 진보하는 일에 필요한 희생 제물들을 드리기를 바란다.Ancestor worshipers view the failure to have sons as the supreme calamity for all time and eternity. They desire above all else to have sons to officiate in the post-mortem feasts, to offer the required sacrifices for the ghost’s progress through spiritland.
84:7.20
(941-1)
고대의 원시인들 사이에서는 자녀들에 대한 단련이 매우 일찍부터 시작되었다; 아이는, 동물들에게 그러했던 것 같이, 불순종이 실패나 죽음까지도 의미한다는 것을 일찍부터 깨달았다. 어리석은 행위의 자연적인 결과로부터 어린아이를 보호한 것은 문명의 보호 작용이고, 그것은 현대의 불복종에 그렇게 많도록 기여하고 있다.Among ancient savages, discipline of children was begun very early; and the child early realized that disobedience meant failure or even death just as it did to the animals. It is civilization’s protection of the child from the natural consequences of foolish conduct that contributes so much to modern insubordination.
84:7.21
(941-2)
에스키모 아이들은 거의 단련과 벌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성장하는데 그것은 오직 그들이 천부적으로 유순한 어린 동물들과 같기 때문이다; 적색 인종과 황색 인종의 자녀들도 거의 마찬가지로 유순하다. 그러나 안드-사람 유전자를 가진 인종들의 자녀들은 그렇게 조용한 편이 아니며; 더 많은 단련과 억제가 요구되는, 더욱 상상력이 풍부하고 모험심이 강한 아이들이다. 아이를 훈련시키는 데 있어서의 현대적인 문제들은 다음과 같은 것들에 의해서 점점 더 어려움을 겪게 된다:Eskimo children thrive on so little discipline and correction simply because they are naturally docile little animals; the children of both the red and the yellow men are almost equally tractable. But in races containing Andite inheritance, children are not so placid; these more imaginative and adventurous youths require more training and discipline. Modern problems of child culture are rendered increasingly difficult by:
84:7.22
(941-3)
1. 심한 종족 혼합.1. The large degree of race mixture.
84:7.23
(941-4)
2. 인공적이고 피상적인 교육.2. Artificial and superficial education.
84:7.24
(941-5)
3. 부모들을 모방함으로써 문화를 획득하는 능력이 아이들에게서 사라짐─부모들이 가족들과 함께 있는 시간이 너무 적다.3. Inability of the child to gain culture by imitating parents ─ the parents are absent from the family picture so much of the time.
84:7.25
(941-6)
가족 단련에 대한 옛 관념은 생물학적인 것이었는데, 부모들이 자녀의 존재들의 창조자라는 실현에서 나와서 성장되었다. 가정생활에 대한 진보하는 이상적(理想的) 원리들은, 어떤 아이를 세상에 태어나게 하는 것은 어버이의 특정한 권리들을 수여하는 대신에 인간 실존의 최극 의무를 의미한다는 개념으로 바뀌도록 인도되고 있다.The olden ideas of family discipline were biologic, growing out of the realization that parents were creators of the child’s being. The advancing ideals of family life are leading to the concept that bringing a child into the world, instead of conferring certain parental rights, entails the supreme responsibility of human existence.
84:7.26
(941-7)
문명은 모든 의무들을 부모들이 맡고, 자녀는 모든 권리들을 갖게 되는 것을 중요시한다. 자기 부모들에 대한 자녀의 존중은, 부모가 자기를 만들었다는 생각 속에 내포된 의무감에서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삶의 전쟁터에서 승리할 수 있도록 자녀를 도와주는 가운데 충실하게 보이는 보살핌과 훈련과 애정의 결과로 자연스럽게 자라난다. 참된 부모는, 현명한 자녀가 이해하고 감사를 느끼게 되는 계속적인 봉사-사명활동에 여념이 없다.Civilization regards the parents as assuming all duties, the child as having all the rights. Respect of the child for his parents arises, not in knowledge of the obligation implied in parental procreation, but naturally grows as a result of the care, training, and affection which are lovingly displayed in assisting the child to win the battle of life. The true parent is engaged in a continuous service-ministry which the wise child comes to recognize and appreciate.
84:7.27
(941-8)
현재와 같은 산업 시대와 도시 시대에서 결혼 제도는 새로운 경제 계통에 따라 진화하고 있다. 가정생활은 점점 더 비용이 드는 반면, 예전에는 하나의 자산이 되곤 하였던 자녀들은 경제적인 부채가 되고 있다. 그러나 문명 자체의 안전성은, 여전히 한 세대가 다음 세대와 미래 세대들의 복지를 위해 투자하려는 기꺼운 마음이 자라나고 있음에 놓여 있다. 그리고 부모의 책임을 국가나 또는 교회에 떠맡기려는 그 어떤 시도도 문명에서의 복지와 발전에 자멸을 초래한다는 것이 증명될 것이다.In the present industrial and urban era the marriage institution is evolving along new economic lines. Family life has become more and more costly, while children, who used to be an asset, have become economic liabilities. But the security of civilization itself still rests on the growing willingness of one generation to invest in the welfare of the next and future generations. And any attempt to shift parental responsibility to state or church will prove suicidal to the welfare and advancement of civilization.
84:7.28
(941-9)
결혼은, 자녀들과 그에 따르는 가정생활과 함께, 인간 자연본성에서 가장 고상한 잠재를 자극하는 동시에, 필사자 개인성에서의 이들 자극적인 속성들을 표현하는 이상적인 큰길을 제공한다. 가족은 인간 종족들의 생물학적 영속을 제공한다. 가정은, 핏줄로 이어진 형제신분의 윤리가, 자라나는 자녀에 의해 파악될 수 있는, 자연스런 사회 무대이다. 가정은, 모든 사람들 사이의 형제신분을 실현시키는 데 매우 근본적인 요소인 인내와 이타심과 관용과 용서에 대한 수업을 부모들과 자녀들이 배울 수 있는 형제우애관계의 기본 단위이다.Marriage, with children and consequent family life, is stimulative of the highest potentials in human nature and simultaneously provides the ideal avenue for the expression of these quickened attributes of mortal personality. The family provides for the biologic perpetuation of the human species. The home is the natural social arena wherein the ethics of blood brotherhood may be grasped by the growing children. The family is the fundamental unit of fraternity in which parents and children learn those lessons of patience, altruism, tolerance, and forbearance which are so essential to the realization of brotherhood among all men.
84:7.29
(941-10)
만일 문명화된 종족들이 안드-사람들의 가정-협의체 실천 관행을 향하여 더욱 일반적으로 되돌아간다면, 인간 사회는 엄청나게 개선될 것이다. 그들은 가부장적 또는 독재적인 형태의 가족 체제를 유지하지 않았다. 그들은 매우 친밀하였고 협조적이었는데, 가정의 모든 일들에 대한 모든 제안과 규정을 자유롭게 그리고 솔직하게 토의하였다. 그들은 자신들의 가정을 통치하는 모든 일에 있어서 이상적으로 형제우애관계를 가졌다. 이상적인 가정에서 자식으로서의 애정과 어버이의 애정은 형제우애적 헌신에 의해서 둘 모두 증강된다.Human society would be greatly improved if the civilized races would more generally return to the family-council practices of the Andites. They did not maintain the patriarchal or autocratic form of family government. They were very brotherly and associative, freely and frankly discussing every proposal and regulation of a family nature. They were ideally fraternal in all their family government. In an ideal family filial and parental affection are both augmented by fraternal devotion.
84:7.30
(942-1)
가정생활은 참된 도덕의 선조, 의무에 대한 충성심 인식의 조상이다. 가정생활의 강제적인 관계적-연합은 다양한 다른 개인성들에게 조절하지 않으면 안 되는 강제성을 통하여 개인성을 안정시키고 그것이 자라도록 자극을 준다. 그러나 더 나아가서, 참된 가정─훌륭한 가정─은 창조자의 자기 자녀에 대한 태도를 어버이의 후대 창조자들에게 현시하는 동시에, 그러한 참된 부모들은 모든 우주적 자녀들에 대한 파라다이스 부모의 사랑을 점점 더 높게 보여주는 긴 과정의 첫 단계를 자기 자녀들에게 나타낸다.Family life is the progenitor of true morality, the ancestor of the consciousness of loyalty to duty. The enforced associations of family life stabilize personality and stimulate its growth through the compulsion of necessitous adjustment to other and diverse personalities. But even more, a true family ─ a good family ─ reveals to the parental procreators the attitude of the Creator to his children, while at the same time such true parents portray to their children the first of a long series of ascending disclosures of the love of the Paradise parent of all universe children.
8. 자아-충족의 위험성 8. Dangers of Self-Gratification
84:8.1
(942-2)
가정생활을 가장 위협하는 것은 자아-충족, 쾌락에 대한 현대적인 열광의 물결이 위협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결혼에 대한 1차적인 유익은 경제적인 것이었고; 성적 이끌림은 2차적인 것이 되곤 하였다. 자아-유지에 기초를 둔 결혼은, 자아-영속을 이룩하였고, 자아-충족에 대한 가장 바람직한 형태들 중의 하나를 제공하였다. 그것은 삶을 위한 큰 동기들 세 가지 모두를 포옹하는 인간 사회의 유일한 제도이다.The great threat against family life is the menacing rising tide of self-gratification, the modern pleasure mania. The prime incentive to marriage used to be economic; sex attraction was secondary. Marriage, founded on self-maintenance, led to self-perpetuation and concomitantly provided one of the most desirable forms of self-gratification. It is the only institution of human society which embraces all three of the great incentives for living.
84:8.2
(942-3)
기원적으로, 재산은 자아-유지의 기본 제도였던 반면, 결혼은 자아-영속의 독특한 제도로서 가능하였다. 흡족한 음식과 놀이 그리고 유머는, 주기적인 성적 탐닉과 함께 자아-충족의 수단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진화하는 사회관례가 자아-충족에 대한 어떤 뚜렷한 제도를 형성하지 못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모든 인간 제도가 이러한 쾌락 추구로 너무나 완벽하게 물들어 있는 것은, 만족스러운 기쁨을 줄 수 있는 전문화된 기법을 진화시키지 못한 이러한 실패에 기인한다. 재산 축적은 모든 형태의 자아-충족을 증강시키기 위한 도구가 되고 있는 반면, 결혼은 오직 쾌락을 위한 수단으로만 간주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방종, 널리 퍼진 이러한 즐거움에 대한 열광이 이제는, 가족생활의 사회적 진화 제도인, 가정을 겨냥해 오는 가장 큰 위협을 이루고 있다.Originally, property was the basic institution of self-maintenance, while marriage functioned as the unique institution of self-perpetuation. Although food satisfaction, play, and humor, along with periodic sex indulgence, were means of self-gratification, it remains a fact that the evolving mores have failed to build any distinct institution of self-gratification. And it is due to this failure to evolve specialized techniques of pleasurable enjoyment that all human institutions are so completely shot through with this pleasure pursuit. Property accumulation is becoming an instrument for augmenting all forms of self-gratification, while marriage is often viewed only as a means of pleasure. And this overindulgence, this widely spread pleasure mania, now constitutes the greatest threat that has ever been leveled at the social evolutionary institution of family life, the home.
84:8.3
(942-4)
보라색 인종은 하나의 새로운 그리고 오직 불완전하게 실현된 특징을 인류의 체험 속에─유머 감각과 결부된 놀이 본능─도입하였다. 그것은 산긱들과 안돈-사람들 속에도 어느 정도는 있었지만, 아담의-혈통은 이러한 원시적 성향을 기쁨의 잠재, 자아-충족의 새롭고 영화롭게 된 형태에 이르도록 향상시켰다. 갈망을 만족시켜주는 것을 제외시킨다면, 자아-충족의 기본적인 유형은 성(性) 만족이며, 이러한 형태의 감각적 쾌락은 산긱들과 안드-사람들의 피가 섞임으로써 엄청나게 강화되었다.The violet race introduced a new and only imperfectly realized characteristic into the experience of humankind ─ the play instinct coupled with the sense of humor. It was there in measure in the Sangiks and Andonites, but the Adamic strain elevated this primitive propensity into the potential of pleasure, a new and glorified form of self-gratification. The basic type of self-gratification, aside from appeasing hunger, is sex gratification, and this form of sensual pleasure was enormously heightened by the blending of the Sangiks and the Andites.
84:8.4
(942-5)
안드-사람 이후 종족들의 불안감, 호기심, 모험심, 그리고 쾌락-포기 특징의 배합 속에 실제적인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혼(魂)의 열망은 육체적 쾌락으로 만족될 수 없으며; 가정과 자녀에 대한 사랑은 어리석은 쾌락 추구에 의해서 증강되지 않는다. 너희는 예술, 색감, 소리, 박자, 음악의 자원들과, 몸을 장식하는 자원들을 소모시킴으로써 영을 살찌게 하거나 혼을 증진시키기를 기대할 수 없다. 허영심과 유행은 가정 설립과 자녀 양육에 공헌할 수 없으며; 자부심과 경쟁심은 다음 세대들의 생존을 위한 본질특성을 증진시켜주는 일에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한다.There is real danger in the combination of restlessness, curiosity, adventure, and pleasure-abandon characteristic of the post-Andite races. The hunger of the soul cannot be satisfied with physical pleasures; the love of home and children is not augmented by the unwise pursuit of pleasure. Though you exhaust the resources of art, color, sound, rhythm, music, and adornment of person, you cannot hope thereby to elevate the soul or to nourish the spirit. Vanity and fashion cannot minister to home building and child culture; pride and rivalry are powerless to enhance the survival qualities of succeeding generations.
84:8.5
(942-6)
향상되는 천상(天上)의 존재들은 모두 휴식을 즐기며, 복귀 감독자들의 봉사를 즐긴다. 건전한 기분전환을 획득하고 기분을 드높여주는 놀이에 참여하려는 모든 노력은 건전한 것이다; 단조로움에서 나오는 권태감을 막아주는 모든 취미들과 오락과 휴식 그리고 원기를 회복시키는 수면은 보람 있는 것들이다. 경쟁적인 경기들, 이야기하기, 그리고 심지어는 좋은 음식을 맛보는 것도 자아-충족의 형태들이 될 수 있다. (너희가 소금으로 음식의 맛을 낼 때, 거의 100만 년 동안, 사람은 오직 자기 음식을 재속에 넣어두는 방법에 의해서만 소금기를 얻을 수 있었음을, 잠깐 멈추어서 생각해 보라.)Advancing celestial beings all enjoy rest and the ministry of the reversion directors. All efforts to obtain wholesome diversion and to engage in uplifting play are sound; refreshing sleep, rest, recreation, and all pastimes which prevent the boredom of monotony are worth while. Competitive games, storytelling, and even the taste of good food may serve as forms of self-gratification. (When you use salt to savor food, pause to consider that, for almost a million years, man could obtain salt only by dipping his food in ashes.)
84:8.6
(943-1)
사람들로 하여금 스스로 즐기게 내버려두어라; 인간 종족들이 무수한 방법으로 쾌락을 찾을 수 있게 하라; 진화하는 인류로 하여금 모든 형태의 합리적인 자아-충족, 오랫동안 향상되어 온 생물학적 투쟁의 결실들을 탐구하게 하라. 사람은 지금-현재의 즐거움들과 쾌락들의 일부를 잘 획득하였다. 그러나 너희 운명의 목표를 잘 고려해 보아라! 쾌락들은, 만약에 그것들이 자아-유지의 제도가 되어 오고 있는 소유물을 파괴시키는 일에 성공한다면 정말로 자기 스스로를 파멸시키는 것이다; 자아-충족들은, 만약에 그것들이 가정생활의 타락, 결혼의 붕괴와 가정─사람이 획득한 최극의 진화적 성취이며 문명이 생존할 수 있는 유일한 희망─의 파괴를 초래하게 된다면, 정말로 치명적인 대가를 치러야만 할 것이다.Let man enjoy himself; let the human race find pleasure in a thousand and one ways; let evolutionary mankind explore all forms of legitimate self-gratification, the fruits of the long upward biologic struggle. Man has well earned some of his present-day joys and pleasures. But look you well to the goal of destiny! Pleasures are indeed suicidal if they succeed in destroying property, which has become the institution of self-maintenance; and self-gratifications have indeed cost a fatal price if they bring about the collapse of marriage, the decadence of family life, and the destruction of the home ─ man’s supreme evolutionary acquirement and civilization’s only hope of survival.
84:8.7
(943-2)
[유란시아에 파견된 세라핌천사 우두머리에 의해 제시되었음][Presented by the Chief of Seraphim stationed on Urantia.]
이어지는 글